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아직 초보입니다만, 앞으로의 목표를 잡고 계획을 세우고 싶어서요^^


차근차근 라이딩 단계를 밟아가다 보니 에어 나 지빙 쪽을 꼭 배워보고 싶더라구요~


하고싶다고 해도 당장은실력이 부족한걸 알기에 기초부터 탄탄히 한후 입문하려고 합니다.


헌데 궁금한것이~


에어,지빙,파이프,트릭 등등 입문하기 전에 가장선행되어져 

최소한 이것정도는 완벽히 마스터 되어야 입문 할수 있다. 라는 순서(?)가 궁금해요~


보통 라이딩에서 카빙까지 하면 그트로 넘어가는데


대부분의 기술들이 심화되면서 회전기술이 들어가니 개인적으로는 카빙->트릭까지 마스터해야 

에어,지빙,파이프등 원하는 쪽으로 입문할수 있을것 같은뎅~_~


어떤분들보면 턴까지 하고 지빙이나 에어 바로 입문하시는 분들도 있는 것 같구...헉;;;;;;;(이게 가능이나 한건지....ㅠ)




정확하게 각 기술들을 입문하기위해 선행되어져야 할, 마스터 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가용?????

(뭐 가족관계도 처럼  나무뿌리모양으로 정리된 그런 자료가 없을려나요? 칼럼 훓어보긴했는데

각 기술의 입문후 순서는 많은데 모든 보드기술을 통틀어 순서가 나열된건 없어뵈는....ㅠㅠ)










엮인글 :

제생각

2012.02.01 14:04:00
*.68.244.108

라이딩 이외엔 해 본적 없는 초본데요.

일단 에어같은 경우 기본적인 라이딩만 할 줄알면 바로 배우실 수 있다고 봅니다.


굳이 카빙단계까지 갈 필요도 없죠.

아주 기본적인 사이드 슬리핑, 멈추기, 낙엽, 그리고 비기너 턴까지만 하면 바로 에어 배우시면 되고요.

에어의 기본은 우선 직활강이라 봅니다.


최상급 슬로프에서 안정적인 직활강 연습이 필요하고요.


물론 직활강을 하려면 언제라도 바로바로 멈출 수 있는 능력도 당연히 갖춰야되겠죠. ㅋ

(직활강 연습한다고 타인에게 위협을 가하면 안되겠죠 ㅎ)


안정적인 직활강은 에어의 기본중의 기본이겠죠.

(직활강이 제대로 안 되는 상태에서 이륙할 경우 뒷감당이 매우 어려워지겠죠. ㅋㅋ)


그 다음 키커에서 어프로치시 립을 끝까지 보는 연습,


직활강으로 립근처까지 가다가 축적된 에너지를 팝을 쳐서 데크를 날리는 연습(물론 이건 좀 더 나중에..)

그리고 이륙후 랜딩 존보다 조금 멀리 시선을 보는 연습..(바로 밑을 보면 데크가 곤두박질 칩니다. ㅋ)


그리고 알리 연습...(일단 그냥 키커를 들이대는 거보단 착지 연습을 위해선 수백번 수천, 수만번 해두시는 게 좋죠.

데크가 공중에 떴다가 착지를 하는데 균형을 잃는다면 낭패일테니깐요. 

제자리 점프를 해서 착지를 하는 연습을 하든 직활강 하다 점프를 해서 착지 연습을 하든 많은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라이딩상태에서 알리 후 착지연습도 마찬가지..


이 연습을 마스터하면 마그네틱 랜딩도 가능하리라 봅니다. ㅎㅎ

(물론 이륙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ㅋ)


베이직 에어가 왁변해지면 그 다음 돌리는거 연습하게 되는거죠.

돌리는 거 역시 시선처리가 매우 중요...

자세한 건 나중에.. 우선 베이직 에어부터 마스터하셔요. ㅎ

(오버랜딩주의하시고,,)


에어한다고 그라운드 트릭 연습하는 삽질은 안 하셔도 됩니다.

