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chy의 스노우보드 무작정 따라하기( 부제 : 한 시즌만 타면 카빙 초입까지 간다)

Lession 3. 스노우보드 Step By Step

chap 1. 슬리핑
 바인딩의 각도를 1편에서도 언급했지만 9 / -9 도로 세팅하고 타시길 바랍니다.  왜 일반적인 15 / 0 도로 세팅하지
않고 9 / -9도로 세팅하고 타는지에 대해서 따지냐?  오우~ 그걸 따질 정도면 이 글을 건너 뛰어도 될 정도로 공부
를 많이 한 사람이거나 좀 타본 사람이 틀림 없다.
 따지는 사람이나 딴지거는 사람 무지 무섭다. 물어 볼때도 살살 물어봐 달라. 세게 물고 아프냐?하면
 다모의 이서진도 아니고....당근 아프다.

 사설이 긴 이유는 좀 웃겨 볼라고 그랬는데 잘 안되네요. 그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보드를 처음 접하는 대부분의 분들이 젊은 분들인지라 보드 기술의 발전 가능성이 있는 분들인데 우리나라 보드장은
외국에 비해 무지 열악한 형편이고 슬롶이 대체적으로 짧아서 라이딩만 하고 내려 오기에는 허전한 생각이 많이 든다.
그래서 라이딩 하다가 그라운드 트릭을 많이 하게 되는데 주어진 현실에서 우리나라 보더들이 슬기롭게 대처한 것이
라고 생각한다.(그라운드 트릭을 우리나라만 한다고 비꼬지 말고 현명한 대처라고 생각해 주시길)
글쓰는 사람은 그럼 그라운드 트릭 잘하냐고요?
당근이다. 내가 알리치면 기본 1미터이고 필 받음 사람 넘어간다...........뻥이 좀 있다는걸 감안해 달라.

 라이딩만 하고 내려오면 1분인데 그라운드 트릭 까지 하면 2분 정도까지 늘일 수 있다. 고로 오래 탈 수 있다. 미안하다.
위의 말은 공식적인 코멘트이고 트릭을 해야 작업이 잘된다. (보드를 작업하기 위한 도구로 설정한 점 대단히 죄송합니
다. 설정이다)--삼천포로 샜다
그라운드 트릭을 하기 위해 처음 배울때 구피와 레귤러를 정하고 배우지 않고 양쪽 다 배우면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바인
딩 각도를 양쪽 각이 같도록 세팅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단어가 나왔다. 작업할때 일단 얼굴이 안되면 말빨이라도 세워야 한다. 가끔 외국어도 섞어서 말하면 일
단 끔뻑 죽는다. 하지만 종종 고수가 듣고 있을지 모르니까 단어 하나하나 잘 외워야한다.
팬쥴럼이 낙엽인지 모를때 옆에서 딴지거는 넘한데 엉뚱한 소리 했다가 개쪽 당한 사람 봤다. 절대 나의 이야기 아니다.
"팬쥴럼만하면 되. 낙엽은 안해도 돼".....부끄러운 사실이다....치명타가 될 수 있으니 잘 외우자.

레귤러 : 보딩을 할때 왼쪽발이 먼저 나가는 사람
구피   : 보딩을 할때 오른발이 먼저 나가는 사람
스위치 : 레귤러 타다가 구피로 구피 타다가 레귤러로 바꾸는 행위 또는 사람
역엣지 : 역(逆) Edge. 진행방향의 엣지가 아니라 반대 방향의 엣지가 슬롶에 닿아 넘어지는 행위
백(힐)사이드 슬리핑 : 보드를 타고 슬롶에서 바라 볼때 콘도나 리프트권 파는 곳을 바라보는 자세이다. 또는 시선이 내려가는 방향을 보는 자세이다.
프론트(토)사이드 슬리핑 : 백(힐) 사이드 슬리핑이랑 반대이다(이래도 모르면 집에가) 산을 바라보거나 슬롶 정상을 보거나 내려가는 방향 반대를 보는 자세이다.(이래도 모르면 스키 타라)

 위의 사이드 슬리핑을 베이직 슬리핑이라고도 한다....자 외우자...베이직슬리핑.
백 또는 프론트 슬리핑을 할 때 중요한 포인트는 시선은 전방 50m에 있는 꽃보더......쿨럭
쫙 붙는 스키어의 엉덩이는 보지도 마라. 스키어 보면 울컥 하거나 역엣지 걸린다.
또 하나의 포인트는 양발의 힘을 고르게 줘야한다. 5:5로. 한쪽을 더 힘주면 비스듬히 미끌어진다.
더불어 상체는 꼿꼿하게 세우고 무릅은 기마 자세를 취합니다.
기마자세시 발목과 무릎까지는 수직으로 올라와야 합니다. 약간 바깥으로 내민다고 생각하세요.
팔은 어깨높이로 수평을 만듭니다.

