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이번에 WSF보고 라이딩에서 낙방했습니다

결정적 탈락요인은 주행알리지만

아무리 연습을 해도 베이직 너비스턴에서

계속 인클이 남아있네요 ㅠㅠ

교정하는 법으로 동영상촬영 이외에

다른 묘안이 있을까 조언을 구합니다

또 베이직 카빙에서 전경이 심한 편인데

Stance&Balance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점프하면서 턴하는게

제일 효과적인지도 조언 구합니다!!
엮인글 :

레드미라지

2013.02.20 21:39:33
*.62.173.180

추천
0
비추천
-1
인클~~~ 펀캠프때 아무래도 그거 어찌 해결할가요ㅎ하면서 질문후 답으로 들은게 좀 불편해도 양손을ㄱ가슴정도 까지 올린후(약간 절하는 자세 비슷)팔꿈치 쪽에 시선을 고정하면서 비기너턴 연습했습니다. 팔이 가슴보다 올라가거나 내려가면 인클이 들어간걸로 확인가능했습니다.

레드미라지

2013.02.20 21:42:17
*.62.173.180

추천
0
비추천
-1
위방법은 라메르님이 가르쳐 주신 방법이에요. 그리고 비기너탄에서 턴 중간에 속도가 상승하면 인클이ㄷ들어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뿌라스

2013.02.20 21:49:34
*.62.163.204

앗 이런 묘안이 ㄷㄷㄷ

조언 감사합니다!!!

야수파

2013.02.20 22:50:09
*.236.211.227

비기너 너비스턴에서 기울기를쓰면 안되는이유가 궁금합니다..

슬라이딩마스터

2013.02.20 23:40:01
*.36.215.108

추천
1
비추천
0

비기너, 너비스 과정은 초급 과정 입니다

인클을 사용하게 되면 턴이 편해집니다(턴은 힐 사이드 엣지와 토 사이드 엣지를 연결하는것)

중급 슬로프까진 인클을 사용한 턴이 가능 합니다

단, 그 이후 상급 슬로에서는 인클을 먼제 쓰게 되면 데크에서 몸의 중심이 벗어나 밸런스가 무너져 넘어지게 됩니다


상급 슬롭에서 인클이 필요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턴을 연결하는 동작을 취할떄 인클 보다는 프레스 해제, 로테이션, 프레스로 연결을 하는 동작을 익히는 것이 기초적인

블럭을 쌓는데 도움이 됩니다

백만송이장미를

2013.02.20 23:09:14
*.184.130.178

비기너턴은 기울기로 엣지를 주는 거라고 알고 있는데,, 아닌가 보군요

인클을 없앤다는 건 린아웃(외경)으로 엣지를 주라는 말이겠네요

자세를 바로잡는 연습으로는

맨땅에서, 실제 라이딩에서 다리에 전해지는 하중을 느낄 수 있는 자세를 잡아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어디에 기대서 자세를 취하게되면 그 기대는 쪽에 하중이 분산되어서 별로이고

어디를 잡고서 버티는 방법으로,,

예를 들자면 문고리를 잡고 팔을 뻗고 발을 문쪽으로 옮겨가면서 자세를 잡아보면 다리에 실제 라이딩에서의 하중이 느껴질 수 있을 겁니다

스탠스앤밸런스 역시 위의 방법으로 연습해 보시고

슬로프에서는, 점프연습보다 쉬운,, 한 턴 안에서 업다운을 하는 연습을 먼저 해보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또, 힐턴에서는 양손을 앞으로 해서 동그라미를 크게 만들고 토턴에서는 열중쉬어 자세를 하는 연습법도 있구요

 

슬라이딩마스터

2013.02.20 23:33:48
*.36.215.108

추천
0
비추천
-1

비기너는 엣지를 사용하는 턴이 아닙니다

베이스로 턴을 하는것이 WSF에서 말하는  비기너 턴 입니다


비기너 카빙과 헷갈리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백만송이장미를

2013.02.20 23:49:42
*.184.130.178

보는 관점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엣지를 활용하지 않는 턴이 있을 수 있을까요?

초급턴은,,(WSF에서의 정의는 잘 모르겠지만)

로테이션(데크의 뒤틀림)을 통해 데크를 회전시키고 엣지체인지를 해줘야 가능할텐데요,,,

비기너턴에서 엣지가 바뀌는 동안 베이스로 활강하는 시간이 있다고해서 베이스로 턴을 한다는 표현은,,, 글쎄요,,,

토턴에서 어려움을 겪는 초급자의 상당부분이

로테이션을 한다고는 하지만,, 앞 발 토를 눌러주지 못해서 엣지체인지가 않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엣지를 활용하는 게 중요하다는 의미겠지요

애완개리온

2013.02.20 23:59:34
*.210.157.174

인클을 안써도 엣지가 들어갑니다... 슬로프가 기울어져있고 데크와 수직 BBP를 유지하면요...

