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월도 짓을 하다보니.

여기저기 기웃기웃거리고 글들을 일고 있자니...

의문점? 이 생겼네요.. 글의 성향상 문답에 가야할지 토론에 가야할지, 잘 모르기에 자게에 대충 툭툭 쓰고있네요.

 

자격증 ?

문답에서 봤던가, 기억상으론 어떤 회원분께서 한국에서 인증력?(한국말도 잊어먹고있네...ㅡ.ㅜ) 자격증은 어떤게있나요?

뭐 이런 글이었습니다만...

예를 들어 자동차 면허 및 기술 자격증등... 이러한 자격증들은 시험을 보면 결과가 나오고 그 결과에 따라 합격인지 불합격인지가

구별이 되는 부류의 자격증이죠. 필기시험 몇점 실기시험 몇점 (주어진 내용의 물건을 구현하고 작동하라 등등?)

 

스노우보드 자격증은 어떤 기준으로 주어지는거죠? (문답이 나오네 죄송합니다.)

그런것일까요? 이 코스를 이런 주행? 법으로 내려온다라든지... 이런 턴 이런턴 이런 턴을 해봐라든지...

 

이게 의문점이 된 이유가 처음 스노우보드 접하고 헝글에 들어왔을때도 느꼈던 부분이며,

지금 펀글에 올라온 글중 다음카페로 링크를 타고 가는 글...을 대충 읽다 말았지만 (좀 짜증나는 글이라..)

 

스노우보드를 타는데 정석이라는게 존재 하는건가요?

 

a라는 사람에게 베이직 카빙을 배워서 잘 연습하고 있는데

b라는 사람이 와서는 지금 뭐하는거냐고, 그거 베이직 카빙도 뭐도 아닌데 왜 그런식으로 타요? 베이직 카빙은 이렇게 타는거에요.

 

물론 지금 자신의 스타일에 불만이 있고 동경하는 스타일이 있다면 그 사람에게 가서 지도를 받아서

정진하면 되는거겠지만,

 

굳이 자신과 다르다고 해서 다른 사람을 오답이라고 정해놓고 말을 하는것은 아니라고 보기에 요상한 글 써놨네요.

 

 

 

 

 

 

1. 스노우 보드 자격증은 어떤기준으로 발급이 되는가?

 

2. 스노우보드의 턴과 주행에 정석이란 있는가? 있다면 어떤것이 정석인가.

 

문답도 토론도 뭣도 아닌

멍멍이 소리입니다 ㅎㅎㅎ

죄송합니다 이상한 글서서 ㅎ

 

엮인글 :

레브가스

2015.07.29 17:16:09
*.132.154.43

탑승

자드래곤

2015.07.29 17:19:08
*.34.130.253

심사관하고 친하면 줘요 ㅋㅋ

누런개_도망자.jpg



첨부

곰마을늑대

2015.07.29 17:25:05
*.164.144.112

크게 3곳이구요

카시

ksia

wsf

각 단체별로 레벨기준은 조금씩 다를겁니다.

뭐 한곳 추가하셔도 되요 카스비라고...ㅋㅋㅋ

뭐 강사를 하실꺼면 최소 레벨2정도는 따셔야...좋을듯 하구요

카스비만 아니시면 됩니다.

GATSBY

2015.07.29 17:33:46
*.145.226.28

1.강습 관련 단체.

 - Casi = Canadian Associate of Snowboard Instructors.

- WSF = World Snowboard Federaion.

국내에 카스비 (Korean Associate of SnowBoard Instructors) 라고 있는데, 여긴 100% 사이비 단체 이구요.


2. 시합 주관 단체.

- FIS

- WSF

- TTR


스노보드의 정석?


스노보드엔 정석이 없습니다.

다만 각자의 스타일이 존재할 뿐입니다.

그 스타일을 인정을 받느냐 안받는냐에 실력이 판가름 되어지죠.

 

소리조각

2015.07.29 17:34:26
*.90.74.125

1. 흔히들 이야기하는 자격증이라는게 보드 강사자격증입니다. 특정한 연맹이나 협회에서 자신들의 보드강습 커리큘럼을 정하고, 그 커리큘럼을 잘 인지하고 데몬을 보일 수 있는 사람들에게 강사 자격증을 발급해주는 겁니다. 우리가 아는 자동차면허증이나 조리사 자격증 같은 그런 종류가 아닙니다.