시간낭비라 봅니다. ㅋㅋ

그라운드 트릭처럼 하다간 골로 갈 수도 있다더군요.

물론 도움은 되겠지만, 바로 에어연습한다고 문제될 건 없죠.



물론 파이프 같은 경우엔 카빙을 할 줄 알아야된다더군요.

버텀도 슬립없이 지나가고 슬립없이 벽을 타고 올라가야되기에..


지빙 역시 간단한 라이딩 익히고 착지 연습등 하고 들이대면 될거라 봅니다.


esc.

2012.02.01 14:12:53
*.104.72.22

저도 초본데요

구피까지만 되신다면 바로입문해서 배우셔도 될듯해요

┓푸른바다┏

2012.02.01 14:21:13
*.5.185.60

스위치로 라이딩이 안전하게 하실수 있을정도면


키커, 지빙, 그트 연습하셔도 됩니다.


스위치안되시면 조금더 연습하시길.

핑크래빗눈꽃보더

2012.02.01 14:30:01
*.26.17.79

우와+_+ 그렇군요!!!!!! 그트까지 안해도 스위치 라이딩으로 보드컨트롤만 잘 하게되면 다른 기술로 입문해도 되는군용!!!+_+ 모두들 감사합니다!!!!!

열심히 스위치로 안정적인 라이딩 연습을 해야겠어용~>_<

엄마찾아 원에리

2012.02.01 19:32:38
*.131.44.158

그라운드와 파크는 다른세계입니다 ㅎ

그트는 데크의 탄성 & 회전력 등으로 직접 만들어줘야하고

지빙.키커 등은 있는 환경을 이용하면 되지용.

 

스위치 라이딩 연습과 더불어 팝 도 같이 연습하시면 랜딩시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4063
46644 보드 타다가 다쳤는데 병원 어디가 잘 보나요?? [3] 플라이하이26 2012-02-01 270
46643 다운언웨이팅 숏턴과 한방트릭에 최고인데크는? [4] ㅈㅈ 2012-02-01 473
46642 데크 가 뜨면 생명을 다한건가요? [5] 솔개_997143 2012-02-01 395
46641 YES 데크 올라운드 용인가요? [2] 호쟌 2012-02-01 697
46640 오크벨리 렌탈질문!? [6] 후훗훈남 2012-02-01 312
46639 하이원 리프트권 가장 싸게 사는방법좀 알려주세요 [8] jibber 2012-02-01 558
46638 트릭용으로 데크 그레이 알피엠 어떤가요? [2] NYBRO 2012-02-01 484
46637 부츠선택 32vs나이키vsDC [3] 張君™ 2012-02-01 502
46636 라이딩 장비로 그트 아에 못하는건가요?? [13] 배고픈상태 2012-02-01 461
46635 파이튼 바인딩아시는분들좀 봐주세요 [9] 그루브메탈 2012-02-01 787
46634 오늘 비발디 새벽.....날씨.. [4] lssw 2012-02-01 260
46633 학동가보려고 하는데 도움 부탁두려요! [7] 유리 2012-02-01 389
46632 [질문] 엘리시안 렌탈 해 보신 분. 급질문 드립니다. [8] jack_on 2012-02-01 267
46631 골라주세요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file [12] 정JJ 2012-02-01 399
46630 시즌방양도..궁금합니다 [3] 낙엽벗어날래 2012-02-01 263
46629 데크 캠버높이 원래다른가요? [3] 짱구형 2012-02-01 262
46628 대구에서 하이원 야간버스있나요? 구구콘 2012-02-01 377
46627 시냅스 와이드와 이온 사이즈 문의 ! [1] 샹하이션 2012-02-01 344
46626 휘팍 싸게 가는 방법 알려주세요 [7] 뒷발은내친구 2012-02-01 334
46625 장비를 사야될까요 말까요? (풀셋) [10] 흐규흐규 2012-02-01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