처음타는 초보를 가르칠때 쉽고 빠르게 가르치는 방법은 기울이지말고 

상체를 과도하게 돌려서 하체까지 돌아가는 느낌을 알려주는것이죠.


어느정도 엣지감만 쓰는것이지 인클까지는 안쓰는것이 맞다고 봅니다.

백만송이장미를

2013.02.21 00:20:42
*.184.130.178

"인클을 안써도 엣지가 들어갑니다... 슬로프가 기울어져있고 데크와 수직 BBP를 유지하면요..."

이 상태는 보드 위에 서있는 거지, 보드를 컨트롤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겠는데요

속도를 줄이거나 보드를 어느 한 방향으로 진행시킬려면 인클이 들어가야하는 거 아닌가요?

 

또, 로테이션을 하면 폴라인으로 직활강까지는 가능하겠죠

그 다음은요?

인클을 통해 엣지체인지가 들어가야하는 거 아닌가요?

애완개리온

2013.02.21 00:30:01
*.210.157.174

아 제가 좀 잘못표현한거같네요... 슬로프가 기울어져있고 중력과 중심으로 서있다면

슬로프와 데크각은 어느정도 엣지가 먹는걸 표현한다는게.... 

슬로프에 힐엣지로 가만히 서있는다고 가정할때 가해지는 각도는 인클이라고 표현하지 않지않나요. 


그리고 비기너턴처럼 빠르지 않은 턴에서는 인클은 독이라고 생각합니다...

말그대로 비기너한테는요.

백만송이장미를

2013.02.21 02:02:15
*.184.130.178

"슬로프에 힐엣지로 가만히 서있는다고 가정할때 가해지는 각도는 인클이라고 표현하지 않지않나요. "

네,, 인클이라고 표현할 수 없겠죠

 

"비기너턴처럼 빠르지 않은 턴에서는 인클은 독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서도 제가 표현했지만,

인클이 없으면 보드를 컨트롤할 수 없습니다

그저 사이드슬리핑만이 가능하죠

 

보드가 폴라인에 직각이 아니더라도 인클이 없으면 보드는 폴라인방향으로 사이드슬리핑하게 됩니다

인클이 들어가야, 비로소 조금씩 엣지방향으로 진행하게 되지요

 

독이 아니라,, 보드를 컨트롤하는 데 있어서 필수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애완개리온

2013.02.21 02:22:05
*.210.157.174

비기너턴에서 사용되는건 인클보다는 앵귤에 가깝다고 봅니다. 

상체로테이션을 통한 하체비틀림 즉 하체로테이션까지 오면서 앵귤이 살짝들어가며 턴이 발생하죠...


비기너턴에서 인클이 들어가면 턴반경이 엄청 작아지고 둥그런 호를 그리기가 힘들어집니다.


속도가 나지 않는데 초반에 인클이 들어가버리면 넘어지기 일쑤고 

후반에 인클이 들어가면 턴후반부만 급격한 턴이 만들어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독이라고 표현한겁니다...

백만송이장미를

2013.02.21 02:30:54
*.184.130.178

저는 비기너턴은 bbp자세에서 로테이션과, 몸의 기울기를 이용해서 엣지체인지를 하는 턴이라고 알고 있는데,,,

앵귤은 사용하지 않구요,,

여기에 업 다운(앵귤)이 추가되면 너비스턴,,

애완개리온

2013.02.21 02:34:27
*.210.157.174

업다운이 앵귤을 더 가져오는것은 맞지만 (신체적구조에서오는...)

업다운은 프레스를 가하고 빼기위함이지 앵귤을 추가하기 위해 하는 행위는 아니라고 알고있습니다.


비기너턴에서 몸을 기울이는건 처음들어보네요...


