[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시즌이 얼마 안남으니 자연스레 동영상 자료실을 들락날락 거리는 데요, 

볼때마다 생각나는 건데 외국에서는 다들 바인딩 묶고 탑니다.

이상하게 우리나라만 보드를 들고 타는 게 허용되는 데, 올해는 다들 스케이팅 연습하셔서

묶고 탈 수 있게 되시기를 바랍니다.

교통사고가 본인만 운전 잘한다고 피할 수 있는 일이 아니듯이, 아무리 주의한다고 해도 

어떤일이 벌어질 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입니다.

미리 미리 조심해서 나쁠것은 하나도 없겠죠.


헬멧 착용도 마찬가지 입니다.

나의 안전과 타인의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합니다.


적절한 예인지는 모르겠는데, 제가 올 여름 교통사고를 내었습니다.

제가 차선 변경 중 직진하던 오토바이가 속도를 줄이다 미끌어져 넘어졌습니다.

미접촉사고였지만 불행히도 오토바이 운전자가 헬멧 미착용이었고, 아직까지도 병원치료 받고 있습니다.

헬멧만 착용했어도 가벼운 찰과상으로 끝났을 일인데 말이죠.


보드도 마찬가지 입니다.

미착용시 충돌등으로 다치게 되면 헬멧을 쓰고 있었으면 가벼운 상처로 끝날일이 커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과실 비율이 5:5 로 잡히더라도 나는 아퍼서 문제고, 상대방은 늘어나는 병원비가 문제가 됩니다.

헬멧만 착용했으면 가볍게 끝날수 도 있을 텐데 말이죠.


사고가 어떻게 발생할 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여러가지 안전장비 및 준비를 통해 최소한으로 줄일 수는 있겠죠.

혹시 나는 괜찮을 거다...그런거 해봐야 귀찮으니 나는 안하겠다...하시는 분들은 

왼쪽 메뉴에 있는 부상보고서를 한 번 보시길 부탁드립니다.

새로운 새상이 열릴 겁니다.

엮인글 :

저승사자™

2011.11.09 03:09:17
*.32.42.176

물론 보드가 외국문화 또는 발전된 레져이기 때문에 나름 이유가 있겠습니다만
우리나라 처럼 리프트 대기줄이 빽빽한 곳에서는
어찌보면 스케이팅 하는게 꼭 진리라고는 말할수 없을 듯합니다.

물론 안전상으로도 그렇고 묶고 타는것이 장점도 많이 있겠지만요.

암튼 울나라 스키장 사람이 너무 많아요ㅡ 흑

2011.11.09 03:18:09
*.78.128.179

1표!!! 그리고 초보는 스케이팅해서 리프트 하차장에서 잘 넘어지니까

차라리 들고타는게 전 낮다고 생각해요.

圖弧鬼

2011.11.09 03:25:31
*.158.244.148

연습을 안해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한시간만 연습하면 초급 리프트에서 내리는 건 문제 없습니다.

헐...

2011.11.09 04:20:32
*.78.128.179

위험으로만 따지자면 슬로프에서 점프하고 빙빙돌리는 보더들이 더위험합니다.

데크는 잘들고있으면 떨어지지 않습니다.

트릭하다 부딪쳤단 사람봤어도 리프트에서 떨어진 데크 맞아서 다쳣단사람 본적이 없네요.

헌신

2011.11.09 05:27:01
*.255.184.133

데크를 잘 들고 있으면 떨어지지 않습니다.

중심만 잘잡으면 넘어지지도 않습니다.



트릭하다가 다친사람도 봤고

리프트에서 떨어져 다친사람도 봤고

리쉬코드 없이 유령데크에 척추 찍혀서 추간판 나간 사람도 봤고

리프트에서 떨어트린 데크가 혼자 쏘는 걸 보고 사람들이 추격하다가 서로 부딪혀서 다치는 사람들도 봤습니다.

본인이 본적없다고해도 이런 일들이 일어납니다.

사고 날줄 알고 사고나는 사람들이 있을까요?

흠.

2011.11.09 05:37:50
*.78.128.179

제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지 못하시네요.

