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FX마진이라 합니다. (이전 아이디는 하늘호수였구요.)

 

무엇을 가장 먼저 주제로 삼을 까 고민하다가.

우리가 스키장에 가서 보드를 착용하고 가장 먼저 취해야하는 자세가

처음 보드를 접한 사람에겐 혹은 기본에 대해 의문을 가진 분들께 막연하고 어럽다는 생각이 들어

제일 먼저 프리스타일 보드의 라이딩에서의 기본자세로 정했습니다.

 

트릭은 기본 자세가 어떠냐 하고 물으 실 것 같아서 말씀드리면

트릭은 상황에 따라 기본 자세가 달라 질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언급하기로 하겠습니다.

 

우선 부츠를 착용하게 되면 발목 부분이 어느 정도는 꺽여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 각도가 기본자세의 발목 각도가 되는 것이고요.

부츠의 발목이 펴져있다면 기본 자세를 만들기 위해 부츠를 벗을 때까지 인위적인 힘을 가해야 하겠죠.

상당히 피곤한 일입니다.

 

부츠를 바인딩에 착용하려다 보면 바인딩 각도가 열려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레귤러 라이더든 구피 라이더든 진행하려는 방향쪽 다리의 바인딩 각도가 기준이 됩니다.

이말은 바인딩이 열려서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상체가 정면을 바라 봐야합니다.

 

만약 덕스탠스라 한다면 좌우 구분을 어떻게 해서 몸을 돌리냐고 물으실 수도 있겠지만

간단하게, 왼쪽으로 진행하는 상황이라면 왼쪽 바인딩 각도만큼 몸을 비트시고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상황이라면 오른쪽 바인딩 각도만큼 몸을 비트시고 바라 보면 됩니다.

 

덕스탠스의 장점이라 한다면 좌우 모두 바라보고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관절의 가동 범위도 넓으며

각 차이 때문에 회전력을 크게 이용할 수 있으며 스위치했을 때 방향전환과 밸런스 유지가 용이 합니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활주시 진행 방향쪽으로 몸을 비틀게 되면 자연적으로 뒷쪽 다리의 관절은

두발이 벌어진 각도만큼 발목에서부터 무릎 고관절 골반 척추까지 약간씩 비틀려 있는 상태가 됩니다.

그렇게 되면 관절만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근육까지 돌아가서 꽈배기 모양이 되는 것입니다.

이 상태에서 설면에서 충격량을 받을 때 원래 근육이 가진 힘이 100이라 한다면 그것보다 몇 십퍼센트

작은 힘 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며 그렇게 됨으로서 관절이 더 많은 충격을 받습니다.

또한 관절이 생긴 모양대로 힘을 받지 못하고 비틀린 형태로 접혀야하기 때문에

관절이 받는 충격이 클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또한가지 단점으로는 벌어진 각도로 인해 엣징에서 힘의 분산이 일어나게 되어 힘손실이 커지게 됩니다.

힐쪽과 토쪽의 압력점도 크게 다르고요 턴을 하기 위해서 몸을 크게 비틀어야해서 큰 힘이 필요합니다.

 

또한 열려진 바인딩 각도 때문에 하이백 린을 하기 곤란하다는 점 입니다.

양쪽 무릎이 앞으로 튀어 나오게 되면 쩍벌남이 되어 보이에도 민망하고

하이백 린의 목적이 엣징에서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 것인데 그 목적에 어긋나고 맙니다.

(보드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할 때 힘이 가장큰데 양발이 벌어지면 하이백에도 힘이 사선으로 전달 되기 때문입니다.)

하이백 로테이션을 한다한들 효과가 떨어집니다.

무릎이 인위적으로 튀어 나온 상태에서는 진행 방향 쪽으로 바라 보는 것도 고관절이 아파서 괴로우며

피봇팅을 하게 되면 허리까지 아파 올 것입니다.

또한 비효율적인 기마자세로 보딩을 해야하기 때문에 허벅지의 피로도는 상당할 것이고요.

 

그리고 제 경험상으로는 바인딩을 오픈하고 하이백 린을 하게 되면 보딩이 금새 피곤해 집니다.