백만송이장미를

2013.02.21 03:27:57
*.184.130.178

비기너턴에서는 인클만으로 엣지를 세우고 프레스를 버티는 거 맞는데,,,

앵귤은 기본적으로 엣지를 더 효과적으로 세워주기 위함입니다,, 고급 기술이지요

엣지를 세워야 프레스가 생기고, 그 프레스를 버티기(컨트롤하기) 위해서 여러 기술들이 필요하구요

다운은, 앵귤을 이용해서 엣지를 더 효고적으로 세워주고, 그에 따른 프레셔를 컨트롤하기 위함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업 다운도,, 엣지를 세우지 않은 상태에서는, 턴에서 발생하는(필요한) 프레스와는 별 상관이 없다는 거죠

부연 설명을 드리자면,,,

엣지를 세우지 않은 상태에서는(직활강이든 사이드들리핑이든), 진행하고 있는 보드에 전해지는 하중은 체중보다 작습니다

(슬로프의 면이 고르고, 마찰이 없다고 가정하고, 슬로프의 경사가 a라고 하고, 보드무게와 보더 몸무게의 합을 m(이하, 체중이라 하겠습니다)이라 하면)

체중은 슬로프방향과, 슬로프에 직각인 방향의 하중의 벡터합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엣지를 세우지 않은 활강상태에서 보드에 전해지는 하중은, 슬로프에 직각 방향의 성분 뿐이므로,,

m * cos a 가 됩니다

경사가 0인 평지에서는 cos 0 = 1 ,,, 보드에 전해지는 하중은 m

경사가 90도라면 cos 90도 = 0 ,,, 보드에 전해지는 하중은 0 ,, 자유낙하라서 하중이 없는 거죠

써 놓고 보니까 부연설명 부분은 그다지 연관이 없는 것도 같네요

애완개리온

2013.02.21 03:55:19
*.210.157.174

전 뭐 벡터합 cos이런건 모르겠고 

그냥 왜 그럼 자격증시험에서 인클을 빼야할까...를 생각해보세요;

질문자는 인클을 빼기위해 질문을 했습니다...


그냥 당장 보딩강좌에 카시레벨3 박정환님 비기너턴에도 기울기는 언급 자체가 되어있지 않구요...

제가 토론방에 달라진카시스타일글보고 바뀐 교본도 봤는데요 어딜봐도 기울기를 이용하라는 말은 없습니다.

왜 카시스타일을 언급하느냐...

비기너턴은 카시스타일에서 출발하는 턴의 명칭이구요...

비기너턴은 기본적으로 로테이션만으로 턴을 하구요 거기에 프레스를 주는 동작 즉 업다운을 추가한게 노비스턴입니다.


엣지를 세워야 프레스가 생기는게 아니라...비기너턴의 엣지감에 업다운을 추가하면 프레스가 생깁니다. 

말씀하신대로 다운하면 앵귤이 따라옴으로 더 프레스조절에 용이하게 되는것이구요


인클은 원심력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력에 가깝다고봅니다...

인클만으로는 라이딩에 한계가 있고 업다운과 앵귤을 써주는것이구요..

백만송이장미를

2013.02.21 04:13:18
*.184.130.178

원글님께는 맨 첨 댓글로 이미 답변 드렸으므로

이만 논쟁?을 접겠습니다

썡초보

2013.02.21 11:41:53
*.162.206.129

추천
0
비추천
-1

두분 말씀이 다 맞기도 하고 아니기도 해요..

비기너턴은 인클이 들어가면 안되는거고 인클이 들어가는 순간 그건 비기너턴이 아닌게 되고 상위 턴이 되는거에요..

자, 여기서 중요한 논점은..

턴을 잘하기 위해선 인클이 필요해요. 당연한 이야기죠 ㅎㅎ

근데 비기너 턴은 인클이 들어가면 안되요. 왜냐구요??

그건 초급자를 위한 턴이기 때문이죠..

턴을 처음하시는분이 인클 쓸수 있나요??

거진 안될겁니다^^;;(정말 운동신경이 좋으신분 빼고^^;;)

인제 막 사이드 슬립을 끝내고 펜듈럼을 끝낸 사람에겐 그냥 베이스로 미끄러지듯이 턴 하는법을

먼저 알려주는게 순서겠죠..

저는 wsf 18회차 합격자인데요.. 저도 이 비기너턴 인클 때문에 고생많이했습니다;

결론은 로테이션하면서 베이스로 죽~ 미끄러지는 거였죠..

비기너턴은 순수히 로테이션을 배우고 처음 턴을 시도하는 사람이 하는 턴인거에요. 인클 가능하고 업다운 가능한 사람이

굳이 이 역엣지의 불안한 턴을 일부러 할필요는 없죠^^;;


비기너턴 : 정말 썡초보 같이 하는 턴(로테이션 필수) -> 이게 정답인거 같음...