확률적으로 데크 떨어뜨려서 나는 사고보다 트릭하고 점프하다 부딪혀서 나는 사고가 많다는거에요.

근데 글쓴이는 데크 들고 타는것만 가지고 안전하지 못하다고 하니까 하는 말입니다.

사고가 안난다는 말이 아니죠. 사고 빈도는 트릭하고 점프하다 부딪히는 사고가 많습니다.

본인이 봤다고 해도 모든걸 본건 아니죠.

헌신

2011.11.09 05:51:09
*.255.184.133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지 못하시네요.

아무리 강조해도 과하지 않는 안전 얘기이고

트릭하고 점프하다 부딪혀서 나는 사고보다 기초적인 지식도 없고 스케이팅도 제대로 못하는 초급자가 움직이는 폭탄이 되어서 슬로프를 쓸고 다니다가 사고나는 확율이 더 많다고 봅니다.

데크를 들고 타면 놓쳐서 타인이 다칠확률도 있지만, 하차장에서 부츠가 리프트에 끼어서 다칠 확률도 높고, 리프트에 깔릴 확률도 있습니다.

흠...

2011.11.09 06:08:15
*.78.128.179

아무리 강조해도 과하지 않은게 안전 얘기이죠.

그렇다면 글쓴이는왜 사람많은데서 트릭하면서 부딪히는 사고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굳이 확률낮은 데크들고 타다 떨어트리는 얘기를 했을까요?
전 이점이 초보자가 무조건 안전에 취약하다는 얘기로 들려서 기분이 좋지 않은겁니다.

그리고 스케이팅못하는 초급자가 슬로프를 쓸고 다니는걸 문제삼으게 아니라 떨어뜨리는걸 문제삼은거죠
님말씀대로라면 글쓴이는 실력이 부족하면서 초급이던 상급 슬로프던 쏘는 사람을 지적해야죠.
반박하시려거든 모든내용을 정독하고 정확히 이해하고 반박하셔야 이런 쓸대없는 소모전이 안생깁니다.

당연히 모든 행동에는 위험요소가 있습니다. 길가다 넘어졌는데 그위로 차가 지나가서 깔려죽을 확률도
있습니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제가 말하는건 위험의 확률이고 글쓴이고 정말 위험한 요소를 놔두고
왜 굳이 초보자들의 행동을, 그것도 지극히 확률낮은 데크 떨어뜨리는 것을 지적했느냐 이겁니다.

부상보고서를 가보세요. 어떤 사고가 많은지...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내용을 정독하시고 정확히 이해한다음에 반론하는 습관을 가지셨으면 좋겠습니다.

전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더이상의 댓글은 의미없는듯하네요.

프로토

2011.11.09 10:06:56
*.129.170.198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수많은 사항들 중에서 1. 바인딩체결. 2. 헬멧착용에 대해
글쓴님은 언급을 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 두가지 사항만 안전사고 방지에
중요하다는 뜻은 아니죠. 그런데 트릭하다가 발생하는 사고가 갑자기
여기서 왜 나옵니까? 국어공부 더 열심히 하셔야 겠는데요~

좋은놈입니다

2011.11.09 10:55:43
*.155.108.44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하세요.

쓸데없이 자기가 트릭돌리다 사고나는건 여기서 왜나옵니까

더이상의 댓글은 의미없네요

ㅇㄹ

2011.11.09 03:14:43
*.246.78.130

난왜헬멧스고 머리박으면 더아픈걸까????

저승사자™

2011.11.09 03:14:11
*.32.42.176

머리가 더 단단해서? 읭?

圖弧鬼

2011.11.09 03:14:47
*.158.244.148

사이즈가 안맞는게 아닌지....

