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 시즌까지 휘닉스파크를 6년 여동안 사용하다가 이번 올림픽을 계기로 베이스를 옮기게 되었는데요.

이번 휘닉스 파크 심/백 미운영에 대해 여러 논란의 목소리가 다수 있어 보입니다.


사실 수도권을 제외하고 강원권 스키장 중 삼대장이라 하는 스키장 가운데서는

휘닉스파크만이 심백을 운영 하였던 것 같습니다.


기존에 저는 심백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주위에서 들은 적이 있습니다.


야간에 설질관리 할 시간이 부족하여, 주간설질에 미치는 임팩트가 크다.

스키장이 수익 욕심에 무리하게 심백을 운영한다. 등의 내용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휘닉스파크 심백 미운영에 따른 기존 고객들의 반발을 보며

한편으로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심백을 이용 할 수 밖에 없는 분들의 분노(?)를 느끼기도 하였습니다.


어떻게 보면 양쪽의 이익이 양립할 수 없는 상황이라...

과연 스키장의 합리적인 심백  운영 이라는 것이 존재할까요?


올림픽으로 인해 올시즌은 강원권 심백은 안녕이지만~

올림픽이 아닌 시즌에도 이러한 입장의 차이가 있기에...


본글로 건전하게 서로의 입장을 이해해보고, 합리적인 방법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도

좋다는 취지로 작성 하게 되었습니다.


무조건 옳다..그르다 라는 자극적인 내용보다...신세한탄하는 내용으로....스키장에서 이렇게 해줬으면 좋겠다..

이런 내용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엮인글 :

아추추추워

2017.09.01 14:13:03
*.117.139.132

우리나라 겨울이 짧은데 설질보다 이용자가 먼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낭만최군

2017.09.01 14:59:52
*.52.136.253

정설이라도 틈틈히 해줘야하는데 하루에 한번 정설하는건 너무하죠 그럼 오전권 오후권은 뭐하러 나누는지.. 그냥 시간제로 하지

에고☆

2017.09.02 11:50:30
*.172.176.157

사용자를 위해서라면 심백하는게 좋은데


기업의 입장이나, 유지비용 설질 뭐 이런가 다 떠나서


직접일을하는 노동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본다면, 하기싫을것같습니다.


대기업 공장 노동자들도 주간2교대로 바뀌는 시점에서


심백운영은 장기적으로 볼때 점차 스키장에서 완전히 사라질것으로 보입니다.

Ellumi

2017.09.03 06:40:22
*.86.29.186

개인적으로 심야까지는 이용하지만 백야까지 이용할 체력이 안되서...ㅎ
일단 하이원의 10시 운영은 솔직히 아쉬움이 큽니다.
전 12시-1시정도의 심야까지는 있어야 되지 않나 싶긴합니다.
하지만 셔틀이라던지 패트롤 근무, 정설차량 기사님의 노동 등과 안전상의 문제도 무시할순 없을것 같아요.

Brembo

2017.09.04 12:23:23
*.170.206.195

슬로프 컨디션 유지를 위해 관리할 시간은 비워두고 했으면 합니다.... ^^:

*욱이*~~v*

2017.09.07 09:26:43
*.127.94.162

돈안되니까 안하는거죠 머 토론대상 아닌듯 해외를 봐도 심백운영하는대는 대한민국뿐


심지어 야간도 운행 안하는대가 많아요

황소아찌

2017.09.11 10:14:01
*.89.102.86

전 아직 열정뿐인 초보라 다른곳에 1박2일 가면 심야타고 아침 일찍 일어나서 오후까지 또 타고 내려가는데.. 하이원이 심야 해주면 얼마나 좋을까요ㅠㅠㅜㅜ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Swag

2017.09.12 18:19:00
*.62.163.23

평일은 직장. 주말에는 육아및행사가 있는 저로썬 평일야간과 주말 심야를 탑니다. 주간에는 작년시즌 몇번 못탓내요. 심야는 환영하고요 곤쟘처럼 주말 낮에 기본적인 정설 한번씩만 해줘도 불만들 많이 없을거라 생각듭니다만 그건 저희같은 보더나 스키어들만의 생각이겠죠

슬픈영혼!!!

2017.09.14 15:45:27
*.102.55.54

밤에 타고 낮에는 뭐할려고 하십니까?