복습 잘 했나 확인합니다. 왜 베이직 슬리핑을 연습 할까요? 네 맞습니다. 발란스와 엣지 감각을 알기 위해
하는것입니다. 보드위에 몸을 세우고 넘어지지 않을 균형 감각을 갖추기 위함입니다.
엣지의 감을 익히기 위한 연습법이다! 양손을 벌리고 무릅을 구부리며 엉덩이를 낮춘다 엣지를 풀었다 멈출때는
자세를 낮추면서 뒷꿈치에 힘을 실어준다
최소한 백사이드 슬리핑 2시간 프런트사이드 슬리핑 2시간은 연습하십시요. 저도 했냐고요?
당근 안했습니다. 제가 이렇게 연습했다면 지금쯤 프로로 전향할까 생각 중일겁니다.
기초가 튼튼해야 건물을 높이 쌓을 수 있습니다. 이것만 제대로 해도 어슬픈 초보자들을 작업가능합니다.

포인트 : 시선, 5:5, 수직, 수평, 기마자세

chap 2. 팬쥴럼(낙엽)--사이드 슬리핑(사활강)

case 1. 베이직 슬리핑이 잘 된다면
        제목에서 보았듯이 참 여러가지 말로 불리는 낙엽이다. 이 낙엽만 잘하면 최상급까지 단숨에 올라 갈 수 있다.
      단 목숨은 보장하지 못한다.

      먼저 힐 팬쥴럼에대해 말씀 드립니다.
      위의 베이직 슬리핑 자세에서 목만 90도 회전하여 왼손 끝을 바라보세요(이때 손은 수평입니다). 그리고 왼손
      을 약간 슬롶 아래쪽으로 수평을 유지한채 돌리면 보드가 비스듬히 옆으로 미끌어 집니다.(오른손도 따라 돌
      아야겠죠)
      슬롶의 가장자리까지 갔다면 약간 내렸던 왼쪽 팔을 원상복기 하십시요. 완전하게 멈추었을때 반드시 시선은
      정면을 바라보십시요.(대부분 왼쪽을 바라보고 다시 오른쪽을 바라보고 하시는데 왼쪽 사할강의 마침은 시선
      이 정중앙에 위치하여 다음을 준비해야 합니다. 꼭 지켜주세요)
      이번에는 목만 90도 회전하여 오른쪽 손끝을 바라보세요.(역시 손은 수평입니다). 오른손을 약간 슬롶 아래쪽
      으로 수평을 유지한채 돌리면 보드가 비스듬히 옆으로 미끌어 집니다.(왼손도 따라 돌아야겠죠)
      이때도 시선은 손끝을 지나 멀리 꽃보더를 바라보십시요. 스판바지 꽃스키어 보시면 역엣지 걸립니다. 마찬가
      지로 슬롶의 가장자리까지 갔다면 약간 내렸던 왼쪽 팔을 원상복기 하십시요. 완전하게 멈추었을때 반드시 시
      선은 정면을 바라보십시요.
      사활강(낙엽)을 하실때 처음에는 내려가는 각도를 조금씩 하시다가 나중에는 50도까지  많이 올려 보세요.
      이때 발의 힘을 5:5로 하세요(어떤분은 진행방향 반대쪽으로 엉덩이가 빠지는걸 방지하기 위해 6:4로 하라고도
      하시는데 요령입니다)

      다음은 토 팬쥴럼인데
      모든 요령은 힐과 같고 정면을 바라보는게 슬롶 정상일뿐입니다.(잘 모르시면 스키어 타는거 고려해 보세요)

      이 낙엽을 초급, 중급, 상급에서 마스터 하십시요. 마스터 하시면 대한민국 보드장이 다 내껍니다.

