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2월 7일 용평에서 스노우보드 레벨 1 테스트에 낙방한 모둠치킨입니다.

평소 시간이 맞지않아 나와는 상관없다라고 생각했던 보드 레벨 자격증 42살의 나이에 무슨 레벨이 필요한가 고민을 했지만,

 

이번에 일정이 맞아 신청을 했습니다.

신청을 하고 자료를 보며 공부하고 실전 훈련을 하였습니다만,

 

그놈의 눈밥때문에 떨어진 경우가 되겠습니다

평소 시즌이 시작하면 몸풀기 한다고 싸이드 슬립 한두번, 베이직 턴, 그리고 바로 쏘는 게 전부...

 

연습하러 시험코스인 메가 그린에서 사이드 슬립은 잘 되더군요

 

문제는 비기너턴과 너비스턴....

상테로테이션을 통한 턴을 베이스로만 한다거....

몸이 거부를 하더군요...

기울기는 오토메틱으로 들어가 주고  너비스 턴은 업, 다운을 가미한 비기너턴....

 

연습 두시간 하니 마음에 들지도 않고 재미도 없고

설마

준 지도자 전단계의 레벨 테스트가 이렇게 빡세겠어?

과락없이 4종목 평균 70점이면 합격인데...

 

난 카빙 잘 하니까 종합활강 90점 맞고 등등등 이려면 붙을 꺼야 ^^ 라는 생각에 빠져 있었죠 ㅠㅠ

 

이제부터 현실을 공개 합니다

 

 꾸미기_회전_포맷변환_사진 (10).jpg

 

꾸미기_포맷변환_사진 (9).jpg

 

꾸미기_회전_포맷변환_사진 (8).jpg

 

응시자 대비 함격율 44%

 

점수표를 보는 순간 머리가 띵 했습니다.

종목별 채점 최고 점수가 72점, 최저점 68점

 

스키지도자연맹(http://www.ksia.co.kr/)에서 확인한 채점기준 중 넘어지면 0.5점, 지연출발 1점 감점이 얼마나 큰 점수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종합활강에서 72점 맞으신분 엄청 잘 타셨습니다.( 트릭, 스위치라이딩 등등등)

 

이제 종목별로 설명 드릴께요

 

1. 사이드 슬리핑

프론트 슬리핑 - 완전 정지 - 프론트 슬리핑- 완전정지 - 빽사이드 슬리핑 - 완전 정지- 빽사이드 슬리핑 - 완전정지

 

당일 강설이라 완전 정지는 감속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단,

BBP 자세는 확실하여야 하며, 감속시 업다운이 보여야 함.

 

2,3. 비기너 턴, 너비스 턴

비기너턴 4턴, 너비스 턴 4턴 총 8턴을 하게 됩니다.

 

BBP자세에서 기울기와 엣지 사용을 배제한 상체 로테이션을 통한 비기너턴

BBP자세에서 기울기와 엣지 사용을 배제한 상체 로테이션에 업다운을 가미한 너비스턴

 

4. 종합활강

숏턴, 미들턴, 롱턴 순서에 상과없이 3가지 필수요소에 트릭등은 선택사항

단,

넘어지거나 속도가 현저히 줄면 감점

 

 

*** 검정 대비를 위한 팁 ***

 

모든 종목에서 기본 자세에 충실하며 액션은 되도록 크게 보여 줘야 합니다.

(시험관을 속일 정도의 오버 액션이 필요)

 

 

싸이드 슬리핑

BBP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넘어지면 절대 안됩니다.(중심이 흔들려도 안되구요)

정해진 코스 안에서 슬리핑 속도를 충분히 내고 다운동작을  가급적 크게해서 정지 후 바로 다음 동작 이행

 

비기너 턴

상체로테이션 오바할 정도로 크고 길게 보여줘야 함

몸의 기울이 없도록 하며,  엣지 사용이 없도록 연습해야 함

 

너비스 턴

비기너 턴에 로테이션과 업다운 동작 무조건 크게 크게 크게

 

종합활강

필수요소 3가지를 안전하게 시행 했다면 70점은 반드시 나옵니다.

물론

앞에 시험에서 실수를 했다면 모험을 해야 함.

기가막힌 라이딩과 트릭 성공시 획득 점수 72점까지는 가능

 

채점표에 69점이 없으면 무조건 합격입니다.

 

시험관의 채점 점수에서 보이듯이

못하면 69점, 잘하면 70점, 진짜 잘하면 71점, 신의 경지다 싶어야만 72점이 나옵니다.

 

일설에 의하면 " 돈만 내면 합격시켜준다. " 이말 진짜 개 구라입니다. 속지마세요

 

프리보드, 알파인보드 구분없이 동일한 기준으로 채점되며 사용장비 제한은 없습니다.