주말에 심야타고 조금 늦게 일어나서 점심먹고 오후에 타면 되겠지만, 백야는 직업상 새벽시간 아니면 보드장 못가는분 빼고는, 밤에는 주무시고, 낮에 타시고 건강 챙기십쇼


World_of_Fantasy

2017.09.18 00:48:00
*.193.233.30

심야에 사람도 없는데 혼자 타다 외진곳에서 사고 나면 위험할 것 같아요. 심야 타는 사람도 재작년에 비해 작년에 확 줄어든 듯 느껴졌고요

뽱배

2017.10.21 10:52:34
*.39.139.184

베이스가 대명인데 사람 많은것 말곤 크게 불만 업습니다
작년엔 심야시간전에 정설을 해준적도 잇엇죠 하루 총 3번을 정설 해줫엇죠 대명은 심야도 사람이 많아서.. 운영을 안할 수가.. 업을껄요??ㅎ

전일권

2017.10.27 14:14:45
*.133.217.108

저도 베이스가 대명인데..

금토에는 야간에 줄서서 기다려야 립트 탈 정도로 사람이 많아요

평일엔 드물지만..

분명 수요가 있고 그만큼 수익이 있으니 대명도 오픈을 하지 않을까요?!

저같은 경우는 주말 낮에 사람이 너무 많아서 금 토 야간을 자주 이용하는 편입니다

앗뜨거고구마

2017.11.06 17:21:53
*.115.103.138

개인적인 생각인데...


평일(일~목)은 야간을 11~12시까지 운영하고 클로즈


주말(금~토)는 백야까지는 몰라도 심야(1~2시)까지는 운영해도 괜찮지 않을까 합니다.

까앙통

2017.12.04 16:55:45
*.111.180.76

심백자체가 라이딩 기회를 늘려준다는 측면에서 이점이 있지만 그로인해 고생하시는 노동자 분들을 생각한다면 내부를 생각하지않고 운영하는 심백은 결국 사라질거 같네요

펑키비트

2018.12.04 09:44:16
*.38.29.128

주간. 특히 주말 이용자 들에게는 좋은 점이 있죠.
슬롭에 운용시간이 줄수록 주간에 좋은 설질을 유지해 주니까요.
옛날에 백야/철야없을때는 설질이 좀더 났던거 같아요.
그때는 이용자가 지금보다 적어서 그럴수도 있긴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799
1022 전향 입문자에게 적합한 데크란...??? [11] picoblue 2019-11-26 6 5944
1021 스키장 헬멧 의무화 관련!!! [51] 봉추봉 2010-12-15   5937
1020 사조리조트 시즈권 피해자분들 없으신가요 [29] l부우l 2013-12-10 4 5936
1019 헬멧의 필요성!! file [44] 협이 2011-09-20   5934
1018 칼럼이란 무엇인가? 파라핀이 정말 나쁜것인가? [23] 로켓보드 2006-08-27 57 5929
1017 [시즌중 장비가격] 예판이 싸야한다 vs 시즌 중 상관없다 [34] 하다보면되겠지 2021-01-08 8 5917
» 스키장 심야/백야 운영에 대해 논해보시죠~ [15] 세비~★ 2017-09-01 3 5915
1015 셔틀버스 붙잡고 기다리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6] GRAVITY 2011-01-05   5911
1014 헝글보드 사이트 변화 [29] 아이브루 2017-01-05 15 5910
1013 장비의 수명은 장비에대한 애정과 비례 합니다. [29] 울트라슈퍼최 2011-01-20 2 5885
1012 구조 비용은 셀프?? [22] guycool 2015-10-26 2 5876
1011 로테이션때의 느낌. [15] self 2011-02-19   5874
1010 보딩시.. 사케 한잔 도.. 질타를 받아야 한다?? [76] 허슬두 2010-11-07   5864
1009 헝글 각 게시판의 성격에 맞는글 쓰기.. [13] 터프가이 2003-09-18 82 5858
1008 이제 휘팍 시즌권 양도, 환불 안되는거 알고 계시나요? [18] 깽스터~ 2011-01-05   5857
1007 무릅 보호대에 대한 생각 [59] 라임라이트 2011-12-09   5853
1006 데크는 과연 진정한 소모품인가? [28] 시라유키 2007-10-06 77 5847
1005 무지와 오만 [18] 프리스케이터 2008-01-30 120 5841
1004 최상급장비 에 열광하는 헝그리한(?)보더들.. [83] whiteboarder 2005-09-17 44 5827
1003 중경사 이상에서의 카빙턴 (미들턴,숏턴 ) 토론회.. [36] Method 2012-01-16   5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