까미야공

2011.11.09 03:20:00
*.158.113.196

스키장처음온사람은 스케이팅하다가 집에 가야 하지 않을까요 ㅎㅎ

圖弧鬼

2011.11.09 03:24:25
*.158.244.148

추천
0
비추천
-1
사실 처음오면 스케이팅 하다 집에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만...
profile

청하마시구음주보딩

2011.11.09 03:55:20
*.231.133.138

추천
1
비추천
0
처음 오셔서 스케이팅만 하다가셨는지요...궁금...?
대부분의 처음오는 사람들이 스케이팅만 하다 가려구 생각하구 오지는 않을듯하구요
과연 몇명이나 스켕이팅만 하다 가야지라구 생각하구 올가요,,^^
거의 없을듯하구
멀리서 힘들게 날잡아서 오는분들이 많을거구
처음오신분들이라면 대부분 비싼돈 들여서 옷,장비랜탈에 리프트권까지하면
그런데 스케이팅만 하다가라는건 좀,,,,
그리구 외국 영상 얘기하시는데 외국 스키장은 영상 보시면 아실듯한데
우리나라 스키장하구는 차이가 많쳐
영상 대부분 사람들이 우리나라처럼 빡빡하게 줄 서있지도 않고
그러니 대부분 바인딩체결 상태가 많은듯하구
초보분들이 바인딩 체결하구 리프트 내리는걸 생각한다면
들고타는게 다른분들께 페가 덜 되져
초보 대부분 바인딩체결해구 내리면 많이 넘어지죠
하루에두 수십번은 리프트 멈출듯.....
그리구 잘 타시는분들도 들고 타시는분들도 많아요
대부분 레귤러인데...
구피이신분들은 속 편하게 들고 타시는분들이 많더군요
헬멧은 정말 의무화 시켜야 된다구 생각합니다
모든 스키장들이 강력하게

ㄴㅇㄹ

2011.11.09 03:59:10
*.228.157.76

잘타는사람을 절대 들고타지 않습니다용..
profile

청하마시구음주보딩

2011.11.09 04:01:23
*.231.133.138

제 주위에 잘 타시는 구피분 들고 타시는분 있습니다용~~~
다른 아는분도 있구요
구피라서 들고 탄데요~~

헌신

2011.11.09 05:33:08
*.255.184.133

초보자용 보드 강습 영상들을 보면 대부분

장비의 명칭과 기본 개념에 대한 설명을 하고 처음 움직임을 배우는 것이 스케이팅이었습니다.

들고 타는 것이 정답은 아닙니다.

간지나게 보드복입고 고글에 비니 이쁘게 쓰고 스케이팅도 못해서 파닥질하는 보더들을 보면 옷하고 장비 팔고 강습먼저 받으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누텔라

2011.11.09 09:58:20
*.210.106.3

저도 구피인데 레귤러 사람 옆에 리프트 타서 내리면서 엉키는 경우 종종 있었어요 . . 구피는 어떻게 내릴지 고민중이에요

레드현

2011.11.09 09:29:39
*.146.203.1

하.. 왜 그렇게 확신하시는지; 들고 타는 분들 많은데요?!

그라우스

2011.11.09 08:37:23
*.243.76.130

ㅎㅎ 외국도 주말엔 줄많이 섭니다...
헬멧의무 했으면 하는 바램이지만 한국인의 안전불감증이 더 문제
외국사람들은 당연히 헬멧 써야하는줄 압니다...

그라우스

2011.11.09 08:40:51
*.243.76.130

카시 퀵라이딩 시스템에서 1번으로 배우는게 스케이팅입니다 ㅎ
스케이팅이 안되면 다음단계로 넘어가면 안되죠~ ㅋㅋ
처음 보드배우면 리프트 끊지않고 그냥 배워도 충분할듯하네요

ㄴㅇㄹ

2011.11.09 03:46:49
*.228.157.76

다부러지면서 배우는거지..

Booh

2011.11.09 03:50:36
*.177.89.39

스케이팅은 본인이 불편하고 말고를 떠나서 타인의 안전과 생명을 위해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리쉬코드두요!!

까미야공

2011.11.09 04:17:06
*.158.115.97

바인딩체결하지 않을경우 어떤 위험요소가 있는건가요??

Nsome

2011.11.09 04:20:52
*.43.190.245

리프트에서 떨어뜨리면 살인도구가 될수 있지요...