 

 

낙방후기

연습부족, 기본동작 부실 ㅠㅠ

 

 

향후대책

 

3년전 부터 알파인을 타던 관계로 자세가  프리와 알파인을 섞어 놓은 듯한 어정쩡한 자세가 나오므로

자세를 수정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

비기너와 너비스턴을 대비하여 그동안 숨겨왔던 레귤러를 연습하기로함 (전 구피입니다)

 

2월 17일 휘닉스에서도 레벨테스트가 있는데 주말이라 못갑니다ㅠㅠ

 

이상

내년 1월 검정을 대비해 맹 훈련을 하고 싶은 모둠치킨이였습니다.

 

 

 

 

 

 

 

 

 

 

 


라리라

2013.02.09 10:23:28
*.71.24.29

음 어렵네요.
상대적으로 채점은 상당히 쉬워 보이네요 ㅋ

모둠치킨

2013.02.10 17:50:07
*.82.60.175

동감합니다 ^^

william.J

2013.02.09 10:33:11
*.255.225.186

연배는 저랑 비슷하신 듯...
도전하는 모습과 그 용기에 박수를 보냅니다.
저도 님 따라서 한번 도전해봐야겠네요.
내년 1월....^^

모둠치킨

2013.02.10 17:49:47
*.82.60.175

용평 홈피에서 테스트 공지를 보는 순간 신청을 해버렸습니다 ^^

 

내년에 같이 붙는 것으로 해요 ^^

샤오사랑

2013.02.09 14:55:49
*.209.138.16

실질적으로 100점 만점이 아닌게 함정이었군요 -ㅁ-

68~72점이라니 ㄱ-

 

대박 ㅠㅠ

모둠치킨

2013.02.10 17:48:55
*.82.60.175

대단히 큰 함정이였죠 ㅠㅠ

네온사인

2013.02.09 15:23:24
*.31.193.219

저랑 나이가 같으시네요.. 

 

지산도 44% 수준의 합격률입니다. 누가 90% 합격률이라고 했는지.. (하이원)에서 본 시험라이고 하던데..

 

저하고 초등 3년 아들넘 붙고.. 초등 4년 아들에는 불합격.. 먼 골반이 튀어 나오는 ㅜㅜ

 

곤지암가서 초등학교 첫째는 재수 예정...

 

한가지 팁은 카빙보다 밸런스/로테이션을 잘 보여주는 슬라이딩 턴이 점수가 더 잘 나온다고 하네요..

 

 

 

모둠치킨

2013.02.10 17:48:32
*.82.60.175

축하드립니다.

 

슬라이딩턴에서 가산점을 노려야 겠습니다 ^^

영혼의반역자

2013.02.09 23:20:01
*.140.78.10

어렵군요 ㅡㅡ

모둠치킨

2013.02.10 17:47:45
*.82.60.175

연습하면서도 이것이 맞나? 라는 의문이 들더라구요 ㅠㅠ

 

비기너, 너비스턴을 보는 이유가 정확한 기초 자세와 턴의 원리 까다롭게 보는 듯 했습니다

환_897962

2013.02.09 23:42:31
*.33.186.53

월요일 시험인데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ㅎㅎ

모둠치킨

2013.02.10 17:46:24
*.82.60.175

좋은 결과 기대 할께요^^

또다른내일

2013.02.10 11:19:16
*.114.200.135

하이원 시험은 어찌 점수를 정말 후하게 준 시험이였군요.

에덴에서 13일날 시험 있는데 큰 도움 되었습니다 .참고해서 연습할께요.

모둠치킨

2013.02.10 17:46:04
*.82.60.175

좋은 결과 기대할께요

잉어싸만코

2013.02.10 17:01:06
*.193.92.85

사이드슬립시 엣지가 아닌 베이스상태로 다운동작으로만 세워야되나요?

모둠치킨

2013.02.10 17:45:46
*.82.60.175

다운으로 통해 엣지를 세워서 정지하여야 합니다.

 

정지시 균형을 잃어 넘어지면 감점입니다

잉어싸만코

2013.02.10 19:28:12
*.193.92.85

엣지 세워도 되나요 !?
세워서 정지했을 시 받은 점수가 어떻게 되시나요!?

 

 

모둠치킨

2013.02.10 21:25:10
*.82.60.175

앳지를 이용해 완전정지 상태가 원칙이구요
넘어지면 감점
완벽하게 구현하면 71-72 나오겠죠 ^^

재퐈니

2013.02.10 23:51:11
*.36.131.96

엣지를 쓰되 최대한 안쓰고 다운으로
정지 하는게 좋겠죵
슬로프아래에서 채점할때 데크 베이스 보이면
엣지 많이 쓴다고 보고 점수 나쁠수 있어요

모둠치킨

2013.02.11 00:38:20
*.82.60.175

이번 용평 시험볼때 강설에 경사가 없어 속도가 그리 나지는 않았으나,

완전 정지를 하면 다 넘어져 1,2번 타고 협의후 감속으로 하였는데

사이드 슬리핑에서도 과도한 앳지 사용은 안되는 것인가요?