전 레귤러로 왼쪽 발만 오픈하고 오른발을 각을 거의 안주고 타는데 왼쪽 발까지 하이백 린을 했을 땐

(참고로 저는 왼쪽 발의 하이백 린을 안하고 5~7시간 동안 단 10분도 쉬지 않고 (밥먹는 시간 제외)보딩을 합니다.)

그때는 왼쪽 허벅지가 너무 아파 금새 보딩을 접어야 했습니다.

이제는 뒷발만 하이백 린을 하고 앞발은 하이백 로테이션만 해서 라이딩을 합니다.

 

바인딩을 크게 오픈 했을 땐 하이백 린을 하지 않거나 아주 약하게 하는게 역학상 도움이 될 것입니다.

때문에 덕스탠스는 엣징에서 효율이 많이 떨어집니다.

가장 이상적은 라이딩은 가장 최소한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가장 효율적인 라이딩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라이딩에서의 덕스탠스는 비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덕스탠스는 어떤 면에서는 도움이 될 수도 어떤 면에서는 해로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바인딩 각도가 양쪽다 0도 씩이면 어쩌냐 물으신다면 글쎄요... 그냥 웃지요 ^^(앞뒤로 왔다갔다-보기 민망하겠는데요)

(엣징에서의 효율은 좋지만 회전에서의 효율은 제로에 가깝습니다. 팔과 상체를 옆으로 휘두르지 않으면

턴이 거의 안될 같아 보이는 군요.)

 

라이딩 위주의 라이더는 몸의 방향을 진행 방향쪽으로 조금 더 돌려 "앞발"의 전향각을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몸이 힐턴과 토턴을 똑같은 모양으로 할 수 없는 이유인데 모양만 똑같지 않은게 아니라

양쪽이 받는 힘의 크기와 턴의 크기 좌우로 엣지 전환할 수 있는 순발력 등이 다르고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크 차이(좌우차-힐과 토우의 차,앞뒤 차 아님)를 줄이는데 있습니다.

뒷발의 각도를 언급하지 않은 것은 뒷발이 전향각이 되었을 경우는 엣징은 하기 쉬우나 피봇팅이 어려우며

뒷발이 앞발의 각도와 각도차가 커지면 피봇팅이 좀 더 용이 하기 때문에

카빙이냐 슬라이딩이냐에 따라 뒷발 각을 조정할 필요가 있어서 입니다.

 

또한 라이딩을 위해 셋팅을 하는 경우 힐엣지 쪽으로 에너지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하이백 린을 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발목의 각도가 더 작아져서 무릎이 튀어 나오게 되는고 그만큼 자세를 더 낮게 가져가게 됩니다.

(견고한 낮은 자세는(인위적이고 찌그러진 앉은 자세 아님)

-( 마치 고급 스포츠카가 고속에서 바닥에 딱 붙어가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고속에서안정적인 균형유지과 에너지의 활용에 아주 좋은 역할을 합니다.)

 

앞발의 하이백의 로테이션은 바인딩 각도가 20도가 넘어갈 땐 해줄 필요가 있고 작은 경우는 안해 주셔도 무방합니다.

앞발의 바인딩을 오픈하고 하이백을 린하면 어떠냐고요?

전 아주 많이 힘들던데요. 종아리 바깥쪽이 부츠에 눌려 아프기도 했었구요. 보드타기 싫어지더라구요.

 

장비와 셋팅에 관해서는 나중에 더 많이 설명하겠습니다.

 

그러면 기본 자세에서의 발목의 각도와 상체의 방향이 정해졌습니다.

 

다음은 무릎과 허리(척추)와 머리의 각도입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비트루비우스의 인체비례"의 그림에서 보면

우리 몸의 무게 중심은 대략 배꼽 정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상하체의 길이 비가 이상 적일 경우)

이 배꼽의 위치가 보드의 중앙에 올 수 있게 전후좌우 어디에도 압력이 쏠리지 않게 선 상태에서

발목의 각도가 이뤄주는 만큼 살짝 낮춰준 자세가 기본 자세라고 보면 되는데

심하게 무릎을 구분린 자세는 아닙니다.

척추는 살짝 펴주는 대신 완전 곧게 펴는 자세보다는 자연스럽게 편 자세며 머리는 턱을 살짝 끌어 당기고

진행 방향 쪽으로 살짝돌려

전방 10미터 정도를 바라봐주는 자세가 이상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드와 무릎과 골반과 어깨의 라인이 정면에서 봤을 때 평행이 되어야합니다.