그외에 국제심판자격증 같은 자격증은 있지만, 너님은 보드를 잘타니 Lv4를 부여하겠음! <= 이런자격증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WSF Lv1은 WSF의 강습 커리큘럼으로 비기너턴까지를 가르칠 수 있는 강사라는 것을 연맹에서 증명하는 것이구요. 이 자격증이 꼭 있어야만 강습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자격이 있다고 없는 사람보다 잘탄다는 뜻이 아닙니다.


자격증 발급기준은 WSF 기준으로 라이딩스킬, 강습스킬, 이론 세가지를 시험을 치게 되구요. 당연히 자격증의 발급 기준은 발급기관에서 정한 기준에 맞춰서 봅니다. 



2. 프리한 프리스타일보드에 정석이 왠말이냐... 라는 오해를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어느정도 정석이라고 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턴의 요소같은 개념들은 대부분의 자격즐 발급기관에서 공통적으로 공유하는 부분이 많이 있구요. 

알파인 대회전같은 기록경기가 아닌 슬로프스타일이나 하프파이프 경기에서도 점수판정에서도 국제경기에서 정한 기준이 있습니다. 세부적인 기준은 경기전 심판 인스펙션에서 정하지만, 국제대회에서 인정되는 그랩의 종류나, 랜딩시의 점수판정 등의 기존적인 기준은 존재합니다.


프리하다는건 좋은 거죠. 사실 스노우 보드 자기 맘대로 뒷발차기 하면서 타도 누가 뭐라고 하지 않습니다. 다수가 이용하는 슬로프에서 안전만 지켜준다면 뭔 지랄발광을 하면서 타던 뭔상관입니까?


다만 슬라이딩 턴이나 카빙턴을 배우고, 보드를 타면서 밸런스를 잡아가는 과정에서는 분명히 오랜기간동안 선배들이 연구하고 고심해온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프리한 운동이라는 이유로 이런 방법들이 무시당해서는 안되겠죠.


정석이라는 것을 굳이 따지자면 이런 방법들입니다. 꼭 따라야할 필요는 없지만, 아무한테나 무시당할 내용은 아닙니다.

GATSBY

2015.07.29 17:44:43
*.145.226.28

그렇죠.


자신만의 색깔을 가지고 정진하면서 하나씩 득도를 하는 것이 스노보드의 가장 큰 매력이죠.

성취감.


잘탄다고 해서 강요할 필요는 없고,

못탄다고 해서 주눅들 필요 없습니다.


스노보드는 인간 표현 예술중 하나 입니다.

본디 기록/채점 스포츠가 아니란거죠.


자기가 뜻하는 바를 용기와 열정만 가지면.....실력이 금방금방 늘어납니다.


소리조각

2015.07.29 17:47:03
*.90.74.125

전 열정은 넘치는게 용기가 없어서 실력이 안느는듯...ㅠㅠ


파이프 너무 무서워요...ㅠㅠ

GATSBY

2015.07.29 17:52:22
*.145.226.28

저도 열정은 넘치지만, 나이가 들고 애들 태어나니 용기도 줄어들었어요.


킥커나 파이프는 무섭진 않은데.......요즘 대세인 라이딩이 어려워요.


이번 시즌에는 초심으로 돌아가서 라이딩 짜세 과외좀 받아볼려구요.^^

SB.R

2015.07.29 19:26:50
*.169.78.102

gatsby님

개인적인 궁금증으로 쪽지 드렸어요;;

확인 한번만 부탁드려요(__)

아들컴퓨터좀쓸께

2015.07.29 17:43:06
*.101.35.176

핑크몬스터

2015.07.29 18:10:14
*.170.174.48

탑승인데.......ㅋ

OTOHA

2015.07.30 06:48:54
*.145.197.224

비루한 실력조차도 없는 입장에서 자기위안으로...

스노우보드는 그냥 즐기기 가장 좋은 운동이 아닐까 하는....

단 분명히 잘타시는 분들이 있지만 그렇다고 그 분들이 정석이고 곱등이에 오징어라하여

틀린거 잘못된 거는 아니라고 봅니다.

