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제가 휘팍에 새로 생긴 웨이브에서 노느라 시간 가는줄 모르고 있습니다~
저는 알파인이라 램프는 너무 무서워서 못뜨겠고, 웨이브는 그래도 할만한거 같아서 지금 웨이브만 붙잡고 열심히 파고 있습니다~
웨이브는 어찌보면 램프와도 크게 다를것도 없지만, 램프와는 그맛이 아무래도 다릅니다~
램프보다는 높이 못뜨지만(높이 뜨면 최대 1미터정도이고, 날라가는건 3미터정도 입니다~), 그 과정이 너무나 재미있습니다~
일단 웨이브라 함은(휘팍기준으로~) 램프같이 생긴 둔턱(킥커라고 하긴 좀 그런....... 잘다져진 엄청 큰 모글이라 할까요?)이 3개가 연속으로 이어집니다~
첫번째껀 좀 작고, 두번쨰 웨이브로 넘어가는 각이 작고, 두번째게 처음꺼 보단 좀 더 높고, 세번째게 거의 램프수준으로 된겁니다~
그래서 웨이브는 실제 뛰게 되면, 처음껀 그냥 타넘게 되고, 두번째에서 부웅하고 살짝 뜨게 되고, 세번째에서 램프처럼 날를수 있게 만들어 진겁니다~
그래서 세번째꺼엔 랜딩존까지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씩 타넘으며, 마지막 웨이브에서 날를수 있는 맛이 웨이브의 진정한 재미가 아닌가 합니다~~
웨이브시 가장 중요한건 첫번쨰부터 세번쨰꺼까지 가는 동안 중심을 잃으면 세번째에선 뜨게 되도 거의 90% 잘못 착지를 한다는겁니다~
램프는 한번 뜨면 되지만, 웨이브는 세번의 램프를 넘나들면서 타는 것이라, 그중 한번이라도 잘못 타거나 방향이 틀어지거나, 중심을 잘못 잡으면 절대로 깔끔한 마무리를 할 수 없게 됩니다~
참고로 두번째 웨이브에선 높이 못떠도 타넘는 동안의 스피드가속과, 세번째 웨이브의 각도로 인해 세번쨰껄 뛰어넘게 될시에는 충분히 그랩과 스핀이 가능할 정도로 뜨게  됩니다~
어떤분들은 웨이브가 천천히 엣지 줘가며 그냥 모글 타넘듯 타는걸로 아시는 분들이 있는데 웨이브는 분명 램프와 사촌관계에 있는겁니다~
떠서 날르라고 만들어 놓은겁니다~

모든 웨이브를 잘타넘고, 마지막 웨이브에서 떠서 착지를 잘하기 위해서는
1)첫번째웨이브부터 세번째웨이브까지  최대한 일직선상으로(옆으로 방향이 틀어지면 세번쨰 웨이브에서 뜰때 옆으로 뜨면서 엉덩이나 얼굴로 떨어지기 쉽상입니다~) 쭈욱 나가야 합니다.....
2)엣지로 가지말고 베이스로 타넘는 겁니다..... 마지막웨이브에서도 물론 베이스로 떠줘야 하구요~
3)몸은 최대한 낮춰줘야합니다~
안그럼 웨이브를 타넘는 동안 몸이 휘청이며 기울어지게 됩니다~
그럼 당연히 세번쨰 웨이브에서 옆으로 날르게 되면서 온몸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4)세번쨰 웨이브에서는 램프와 원리가 똑같습니다~
자기가 착지할 곳을 바라봐 줘야하구, 베이스로 떨어져 줘야 하구, 뜰떄도 베이스로 뜨고, 뜬 상황에서는 중심을 잡아줘야 합니다(파닥파닥 날개짓같은거, 아시죠??).........
5)마지막으로 당연히 멀리 위에서부터 내려와서 타넘을수록 속도가 빠르고, 높이 뜨게 되니까 입문자분들은 웨이브 시작지점 앞 5~10미터 사이에서부터 출발하시는 연습을 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__)v