까미야공

2011.11.09 04:24:18
*.158.115.97

아 그거였군요..ㅎㅎ 전 지산에서밖에 안타봐서.. 리프트와 슬로프가 붙어 있지 않은대가 대부분이라 생각을 못했네요 .. 위험하긴하겠네요
profile

청하마시구음주보딩

2011.11.09 04:24:50
*.231.133.138

리프트에서 데크 떨어트려 사망하신분은 아직 없구요

떨어트리면 당연히 위험합니다

좀 탄다는분들이 쏘다가 충격으로 사망하신분들은 좀 있으시구요

내삐야

2011.11.09 04:35:48
*.193.62.79

리프트가 슬롭위로 지나가면 무조건 바인딩체결을..

슬롭옆으로 지나가면... 들고타도갠츈할듯요~~

흠...

2011.11.09 04:40:19
*.78.128.179

지금 글쓴이가 주장하신건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입니다.

슬로프에서 부딪혀 다친사람은 있어도 떨어진 데크에 맞아서 다친사람은 없습니다.

데크를 들고타도 비교적 안전하다는거죠.

스케이팅은 보딩에 필수요소도 아니고 라이딩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는데

대한민국 보더중에 스케이팅을 슬로프 올라가기 전부터 배운사람 과연 얼마나 있을까요?

아...글쓴님은 그러셨겠군요.

차라리 사이드슬리핑과 베이직턴은 슬로프 하단에서 연습하고 올라오라하는게 더 안전하다 하겠네요.

롤로노아 조로

2011.11.09 07:54:05
*.234.198.133

남에게 설명할땐 님부터 남의 말을 이해할려고 해야죠.. 수박 겉 핥기???

문법에만 맞혀서 적으면 다 말입니까?

전 보통사람보다 아주 못배웠지만 이런말이 생각나네요..

배우기전에 먼저 인간이되라...

워워

2011.11.09 08:41:15
*.246.78.174

꼭 누가 다쳐야지 그때부터 위험하다고 하실건가요 ?? 그런일이 있기전에 조심하자는 건데 ...

그라우스

2011.11.09 09:06:56
*.243.76.130

아직 사고난적없으니깐...아... 사람하나 죽고 시작해야겠군요 ㅎ
모든 사람이 잘 들고 타면 상관없습니다 정신빠짝차리고...
그러나 100프로 모든사람이 그러할까요?
하물며 정밀로봇들도 오동작이 나오는데 사람은 말할필요도없죠

마키마키

2011.11.09 10:16:38
*.183.235.120

지나가다 한 글자 적어 봅니다.

흠...님은 떨어진 데크에 맞아서 다친 사람은 없다고 하셨는데요..

슬로프 위를 통과하는 리프트도 꽤나 됩니다.
만에 하나 슬로프 위에서 데크를 떨어뜨렸다고 했을때,
떨어지는 데크에 맞은 사람은 없을지 몰라도 그 뒤에는 어떻게 되나요?
떨어진 데크는 유령데크가 되어서 슬로프 아래쪽에 있는 사람을 칠 수도 있겠죠..

그리고 트릭하다 다치는 확률이랑 비교하셨는데요..
스노우보드는 익스트림 스포츠입니다. 어느 정도의 위험 요소는 품고 있는 스포츠란 거죠..

라이딩 또는 그라운드 트릭이라는 활동을 하다가 자신이 다치는 거랑
그 전의 준비 활동으로 인한(여기서는 리프트를 타고 슬로프 위로 올라가는 행위가 되겠네요)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가 비교 대상이 되는지 궁금하네요.

s(불사조)z

2011.11.09 10:35:30
*.160.98.95

100% 동감합니다.

s(불사조)z

2011.11.09 10:37:43
*.160.98.95

흠... 님,

스케이팅이 보딩에 필수요소가 아니라고요?

어처구니가 없군요.

좋은놈입니다

2011.11.09 10:58:04
*.155.108.44

정신차리세요...

헌신

2011.11.09 05:08:12
*.255.184.133

리프트에서건 슬로프에서건 데크나 스키플레이트틑 발에 묶여있어야죠.

리쉬코드가 뭐하러 있는지 모르는 분들이 태반인 보더들의 의식이 문제죠.