 

 

kucky™

2015.07.30 08:53:48
*.21.106.236

재미있는게 스노우보드 자격증은 턴만 잘한다고 주는거 아닙니다.

잘 생각해보세요 자격증을 따는 이유를...

자격증은 강습이 목적입니다.

즉 자기가 잘타는거보다 남을 가르치는데 목적이 있죠.

그래서 타는거를 시험볼때 막 최상급에서 카빙으로 슬로프를 쪼개는걸 보는게 아니고, 주어진 턴을 얼마나 정확하게 강습생에게 보여주느냐가 목적이 됩니다.

그래서 잘 타는 사람도 떨어진 사람 많습니다.


Solopain

2015.07.30 09:40:23
*.47.232.126

그냥 간단하게 생각하시면됩니다.


우리네 어머님들 내입맛에 꼭 맞는 요리를 만들어주시지만 한식 조리자격증같은건 없습니다.


우리 어렷을때 햄버거도 해주고, 스프도 끓여주셧지만 양식 조리자격증 같은건없습니다.


다만 그 자격증이 있는분들은 좀더 맛잇게 하시겟죠.



보드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일정레벨의 스킬을 구사할떄 필요한 부가요소들을 할수있다면 자격증이 나오겟죠 ㅎㅎ

Lucy♡

2015.07.30 10:40:19
*.62.215.33

예전에 본의아니게 카시에대해 알아본적이 있거든요
주변에 wsf시험 본사람들도 있고.
근데 공통점이 위에서 얘기하신대로
얼마나 잘 전달해주느냐 즉 강습적인 측면이 강해서
정말 베이직대로 턴을 해야 된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정석이란게
요건 저도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효율적이기도 하지만 가장 안전한, 몸에 무리가 덜하고
위험한 상황을 피해갈수 있는?
그래서 정석이 필요한게 아닐까싶어요
그냥 그런 생각이 드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update [58] Rider 2017-03-14 42 179932
198113 한눈팔지 맙시다 ㅠㅠ [10] 츄러스군 2016-01-11 2 1869
198112 밑에 리프트 새치기 ... 에 이어 [7] 자이언트뉴비 2016-01-10   1869
198111 용평 후기를 써야 하는데.jpg file [26] pepepo 2015-12-29 3 1869
198110 곤지암슬로프하고 지산슬로프 .. [18] 오닉시아zzz 2015-12-06   1869
198109 지름인증! (feat.거지됨) file [45] 십년째낙엽중 2015-10-29 6 1869
198108 평화로운 중고딩 나라입니당~ file [13] 무릎꿇어짜샤 2015-10-24 1 1869
198107 헝글 차량용 스티커 나왔습니다^^ file [60] 무쌍직전영신류 2015-09-15 43 1869
198106 시끌시끌 하네요...시즌권 file [18] BUGATTI 2015-08-18   1869
» 헝글 글들을 보다가 의문점이 생겨서... [15] 자라도8꼴통 2015-07-29   1869
198104 학동입니다 file [55] 초보™ 2014-12-01 1 1869
198103 비흡연자분들도 알고 계셨으면 하네여 [65] temptation 2012-12-11 3 1869
198102 지산 눈이 많이 내려서 file [7] clous 2022-12-13 3 1868
198101 며칠 게시판 지켜본 결과 [1] 호엥호엥해 2022-11-15 55 1868
198100 사고처리 어떻게해야하나요... [26] 헝그리입문보더 2022-01-16 1 1868
198099 1월말까지 2주간연장 .. 그후 2월14일 구정까지 특별대책.. file [17] 빽승a 2021-01-16 1 1868
198098 여기서 많이들 의견 충돌이 있는데. [22] 언제까지초보로 2020-12-18   1868
198097 온갖 카더라가 난무하는군요 [11] 라이딩의민족 2020-11-24 1 1868
198096 초작은 더 이상 없습니다. file [25] 라이딩의민족 2020-11-18 1 1868
198095 휘팍 운영이 이상한데 [4] STEMCELL 2020-11-16 1 1868
198094 휘팍 몽블랑에 뭔가가 날리는데..먼지겟죠? [6] 나링 2020-10-23 1 1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