그런 기본 자세라면 전후좌우 어디로든 재빠르게 움직일 수 있고 몸의 근육이 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고

균형을 유지하기 쉬운 자세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팔 자세는 논란의 여지가 있기에 어떻게 해야한다고는 못 하고

팔이 하는 역할과 효율적인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팔은 앞으로 나란히 하게 되면 보드가 지면 혹은 설면에 닿는 면 또는 선에 대해서 균형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이건 회전에 관한 관성력에 관한 것인데요. 어떤 축에 대해서 그 축에서 부터 멀어지는 길이가 길수록

축에 대해 계속 회전하려고 하는 성질이 길이의 제곱에 비례해서 커지기 때문입니다.

줄타기 할 때 3~4미터 되는 봉을 들고 균형을 잡는 것과 같은 원리 라고 보시면 됩니다.

앞으로 나란히 자세는 카빙턴시에 균형 유지에 유리하며

 

팔을 옆으로 나란히 하게되면 상체에 좌우 밸런스에 도움을 주지만 앞으로 나란히 했을 때와는

균형 유지의 측면에선 작은 힘을 발휘합니다. (보드가 바닥에 대해서 좌우로 지탱해 주기 때문에)

하지만 팔을 벌리고 상체를 회전할 경우엔 로테이션을 좀 더 좀 더 작은 힘으로 하게하며 회전 중에

균형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팔을 옆으로 벌리는 자세는 슬라이딩턴시에 균형 유지와 로테이션에 유리합니다.

 

팁으로 한가지 더 말하자면

 

턴이 끝나고 업 동작을 행할 때 팔을 힘차고 빠르게 들어 줌으로서 다음턴을 쉽게 시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압력해방에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턴이 끝나고 팔을 아래로 늘어뜨리면 자세가 낮아져서 안정이 되겠죠.

 

전후 좌우 두가지 자세다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인딩 각도나 덕스탠스 전향각에 대하여 언급한 내용은 저마다 큰 견해 차가 있을 수 있다고도 생각합니다.

전 단지 물리적으로 인체 역학상 또 경험한 바를 토대로 기술해봤습니다.

 

이 번 칼럼에서 다루 고자 하는 주된 내용도 아니고요.

 

기본 자세를 설명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언급하였고

나중에 시간이 될 때

알파인과 프리스타일 장비의 차이 보드의 형태와 강도 회전반경 등이 보딩 미치는 영향,

자신에게 알맞는 효과적인 장비 등에 대해서도 써보겠습니다.

 

 

+추가로 덧붙입니다.

 

 

팔동작에 대해 좀 더 유연한 생각을 갖으 시길 바라는 마음에서 추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슬롶에 나가보면 팔의 존재를 잊고 라이딩을 하시거나 팔은 넘어질 때 땅을 먼저 짚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Joint Crew의 라이더 들을 보면 한쪽 팔은 앞으로 나란히 하고 개개인 마다 차이는 조금 있긴 하지만 다른 한쪽 팔은

정신없이 휘휘 젖는 분들도 있고 앞팔은 등 뒷 쪽으로 하고 뒷팔은 머리 앞 쪽으로하고 흔드는 라이더도 보입니다.

(팔을 정신없이 흔드는 것은 물리학에서 작용 반작용에 관한 것인데요

간단하게 말해서 하체를 빨리 움직이기 위해서는 상체를 빨리 움직이는 것이 필요한데

몸 전체를 빨리 움직이는 것은 힘이 많이 소모되고 균형의 유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쉽게 움직일 수 있는 팔을 정신없이 흔드는 것 입니다.)

조금 심하긴 하지만 리듬을 잡고 강제적인 깊은 턴에서 중심을 잡는데는

아주 효과적이고 능동적인 방법이 될 수는 있겠습니다. 

 

제 개인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팔자세(물리적인 측면에서)를 갖고 라이딩을 하시는 일본 라이더분은

Kagayaking3 CM에서 Yuko Nakamoto라는  여성 라이더의 팔동작이 가장 이상 적이라고 생각 됩니다.