유령데크는 살인 무기입니다.



그리고 스케이팅은 보딩에서 필수 요소입니다.

사이드 슬리핑과 베이직턴이 중요한 것이아니라 체중이동하는 방법과 같은 기초적인 지식은 평지에서 어느정도는 이론과 실습으로 배우고 슬로프에 올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강몽냥

2011.11.09 07:44:19
*.246.72.217

저는 슬롭 올라가기전에 스케이팅부터 배웠습니다 아무리 몸치라도 한시간배우면 됩니다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자는 취지의 글인데 그냥 안전이 중요하다고 이해하고 넘어갑시다...

왜 왜

2011.11.09 08:11:04
*.246.73.63

우리보더님들 안전보단 패션에 더 신경을 쓰시져.
여자님들 특히 한두번 오시고 알록달록 옷사기 바뿌십니다
안전은 생각밖이구요.
하지만 리조트 환경상 데크 체결하고 무조건 타야한다는 맞지 않는듯합니다
디지게 사람많은데 다들 데크를 달고 있다면 그 줄은;;; 글고 데크 달고 있으면서 소중한 본인 장비 긁히는일 태반입니다.
꽉 잡고만 안전하 잡고만 탄다면
사람많은 환경에서 그게 더 나을꺼라 봅니다.

냠냠

2011.11.09 08:29:39
*.226.220.85

그냥 한마디로 모든스포츠에서 가~~~~장
중요한건 기본입니다.
그중 스케이트는 기본중에 기본입니다.

2011.11.09 08:49:48
*.37.129.88

보드탄지 10년차?입니다.
첫시즌때 팀 생활하느라 합숙했습니다.
그때 처음 배운것은
부츠 신는법-> 바인딩 체결하는법-> 스케이팅하는법
이었습니다 ^0^ 베이스에서 스케이팅으로 선착순 시키더군요
두세번 하니 스케이팅 잘되던데요~
그리고 주말에 사람 많은데 모든 사람들이 데크를 신고있을 필요는 없는것같습니다.
스키어야 뭐 어쩔 수 없다 쳐도;; (제 개인적인생각)
리프트 타기 바로 앞에서 시즌권이나 맆트권 검사 하잖아요?!
거기서 채우면 될것같은데~
안되려나요? ㅋ

골 드 로 져

2011.11.09 08:52:39
*.111.171.46

명심하겠습니다 ㅎㅎㅎ

ㅠㅠ 작년에 이제 낙엽을 마크했는데 이제 장비랑 옷 고글까지삿는데 ,,,

스케이팅을 마스터못햇네요 ㅎㅎ

스케이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라우스

2011.11.09 09:00:44
*.243.76.130

몇몇분들 한국의 환경에서는 어쩔수 없다라는 식으로 얘기 하시는거 보니 매우 안타깝습니다.
안전을 우선해야하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데크 떨어져서 꼭 누구 한명 사망해줘야 바뀌는걸까요?
예를 들면 우면산 산사태나기전에 미리 대비했더라면 그런일은 없었겠죠?
그전에 산사태 대비한다 그러면...산사태 안난다고 마구 우기실 건가요? 산사태 난적있냐고...
안전 불감증은 이런 작은데서부터 시작합니다.

그리고 스케이팅 안하고 보드들고 리프트 하차시도 매우 위험합니다.
리프트 하차장이 대부분 경사가 있어서 추운날 빙판되어있을때 넘어지신분들 있죠...(여럿봄)

풀뜯는멍멍이

2011.11.09 09:15:59
*.153.20.75

시즌만 되면 항상 나오는 단골손님 같은 이야기.

[리프트 탑승시 바인딩 체결 편]이군요.

푸~우

2011.11.09 09:44:28
*.35.130.165

아..안타깝다..

안전이 최곤데...

스케이팅 30분이면 되는데...

프로토

2011.11.09 09:53:20
*.129.170.198

강촌처럼 리프트 동선이 슬로프와 겹쳐서 바인딩을 하지 않으면
아예 리프트에 타지 못하게 하는 것이 가장 베스트겠지만,
가급적 많은 사람이 오도록 해야 하는 스키장의 입장에서
절대 그렇게 하려고 하지 않겠죠.

