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근육이 안 풀려, 가볍게 초급슬로프에서 베이직이나 타려고 반 억지로 새벽타임 나갔습니다.
덕스텐스입니다. 베이직도 다리 근육 아픕니다. ㅜㅜ. 근데, 어? 바닥은 얼었지만 의외로 눈(반슬러시)층이 꽤 두텁습니다. 오..좋은데?
마침 최근에 백원에리/백쓰리 해외강습영상 본게 있어서 해봅니다. 참고로, 그라운드 트릭은 라운드뎈으로 8-9년전쯤 해본 이후로 안 했고 제대로 해봤다고 할 수 있는 시기는 15년전쯤입니다. 그마저도 프론트위주. 거기다 그때보다 10kg+ 찐상태.
슬로프방향으로 타다가 백원에리 살짝 연습하니 어설픈 깔짝임으로 대충되길래, 좀 답?답한 마음도 있고 두터운 눈층에 그냥 '예라 모르겠다'하고 소시적처럼 무작정 제 느낌 기준 과감하게 날렸습니다. 물론 3자가 보기엔 여전히 깔짝임이었음에 분명합니다.
'돌아가...ㅆ...'
쿵! 퍽!
꼬리뼈-등-뒤통수 쿵! 랜딩 후 튀어올라,
다시 오른팔 가슴쪽으로 접은 상태로 가슴과 배로 퍽! 정지착지합니다.
순간..머리가 하얘지고
'ㅈ됐다.'
'시즌마감인가'
자동차 사고 이후로 첨 받는 엄청난 전신충격과 몸도 잘 움직여지지 않고 오른팔은 통증은 물론 전혀 움직이지 않습니다. 하필 오른팔 어깨는 골절수술도 했었는데...걱정이 커집니다.
그 자리에서 꽤 끙끙대다가 겨우 신체기능이 돌아와서 슬로프 가장자리로 일단 대피 후 오른팔을 슬슬 점검합니다. 다행히 문제는 없습니다. 침을 뱉었더니 혀 깨물어서 피가 섞여나옵니다.
진짜,
'돌아가ㅆ..'이 아니라 '돌아가실 뻔 했습니다.'
이후 조신하게 스위치라이딩만 했습니다. 데크 세우는 프레스 거의 없는 슬립-버터링?이랑요
느낀점.
1. 보호장비 중요성
- 헬멧 안 썼으면 그 자리에서 의식 잃었다. 뒤통수 후 이마로도 박았는지는 기억이 안납니다. 아마 했을 듯합니다. 단지 충격이 안컸던거겠죠.
- 꼬리뼈-척추보호대 안 했으면 금이라도 갔었을수도 있다. (원래는 슬로프 가장자리 앉아있을때 갑작스런 후방추돌대비용이었습니다.)
- 팔꿈치 보호대도 나름 크진 않지만 역할을 한것 같다.
2.스위치라이딩 중요성
- 노즈 역엣지 걸린 건 하이가 부족해서도 있겠지만, 착지부터 데크노즈방향이 역엣지성이었고..이는 스위치라이딩이 몸에 익었다면 상당부분 본능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을 거 같다.
특히 스위치라이딩을 안하면 랜딩시 체중의 중심과 발목/무릎 방향등의 감을 사전에 충분히 잡기 어렵다. 즉, 미성공 슬립으로 끝날것도 역엣지가 걸릴 확률이 엄청 커진다.
- 스위치라딩을 하고 나서야, 뒤쪽의 노즈가 얼마나 길었는지 감이 온다. (참고로 소시적 주력 제 보유 라운드덱은 153이고 이번에 탄 헤머덱은 159에 바인딩 스텐스 셋백최대상태입니다. 그러니 노즈가 최소 10cm는 더 길겠죠.)
즉, 과감한? 그라운드 트릭(아마 파크라이딩포함)은, 데크 전체 길이와 앞뒤의 길이 감이 확실히 몸에 잡히고 난 뒤 하는편이 좋다. 라이딩부터 엣지성 팝? 후 체공 중과 랜딩 때까지. 그게아니면 폭탄을 들고 불섶에 뛰어드는격이다. 그전까진 최대한 조심 조신하게 탄다.
3.기타
- 머든 점진적으로 몸이 감을 잡고 익숙해지는 시간을 주면서 하자. 특히, 일반 카빙/라이딩 빼곤 전부 다. 분수와 나이를 알자.
- 스노보드의 장기적 안정성은 결국 점진적 눈밥뿐이다.
- 특별히, 그라운드트릭 땐 슬로프 상태도 중요치만 레벨도 잘 택하자. 초급은 충격이 어마무시. 차라리 천천히 감이 잡히면 중급이 더 나을 수도 있다. 거의 같은 속도쯤으로 시도할 거라면.
- 늘 초심과 안전제일.
데크가 덜 돌아가던 더 돌아가던 (이건 머 정확한 시선고정문제로 초보들의 흔한실수죠.ㅜㅜ. 무조건 돌리고보기), 하이가 충분하던 안하던, 결국 몸이 스위치방향을 거쳐서 날아가는 건 분명하고 이 방향이 몸에 안 익으면 결국 불안정할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더 돌든 덜 돌든 본능적으로 슬립성 랜딩이라도 안전하게 하려면요.
단지, 노즈 또는 테일 역엣지냐, 앞쿵 역엣지냐 뒤쿵역엣지냐 그때 그때 다를 뿐인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