좀 거창한데 설명이 될려나 몰겠네요-_-;;

Houser-J

2013.02.20 23:31:33
*.223.29.239

저 역시 wsf 비기너턴땜에 탈락한 일인입니다 ㅎㅎ 인클감땜에 정말 힘들더군요 카빙보다 더 힘든듯 ㅎ 울조는 한명빼고 비기너땜에 전원불힙격입니다 ㅎ 고생많이 하셨습니다

『젤리빈』

2013.02.21 09:06:21
*.62.167.111

추천
0
비추천
-1
장미님이 주장하시눈건 개인적인 생각일뿐이고 WSF 교본에는 잉클을 사용하지 말라고 나와있는걸딴지 거시나요.;;

Greedychild

2013.02.21 12:34:17
*.109.104.196

추천
0
비추천
-1
여기에도 이런 의견이 오갔네요. 토론방에서도 열띤 토론이!

초보자를 강습할 때 저속의 작은 모양의 비기너턴을 가르친다면 인클리네이션을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게 맞는 교습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헝그리보더 라이딩 강습에 올라온 비기너턴은 이러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하구요.

그러나 턴이 커지면서 스피드가 증가하게 되면 비기너턴에서도 일정량 이상의 인클리네이션은 불가피하다고 봅니다. 슬로프의 절반 정도를 쓰는 비기너턴은, 인클리네이션이 없는 게 더욱 불안할 겁니다.

어떤 모양의 턴을 가르치느냐에 따라 의견이 다를 수 있지 않을까요? 저는 후자를 따르는 편이지요. 그러기 위해서 펜쥴럼, 파워펜쥴럼, 폴라인피봇에 들이는 시간이 며칠씩 걸리긴 합니다.

백만송이장미를

2013.02.23 09:29:35
*.184.130.178

기울기, 인클 을 어떻게 정의하고 계신지 모르겠네요들

 

롤링(? 버터링?) 아시죠들?

인클이 없이 로테이션을 하면 롤링이 되는 겁니다

보드가 곡선을 그리는 게 아니고, 그저 회전하면서 폴라인으로 미끄러지지요

 

WSF 에서 인클을 사용하지 말라고 한다면,, 그 단체는 곧 망하겠네요,, 다른 레벨테스트 보세요

인클은 적게 사용하라고 한다면, 그건

인클을 많이 사용하면 카빙에 가깝게 되기 때문일 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4073
74107 그트를 목표로 라이딩 연습을 할때!! [5] 나는왜잘생... 2013-02-20 141
74106 12-13 salomon XLT 써 보신 분들께 질문... [3] 쎈돌 2013-02-20 131
74105 tsg헬멧 사이즈좀 질문드릴게요 [3] 늘못타는뇨자 2013-02-20 345
74104 디렉셔널 데크 세팅시.....바인딩 위치 어떻게 놓는게 맞나요? [2] 지ㅁ스ㅇ 2013-02-20 237
74103 하이원 시즌권자 동반 할인에 대해서.. [6] 가자하이원 2013-02-20 154
74102 ACC카시노 스모킨슈퍼파크ctx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5] 스위터 2013-02-20 176
74101 흰색부츠 물든것 [10] veorer 2013-02-20 256
74100 휘팍 렌탈샵 추천좀 해주세요! 오레오요 2013-02-20 167
» 비기너 너비스턴에서 인클교정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23] 뿌라스 2013-02-20 456
74098 카빙에 부츠사이즈도 중요한가요? [15] 시봉 2013-02-20 154
74097 용평리조트 인근에 랜탈샵 추천 부탁드려요. 배째버러 2013-02-20 292
74096 바인딩 체결 잘 된건지 봐주세요 ;ㅅ; [11] 폐인협회장♪ 2013-02-20 328
74095 12/13acc캔 vs 12/13 스모킨 슈퍼파크 님들의 선택은??? [6] 봉봉쭈 2013-02-20 146
74094 바인딩 사이즈.... [2] 오오미 2013-02-20 187
74093 슥히장 부근에 헬쑤장? [2] 조조맹덕 2013-02-20 223
74092 유니온 as 어떤가요??? [4] Muymuy 2013-02-20 143
74091 시즌권... [6] 검은눈사람 2013-02-20 133
74090 뒷발차기 맞죠? [11] 삼다thu 2013-02-20 134
74089 말라뮤트 부츠 신는데 15분 걸립니다ㅠㅠ [19] 덕유산리조트 2013-02-20 140
74088 데크 추천좀 해주세요 [8] 근육돼지2 2013-02-20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