그렇다고 스키장에서 보드를 떨어뜨리는 것에 대한 대비를
100% 확실하게 하는 것 같지도 않고요.
리쉬코드를 무조건 하도록 스키장에서 강제하는 곳도 없고~
빈번하게 사고를 만드는 문제가 아니라 그냥 쌩까는 듯~

뭐~ 이래저래 스키장 가면 본인 스스로 조심하는 수 밖에는~
리프트 동선 아래에는 가급적 머물지 말고,
유령데크가 언제 내려 올지 모르니 멍때리고 앉아 있지는 말자고요.
혹시 모르자나요? 로또 확률의 사고를 내가 당할지도~

아오모리_831821

2011.11.09 10:00:11
*.6.1.2

개인적인생각이지만 데크 들고타도 문제없다고 봅니다..

데크추락으로 밑에사람이 다칠수있다면 스키장측에서 리프트라인에 안전망을 설치하는게 맞는거 아닌가 생각됩니다..

100번양보해서 현실적으로 그게 어렵다한다면 리프트가 슬로프위로 지나가는경우가 아니라면

들고타도 안전에 문제 없다고 봅니다..

헬멧은 법으로 만들면 따를용의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쓰려고 노력은 하는데 진짜 더운날엔 갖다 버리고 싶음..ㅠㅠ

.

2011.11.09 11:26:49
*.154.140.151

아직 문제가 없었으니 들고타도 문제가 될질 않은거죠...

지머리 깨지니깐 하이바는 쓰겠다하고....

아직 누구머리 깨진적 없다 하니깐 들고타도 좋다?

이분 제발 버튼 베이퍼들고타다 대명 상급 리프트 상단에서 추락시키길...

그래야 정신이 번쩍 들분이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58] Rider 2017-03-14 42 179963
32738 저는 리프트 탑승 시 여담.... [2] 춥다문닫아라 2011-11-09   323
32737 스케이팅이 어려운 스키장...양지리조트 [19] 꼬마벌레 2011-11-09   1043
32736 그나저나 올시즌에는 파크좀... ㅁㄴㅇㄹ 2011-11-09   203
32735 스케이팅하니까 생각나는 여담~ [7] 바라바라바... 2011-11-09   374
32734 스케이팅으로 립트에서 빠져나갈 때 순서 file [18] DandyKim 2011-11-09   921
32733 왠지 광고도배글이 좀 약해진거 같지 않아요? [3] 부자가될꺼야 2011-11-09   221
32732 시즌이 코앞인지.. [9] voidstar 2011-11-09   380
32731 아.. 개장이 늦어지니.. [6] 헤라키스 2011-11-09   366
32730 구미 버스안입니당 [2] ㅅㄹㄴㄷ 2011-11-09   276
32729 스케이팅도 중요하지만 절대 하지 말아야 될 것은 이겁니다.! [6] 죽방멸치 2011-11-09   811
32728 안전관련해서오늘~글이많네요 [2] 어리버리_94... 2011-11-09   198
32727 리프트 대기줄 앞에서.. [4] ㅇㅇ 2011-11-09   358
32726 여담이지만 손목보호대도 필히 착용해야한다고생각합니다 [19] ㅇㅇ 2011-11-09   792
32725 일요일부터 원주 최저 기온 0도군요 [2] 성우라쿤 2011-11-09   359
32724 쌩초보때 스케이팅하는사람들 보며 느낀점 [14] 흑석마루치 2011-11-09   844
32723 오늘은 스케이팅이 메인인가봐요 저도 글하나 남겨봅니다 [1] 고메 2011-11-09   320
32722 눈치껏 스케이팅, 그리고 구피의 맆트 승차요령~ [9] Urban Pierrot 2011-11-09   523
32721 토코 vs 스윅스 [8] Gatsby 2011-11-09   895
32720 퇴근하고픔..><:ㅠ [3] 비밀 2011-11-09   159
32719 지금 휘팍 / 용평온도!! [6] 나왕창 2011-11-09   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