재퐈니

2013.02.11 04:18:27
*.36.131.96

비기너 너비스턴 채점포인트에 과도한엣징은
감점이라고 명시 되어 있는데 사이드 슬립도
같은맥락 아닐까요? ^^;;
사이드슬립도 엣지보단 찬찬히 다운동작을 확실히 보여주면서
감속 하시는게 좋은점수 받을 수 있겠죠...

뿌라스

2013.02.12 22:24:49
*.62.172.118

저기서 세번째 전과목 69인 전체 총점 꼴지인 응시자입니다 ㄷㄷㄷ
지연출발 감점도 생각을 못했는데
자세 문제 둘째치고 지연출발에서 다 까먹었는지도 모르겠네요 힐에서 일어나는게 쥐약이라 ㅠㅠ

재퐈니

2013.02.13 22:08:43
*.36.131.96

지연출발은 스타트라인에서 응시생에게
말해줍니다... 채점하시는 분에게는 무전으로
알려주고요

김라이더.

2013.02.14 11:14:59
*.221.134.36

가장 중점적으로 보는데가 상체 로테이션과  턴의 모든과정이 엣지가 박이지말고 슬립또는 베이스로 턴이 이루어져야 됩니다. 참고하셔요^^

모둠치킨

2013.02.14 20:07:55
*.92.38.39

명심하겠습니다

 

하얀색 베이스가 유리한가요?  ^^

김라이더.

2013.02.20 17:47:04
*.221.134.36

하얀색 베이스가 된 데크를 타더라도 그림자가 생기기 때문에 별 차이는 없을듯해요^^

또다른내일

2013.02.15 23:26:23
*.114.200.135

덕분에 합격했습니다. !!

사이드슬리핑 70 비기너에서 70 너비스에서 69 종합활강에서 71 으로 간신히 붙었네요 .

아직도 뭘 잘했고 뭘 못했고 잘 모르지만 붙어서 다행이라 생각중입니다^^

모둠치킨

2013.02.18 00:35:19
*.82.60.175

축하드립니다^^

이번 검정 합격율은 어느 정도인지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61
2677 기술(테크닉) 슬로프를 썰자! [5] 알리알리짱 2013-02-15 5 2172
2676 장비 튜닝 붓아웃 현상과 붓아웃을 줄이는 방법들... file [17] leeho730 2013-02-15 20 17071
2675 장비 관련 프리스타일 데크의 사이드 컷 (킥커 vs 파이프) [2] Gatsby 2013-02-15 2 1606
2674 장비 관련 신터드 vs 익스트루디드 베이스와 핫왁싱의 ... [4] Gatsby 2013-02-14 8 6307
2673 장비 튜닝 '산화' 될 베이스를 구해야 한다는 신화? [2] guycool 2013-02-14   1590
2672 장비 관련 베이스의 마모에 관한 작은 글... file [32] leeho730 2013-02-14 14 4246
2671 장비 관련 단차현상에 카운터 펀치를 날리다. [11] Gatsby 2013-02-14 3 2304
2670 장비 관련 스노보드용 휴대용 드라이버 추천~! file [11] 무림맹주 2013-02-13   3159
2669 장비 관련 정캠버, 리버스캠버, 플랫캠버, W캠버,M캠버... [16] Gatsby 2013-02-12 13 5303
2668 장비 관련 역캠과 정캠? 시즌권 1년차 주말보더의 경험... [3] 곤지암솔로잉 2013-02-12 2 2836
2667 기술(테크닉) 급사에서 급사하지 않는 방법 [26] 문박사 2013-02-11 15 3815
2666 초보를 위한 강좌 린아웃을 통한 골반을 이용한 라이딩 file [11] 민스™ 2013-02-11   6413
» CASI KSA 스노보드 레벨1 검정에 관한 팁(부제:낙... file [28] 모둠치킨 2013-02-09 3 6294
2664 장비 구입 주요 브랜드별 미국 정가와 한국 소비자가 비교 file [22] 라리라 2013-02-08 12 1769
2663 초보를 위한 강좌 두번째 요령-업다운만 잘해도 자세가 살아요! file [11] YanGil 2013-02-06   3717
2662 초보를 위한 강좌 강좌라기보단 화이팅있게 첫번째 요령! [7] YanGil 2013-02-04 4 1800
2661 기술(테크닉) 하프파이프 프론트사이드 월턴과 에어턴의 ... [3] 반중력 2013-02-03 2 1769
2660 기술(테크닉) 하프파이프 과학 [8] 반중력 2013-02-03 3 1995
2659 일반 촬영용 모노포드...맹글기.. file [9] 씨밀레 2013-02-01   1573
2658 장비 관련 SP Interchanger 바인딩 센터링 조절 방법 [6] 안전우선 2013-01-30 5 2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