엮인글 :

RiderCrew

2002.01.15 18:29:39
*.48.59.215

스카이님~^^ 괜챦으시다면 참고하라고 사진으로 찍으신 웨이브모습 좀 이 글 위에 올려주시면 안될까요? 그럼.....수고하세염^^

PurerideR

2002.01.15 22:55:19
*.47.88.179

저두 그 웨이브에서 종종 놀았어요 ^^ 저는 휘팍의 웨이브를 "울렁울렁" 이라고 부르죠.. ^-^ 하핫.. 진짜 잼나요..

허보더

2002.01.16 14:27:33
*.249.69.73

헛 저도 휘팍가면 웨이브에서 종일 노는뎅 언제 같이 뜨죠...

꾸순이

2002.01.23 17:08:44
*.251.238.4

어떤 비디오 보니깐.. 프로들이 한꺼번에 두개의 웨이브를 타더군요.. 첫번째꺼는 뜰때.. 두번째꺼는 착지할때... 암튼 넘 멋진거 같아요. 언제 저런거 해보나. ^^

첫물녹차

2009.01.09 10:24:03
*.229.169.225

참고해볼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66
3317 초보를 위한 강좌 강습후 뭐가 달라졌을까요? 휘팍 중급자강습... [2] 레인보우시스타 2021-01-15 5 1141
3316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강좌:너비스 턴 팁 | 급사 고속 라... [2] Jake! 2021-01-07 5 1080
3315 초보를 위한 강좌 전향각 사이드슬리핑 연습방법 [2] 통역좌 2021-01-07 5 771
3314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강좌:비기너 턴 | 최상급 슬라이딩... [4] Jake! 2021-01-02 8 1081
3313 초보를 위한 강좌 올해는 데크를 눈 위에서 띄워 봅시다 [1] 레인보우시스타 2021-01-02 3 10086
3312 초보를 위한 강좌 더럽게 헷갈리네. 린인/린아웃 알고 갑시다. file [12] 소리조각 2020-12-29 19 2877
3311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 포지션의 모든 것 [4] 통역좌 2020-12-26 8 1104
3310 헝그리 캠페인 스키 보드 다 타시고 에어 컨프레셔로 하실때 [4] photoable 2020-12-21 2 1339
3309 기술(테크닉) 다타고 보드데크 눈 털때 [2] 피브리조 2020-12-09 3 1533
3308 장비 관련 플럭스 바인딩 스트랩 파손 AS 후기입니다 file [19] 보타싶 2020-12-08 15 7377
3307 기술(테크닉) 업과 다운의 방향 file [5] 문박사 2020-12-04 2 1842
3306 기술(테크닉) 신체무게중심과 압력중심점 file [3] 문박사 2020-12-03 8 1261
3305 장비 구입 보드복 구입시 알아두시면 좋은 것들 입니다. [3] megabomb 2020-12-02 9 1692
3304 장비 튜닝 [장비튜닝] 보호필름 단돈 2천원으로 입히기... [4] 독학보더(원뽕) 2020-11-30 1 751
3303 초보를 위한 강좌 고어텍스 보드복 입는 법 통역좌 2020-11-27 2 1114
3302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할 때 굽은 등을 펴는 방법 [2] 통역좌 2020-11-23 4 2030
3301 기타 서핑 스노보드 부상 방지를 위한 허리 골반 ... [3] 스크래치 2020-11-22 3 646
3300 초보를 위한 강좌 밸런스 연습 [7] 통역좌 2020-11-19 2 1047
3299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들을 위한 카빙에서의 프레스에 대한 독... [20] 주인아저씨 2020-11-12 2 1970
3298 장비 관련 캠버를 디테일하게 알아보자 file [23] GATSBY 2020-10-29 29 3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