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 입문10년차.. 시즌당 2~3일... 그래서 한달쯤 탄 독학 막보더 양길입니다.

정식 강습코스로 알차게 배우시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가끔

 속도가 너무 많이 나서 무섭다 못하겠다!!!

도데체 왜이렇게 안도냐!

낙엽 쪽팔려 못하겠다!!

하라는대로하는데 왜 나는 안되냐!!!

나는 보드를 몰라요~!!

 

이런분들께 그저그저 조금이나마 요령이나 쉽게 입문하실 수 있게 몸으로 부딫혀 배운 요령들을 정리해서 알려드릴까 하고 적어봅니다.

저도 못타지만 친구들이 알려달라 할 때 알려주는 식의 요령입니다.

 

중요한 것은 정규 과정의 코스와 강사분의 친절한 설명 그리고 우수한 퀄리티의 영상들을 통해 만들어진 자세를 보며 공부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이 글은 그저 아무리해도 안되겠다 싶을때 요렇게 하면 조금은 쉽게 감을 잡을 수 있는 요령, 요행, 꼼수 담긴 글임을 밝히고 시작합니다..

 

일단 낙엽!!!!

낙엽은 좌우로 벨런스를 잡는게 중요해요. 그냥 무조건적으로 밀기보다는 진행방향을 쳐다보는게 중요하구요.

체중이동되는 느낌을 같이 익히기 위해선 진행방향의 무릎을 양손으로 잡으면 그 느낌이 야무지게 올라온답니다!!

다만 잡을때 허리를 틀어서 잡아야지 몸을 구부려서 잡으면 안되요!!!!

좌우로 그리고 토우와 힐을 익히고 부드럽게 감속과 진행이 이어질 때 쯤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낙엽 흔히 말하는 펜듈럼을 어느정도 익힌다음에는 여유있게 길게 타는 것을 연습해야합니다.

이때는 무릎을 굽혀서 펜듈럼의 진행방향으로 좀더 부드럽게 나아갈 수 있도록합니다.

안정적인 라이딩의 기초는 낮은 중심!

그리고 중심이 낮아야 넘어져도 조금 아파요!!!!

 

그리고 부드럽게 감속하는 법을 익혀야합니다.

길게~ 쭈욱 밀어타면 되요 멈출때까지 주욱 밀어주는거에요 멈출때까지 중심와 돌아간 상체를 유지해주세요!

결코 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어차피 멈추는 것은 비등비등하니까요.

 

그리고 초보때 가장 무섭고 어려운 것은 엣지를 바꿔서 반대로 가는 것..

S자 라이딩의 입문이죠.

뭐 정식으로 배운게 아니라 그냥 몸으로 익힌 요령을 이야기 해보면

충분히 감속한 이후 살짝 뒷발에 무게중심을 두고( 살짝 무릎을 굽히면 됩니다.) 경사면의 아래쪽 그러니까 레귤러의 경우 왼쪽, 구피풋의 경우 오른쪽 골반을 경사면 쪽으로 밀어준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이때 억지로 방향을 바꾸려고 발을 밀어주는게 아니라 허벅지를 밀어준다는 느낌일까요?? 발을 밀면 역엣지로 잘 안돌아가거든요..

그러니까 허벅지 위쪽 골반을 밀어주면 부드럽게 돌아가게됩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경사면 방향으로 보드가 향하게 됩니다.

 이때 무게중심을 앞으로 옮기면서 뒤쪽에 있는 발을 바꾸고자 하는 반대쪽으로 밀어준다는 느낌으로 엣지를 바꿔서

반대쪽으로 펜듈럼을 시작하면 됩니다.

이때는 진짜로 밀어주는게 아니라 느낌이란 것입니다.

토우 펜듈럼에서 진행되던 느낌으로 쭈우우욱~~ 길게 타시면 되요..

걱정마세요 힘을 빼고 시선만 확실히 진행방향을 보시고 상체를 돌린상태를 유지하면 돌아가기 마련이에요!!

이때 속도가 붙어도 절대로 겁먹을 필요없습니다. 턴이 돌입하면 속도는 줄게 됩니다.

여유있게 동작을 다 한 상태에서도 결코 속도제어가 힘들거나 하지않습니다.

(실제로 보드종류에 따라 속도가 나는정도가 다른데 일반적인 렌탈장비의 경우 왁싱이나 관리상태가 떨어져서 그렇게 순간적으로 가속되지 않습니다. 모든 것은 그냥 느끼기에 겁이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몸이 젖혀지고 그래서 제어하기 힘든상태가 되면서 속도가 무서워지는 것입니다.간단히 자세만을 유지하고 있는 것 만으로도 속도조절은 가능합니다.)

결코 불안해하지마세요 불안한순간 자세가 흔들리고 흔들리는 순간!!꽈당입니다...

꽈당하면 아프로 그러니까 자세를 낮게!!!! 잊지마세요^^

이런방법으로 S턴을 하는 것에 대하여 안좋은 버릇일지도 모르지만 어떻게 합니까 . 턴이 안돌아가서 미치겠는걸...