마치 알파인의 팔동작과 흡사하게 하며 설면에 대해 평행하게 팔을 유지시켜 주는 자세가 여러가지 면에서

카빙을 하고 다이다믹한 턴을 만들기에 효과적으로 보입니다.

 

CASI 영상에서나 제가 좋아하는 유명한 국내 라이더 분들의 팔자세는 좀 더 유연하고 자연스럽고

좀 더 균형적인 것이 특징입니다. 팔 동작이 요란하지 않다는 것은 무게 중심의 유지가 쉽다는 것이고

어느 방향으로든 안정적일 수 있다는 것이고요.

그리고 온몸에 불필요한 힘이 빠져 작은 에너지로도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움직임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보기에도 훨씬 멋있어 보이고요.

 

위 칼럼을 쓰면서 기본자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빼먹었는데요.

 

전신에 불필요한 힘을 빼고 머리의 위치를 최대한 고정해서 유지 시키는 것입니다.

왜 불필요한 힘을 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지는 다음 칼럼에 쓰겠습니다.

 

머리 위치(보드의 방향과 왼쪽 바인딩 각도 중간 쯤 아래 정면10~20미터쯤을 바라보고 턱을 당긴 자세)

는 보드가 회전하면서 상체가 같이 회전을 했다면 시선과 얼굴의 방향도 따라 돌아가야하며

보드는 회전을 하지만 상체가 고정된 숏턴의 경우에서는 상체가 고정 되어 있기 때문에

슬롶의 정면 한곳을 응시하고 바라보며 라이딩을 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게 됩니다. 

 

머리의 위치

 

고정하십시요.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80

장비 관련 유니온 바인딩 콜라보레이션 커스텀하우스(U... [9]

  • 요엘
  • 2011-09-25
  • 추천 수 0
  • 조회 수 4467

일반 보딩만 하세요?. [16]

장비 구입 시즌권, 리프트권 홀더(이월 인생의 한줄기 빛) file [10]

친구가 말해준 고글 습기 해결방안... 장단... [23]

일반 촬영용 모노포드...맹글기.. file [9]

  • 씨밀레
  • 2013-02-01
  • 추천 수 0
  • 조회 수 1573

장비 튜닝 스페이스월 시공 만족스럽네요 file [9]

  • MND
  • 2010-12-04
  • 추천 수 0
  • 조회 수 9057

일반 보딩만 하세요?. (2) [21]

  • GT-R
  • 2010-12-25
  • 추천 수 0
  • 조회 수 7902

장비 튜닝 보아시스템(다이얼) 교체방법 [2]

  • stranger7
  • 2012-01-30
  • 추천 수 0
  • 조회 수 6920

장비 관련 존스 바인딩 19/20 간단 인터뷰 file [1]

  • 잉여9
  • 2019-01-06
  • 추천 수 0
  • 조회 수 1069

장비 튜닝 데칼지를 이용한 스티커 제작 file [5]

  • stranger7
  • 2012-02-04
  • 추천 수 0
  • 조회 수 6295

기타 헝글 게시판에올릴 사진 쉽게 '리사이즈' ... file [13]

기술(테크닉) 프리스타일 보드의 라이딩에서의 기본자세 [23]

  • FX마진
  • 2010-12-04
  • 추천 수 0
  • 조회 수 11838

해외원정 알프스 스노우보드 원정 여행기 1편 :: 프랑... [4]

의학,부상,사고 피!로!골!절!의 무서움과 해결방안 [8]

기타 데크 길이/허리 사이즈 계산기 [3]

  • CarreraGT
  • 2013-10-18
  • 추천 수 0
  • 조회 수 5856

초보를 위한 강좌 바인딩 쉽게 푸는 법 (살로몬) [3]

  • 1002134
  • 2011-02-15
  • 추천 수 0
  • 조회 수 8889

장비 튜닝 보관왁싱을 해야하는 이유 file [7]

  • Nieve5552
  • 2013-03-08
  • 추천 수 0
  • 조회 수 4144

장비 관련 Evolve 실제 사용자 스펙 file [2]

장비 관련 헬멧 블루투스 튜닝.?? file [2]

일반 캐나다에서 현지강사로 일하기 2편 [5]

  • 부루루
  • 2012-09-19
  • 추천 수 0
  • 조회 수 2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