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헝그리치료사입니다.^^
병원에서 염좌나 좌상... 등등 용어가 헷갈리시죠?
간편하게 용어 정리 했습니다.
아래 내용은 kisner,colby의 therapeutic exercise의 chapter7 soft tissue lesions의 내용 중 요약입니다.^^


1. strain 좌상 ex) lumbar strain
연부조직의 과신장, 과노력, 과사용 / 근건단위의 파괴

2. sprain 염좌 ex) acromioclavicular joint sprain
관절낭, 인대, 건, 근육과 같은 연부조직의 심한 스트레스, 신장, 찢어짐 / 인대의 손상

3. subluxation 아탈구 ex) glenohumeral subluxation (hypermobility)
불완전하거나 부분적 탈구 / 연부조직의 2차적 외상 동반

4. dislocation 탈구 ex) dislocation of the patella (Fairbank's Apprehension Test)
한부분의 변위 / 연부조직의 손상, 염증, 통증, 근경련을 일으킨다.

5. muscle/tendon rupture or tear 근과건의 파열 혹은 열상
ex) meniscus tear, rotator cuff tear / achilles tendon rupture (Thompson's Test)
통증은 근육이 신장될 때 혹은 저항에 반대해서 수축할 때 찢어진 부분에 나타난다.
근육의 신장 혹은 수축은 통증의 원인이 되지 못한다.

6. tendinous lesions 건의 병변
tenosynovitis 건활액염 - 건을 덮는 활액막의 염증
tendinitis 건염 - 건의 염증, 반흔을 생기게 하거나 칼슘의 침착을 일으킨다.
tenovaginitis 건초염 - 건초가 두꺼워지는 염증
tendinosis 건병리증 - 반복적인 미세손상에 의한 건의 퇴행

7. synovitis 활막염 ex) wrist synovitis (Sitting Hands Test)
활액막의 염증, 외상, 질변으로부터 정상활액의 과다한 증가

8. hemarthrosis 출혈성 관절증
심한 외상으로 관절내의 출혈

9. ganglia 절
관절낭 혹은 건초의 부풀어 오름
외상, 류마치스성 관절염으로 생긴다.

10. bursitis 점액낭염 ex) deltoid bursitis
bursa의 염증

11. contusion 타박상
직접적인 타격으로 인한 외상
모세혈관 파열, 출형, 부종, 염증

12. overuse syndrome 과사용증후군
축적된 외상, 반복적인 좌상
근육, 건의 마찰은 염증과 통증을 일으킨다.

13. dysfunction 기능장애
정상적인 기능소실을 의미
연부조직의 적응성 단축, 유착, 근약화, 정상적인 가동성의 상실

14. joint dysfunction 관절 기능장애
joint play의 역학적 상실(mechanial loss) 기능상실과 통증
외상, 염증, 무용(disuse), 노화, 심각한 병리학적 상태

15. contractures 구축
피부, 근막, 근육, 관절낭의 단축 혹은 경직
정상 가동성 혹은 유연성 제한

16. adhesions 유착
교원질이 비정상적으로 주위 구조에 유착하는 것
탄력성 제한

17. reflex muscle guarding 반사적 근방호
근육이 계속적으로 수축하는 것
연관통의 근원이 될 수 있으며 통증자극이 사라지면 근방호는 끝난다.

18. intrinsic muscle spasm 내인성 근경축
국소순환과 대사변화에 반응한 근육의 지속된 수축
바이러스성 감영, 냉, 지속적인 고정기간, 정서적 긴장, 근육에 직접적인 외상 등에 대한 근육의 반응

19. muscle weakness 근약화
근수축력의 감소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근신경연접의 체계적, 화학적, 국소 병변으로 일어난다.
근육의 직접적인 손상으로 일어나거나 혹은 단순한 비활동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엮인글 :

2006.01.05 15:42:25
*.226.47.90

헝글에서 보니 색다르군요 ㅎ
tq

2006.01.05 15:59:20
*.73.213.211

strain과 sprain은 봐도봐도 모르겠네요.
ER

2006.01.05 16:40:21
*.78.116.31

strain 은 좌상이라고 하면 안됩니다.
근긴장이라고 하거나, 아니면 차라리 sprain 과 비슷한 개념으로 보면 될 거 같습니다.
좌상에 해당하는 용어는 contusion 입니다.

2006.01.05 16:56:36
*.120.199.142

contusion은 타박상에 더 가깝지 않나요? 용어의 번역에 대한 차이는 있다고 생각되네요. 원래 스트레인과 스프레인의 개념이 중요하겠죠...^^

2006.01.05 16:59:32
*.120.199.142

아.. 스트레인과 스프레인의 경우 임상적으로는 근육이나 건의 과신장 등등의 경우 스트레인이라 하고, 스프레인은 인대의 과신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부상의 발병은 어느 한곳의 문제보다는 복합적으로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인대가 늘어낫다고 해도, 내재적인 병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스프레인이란 용어에 연부조직의 과신장도 포함시키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 부상 보고서 공지 사항 - [42] 관리자 2011-10-31 43258
2484 주관절(팔꿈치)탈구.. [11] .. 2009-02-24 2004
2483 추돌사고 보험처리 부분 문의 드립니다. [10] 고매동이박사 2018-01-06 2003
2482 휘팍 벨리에서 데크 드롭킥... [10] 낙엽만4년 2009-12-15 2003
2481 보딩은 정면을 보면서!!ㅋㅋㅋ [5] Kevin 2009-11-30 2003
2480 와...정말 무섭네요 [10] Sozz 2007-12-24 2003
2479 애끼 발가락 중간에 골절을 ... ㅠ_ㅜ [3] 뚱쟁이ㅡㅡ; 2003-12-04 2003
2478 키커 FS180 뛰다 흉추 압박골절 ㅠㅜ [8] 가오리탑 2012-05-17 2002
2477 어머니에게도 막말하는 사람:< 어떡해야하죠 [18] 어리다고놀리지말아요 2010-01-09 2002
2476 곤지암 초보슬로프 충돌사고.. [3] 아랑이_919626 2011-02-07 2001
2475 오른쪽 무릎안쪽 근육이 [4] 단낭자 2007-01-17 2001
2474 헬멧을 꼭 씁시다!! [7] 하이바굿굿 2007-12-14 1999
2473 머리와 안면부 부상@.@ [6] My Way 2002-12-27 1999
2472 황당한 스키 사고 질문이요 ㅠㅠ file [13] nix_77 2011-12-26 1998
2471 무릎 안쪽이 아픕니다. 소리도 나고요. [6] 환자 ㄷ 2009-11-04 1998
2470 [하이원]크리스마스의 악몽 [4] ldL.ZL.l7l. 2007-12-26 1998
2469 휘팍 시즌권 보험되나요? [2] 탈골 2014-02-21 1997
2468 121209 지산 뉴오렌지에서 죽을뻔했어요 ㅜ [12] myonkey 2012-12-10 1997
» 병명에 대한 용어 정리 [5] 헝그리치료사 2006-01-05 1997
2466 손목골절 거의 죽음입니다. [7] 정종길 2004-01-09 1997
2465 <b>##############이벤트 시작###############</b> [8] 소장백 2002-09-12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