중요한 것은 턴돌입시 사알짝 뒤쪽으로 무게를 무는 것입니다.

그리고 허벅지 위쪽 골반을 밀어준다는 느낌이에요 하체 특히 무릎아래를 밀어서 턴하면 꽈당입니다!!!!

마지막으로 정말 중요한 것은 시선은 허리와 어깨를 모두 돌려서 진행방향을 바라보시는게 좋아요 고개만 휙! 또는 구부정한 자세로 상체를 돌리시면 안되요!!!! 그러면 특히 꽈당했을때 많이 아프답니다.

또 돌아갈 때 까지 자세를 유지하고 턴이 마무리될 때까지 쭈우웅우우우우우욱 길게 밀고 나가는게 중요합니다!!!

 

이런 방법으로 턴을 연습하기전에 중요한것은 힐엣지와 토엣지 그러니까 경사면을 바라본 펜듈럼과 정상을 바라본 펜듈럼에 익숙해져 있어야합니다.

 

확실한 것은 펜듈럼을 탄탄하게 잡아두면 여러가지로 써먹을 곳이 많습니다.

아무리 심한경사도 두렵지않아요!!!

낙엽으로 타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마세요!

낙엽이든 카빙이든 Z자나 S자나 비슷비슷한 모양이잖아요!!

 

 

엮인글 :

샤오사랑

2013.02.05 09:33:12
*.219.53.63

추천이요 ^^

YanGil

2013.02.05 11:36:22
*.194.22.146

어이쿠 부족한글에!! 감사합니다^^!!

윤쟈

2013.02.07 11:09:20
*.239.44.130

왜 이 금쪽같은 글을 읽어도 이해가 안돼는거에요 전!!!!!!!!!!!!!!! ㅜㅜ

YanGil

2013.02.07 12:22:03
*.194.22.146

제가 말재주가 부족해서 흑흑..ㅠㅜ

몸에좋은유산균

2013.02.10 15:09:57
*.151.219.139

Z나 S나 비슷하잖아요ㅋㅋㅋㅋㅋㅋㅋ추천!! 그래서 전 Z자로 탑니다ㅋㅋㅋㅋ

YanGil

2013.02.10 18:40:35
*.7.38.15

익스트림한 턴이실지도!!!! ㅋㅋㅋㅋ 쾌걸 조로턴

반중력

2013.02.22 06:29:52
*.178.29.211

토 에지 펜듈럼도 꼭 하세요. 시선 오른쪽 어깨, 왼쪽 어깨  하시면서... 


나중에 여러모로 도움 되실 겁니다. 한 예로 스위치 라이딩도 금방 되시겠졈.


저도 시즌 초 급경사에서 꼭 하는 것 중 하나 입니다. 


양 날 펜듈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64
177 장비 튜닝 [ 스노우보드 데크 탑시트 튜닝 ] 투토리얼 ... file [26] ★크라운 세븐★ 2011-11-09 1 6770
176 기술(테크닉) 라이딩에 고민중인 애매한 초중급 분들에게. [28] 제파 2010-11-09 1 11667
175 기타 스마트폰 관련 스키장/보드 관련 정보 [7] KOON™ 2010-12-15 1 4821
174 장비 관련 왁싱이란 존재의 이유 [3] GATSBY 2021-11-24 1 2062
173 장비 관련 베이스의 마모에 관한 작은 글... (2) file [2] leeho730 2013-02-15 1 1573
172 장비 관련 초보자 중고장비구매팁 [1] 뛰는남자 2018-12-24 1 1926
171 기타 헝그리보더 레벨별 요구포인트 평균 획득일 file [8] 레브가스 2015-10-15 1 3610
170 기타 보드복 세탁 [9] 30번보더^^ 2010-11-07 1 4530
169 기술(테크닉) 된밥 혹은 진밥에 숟가락 꽂기(?) 또 밥 타령? [11] guycool 2013-06-05 1 2440
168 장비 튜닝 스노우 스커트 만들어봤어용^^ file [5] noriter 2011-11-14   5910
167 스노우보드로 쩍벌남되기? 그냥 편하게 타... file [4] 콩라이더 2013-03-07   1944
166 장비 관련 에폭시 도전기. file [9] Snowdorp81 2012-12-05   3512
165 장비 관련 유니온 바인딩 19/20 간단 인터뷰 file 잉여9 2019-01-06   1489
164 장비 튜닝 누런색으로 변해버린 캐픽스... file [9] sky runner 2011-11-12   5412
163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키네틱 #2 문박사 2020-05-30   366
162 기술(테크닉) 토사이드 프레스 주는 법 file [2] 레몽레인 2018-04-03   5188
161 의학,부상,사고 밑에 보험료 [18] 十全大補湯 2012-09-28   3396
160 헝그리 캠페인 손재주없는 사람의 데님보드복 제작기~ file [10] ZENNIA 2011-02-14   9219
159 일반 아크릴물감을 이용한 보드복 튜닝 하기 file [7] 보드소년필 2012-02-08   5212
158 장비 관련 초간단 왁싱법.... [9] 로곤뿔 2012-04-19   7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