      낙엽시 주의 사항
        1. 시선은 멀리 진행 방향을 바라보세요.
        2. 양 다리의 힘을 5:5로 하시고 무릎을 약간 벌린다는 생각으로 타세요.
        3. 상체는 꼿꼿하게 세우고 엉덩이 넣고 배도 넣어세요.
        4. 정상적인 낙엽을 하면 장딴지가 무지 당깁니다.
        5. 팔이 수평이 안되고 점점 내려갑니다. 다시 한번 올리세요.
      
case 2. 베이직 슬리핑이 잘 안된다면
      왜 안되는지 생각해 보세요.
      대부분 힐 사이드 슬리핑은 되는데 토 사이드가 잘 안되더군요. 진행 방향을 보지 못하니까 불안해서 몸이 움
      추려 들기 때문입니다. 겁을 없애는 방법 솔직하게 사람마다 다 달라 설명 드리기 힘들지만 친구랑 같이 돌아
      가면서 뒤를 지켜 봐 주세요.(친구랑 그동안 잘 지냈어면 별일 없지만 잘 못했다면 똥침 조심하십시요)
      안되는 부분만 집중적으로 하세요. 같은 초보끼리 조금씩 도와가며 연습하면 좋습니다.
      물론 고수를 초빙하여 강습을 계속 들어도 좋지만 고수도 보딩해야죠.
      
chap 3. 보드장예절 

      1. 보드십계명을 명심하라 (보드 십계명보기)
      2. 바인딩을 채울때 슬롶의 가장자리에서 다른 사람의 진행을 방해하지 마세요.
      3. 슬롶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사람은 어린아이들과 꽃보더이다. 근처에 가지말자. 충돌금지.
         (작업시외에 꽃보더 접촉 금지)
      4. 데크는 소모품임을 명심하고 보딩에 지장 없는 상처는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느낌(염장)이라도 참고 넘겨라.
         (데크 아무리 아껴도 상처가 납니다. 부러지거나 엣지가 나가거나 하지 않는다면 좋게 넘어가자.)
      5. 리프트 탈때 꼬마 혼자 타면(보호자 없이) 자신이 보호자라고 생각하고 잘 챙겨주자.
         (애들을 이뻐하는 남자를 보는 꽃보더가 혹하고 넘어 올지 모른다)
      6. 슬롶에서 뒷 사람은 앞 사람을 피해갈 의무가 있음을 명심하고 무리한 주행을 하지 않는다.
      7. 리프트 대기줄까지 고속으로 라이딩 하지 않는다.
      8. 항상 작업 정신을 가지자(깨끗한 매너를 보이는것이 작업이다. 꽃보더는 매너맨을 좋아한다)

chap 4. 기타잡설
      1. 첫 리프트를 타는 꽃보더는 부지런한 사람이다. 일단 80점은 기본으로 줘라.
      2. 혼자 초급 슬롶에서 고분분투하는 초보 보더를 보면 친절하게 도와주자.
      3. 리플 한마디에 그림까지 곁들여진 좀더 나은 컬럼을 기대할 수 있다....(ㅜ.ㅜ)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6002
2577 장비 튜닝 시즌말 데크의 베이스 제대로 청소하기...올... [20] Corea 2004-03-02 7 4261
2576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의 입장에서 본 5:5 무게중심 느끼기~!!! [5] 타이지 2004-03-03 10 3593
2575 해외원정 일본 아키타 [20] 누피 2004-03-03 6 3161
2574 일반 제 나름대로의 허접하지만 쓸만한 데크 보관... [16] 달리는빠나나 2004-03-04 14 4246
2573 해외원정 일본 원정시 가볼만한 사이트 하나 있네요. [11] 지리멸렬 2004-03-04 15 3096
2572 헝그리 캠페인 눈길운전.......주의합시다.... [18] 휘닉스 2004-03-05 11 2163
2571 장비 관련 나사에 대한 고찰 [15] 꽃을 던지고... 2004-03-05 7 4940
2570 절약법 집이나 시즌방에서 먹다남은 야채 처리 방법.. DRAGON™ 2004-03-07 23 1926
2569 일반 초보자의 직활강은 무서워.... [48] 김철소 2004-03-08 4 3936
2568 일반 Luchy의 스노우보드 무작정 따라하기(제 1탄) [29] Luchy 2004-03-08 11 3919
2567 일반 Luchy의 스노우보드 무작정 따라하기(제 2탄) [13] Luchy 2004-03-08 12 3184
2566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의 타이밍에 대하여.... [35] 김철소 2004-03-08 8 5409
» 일반 Luchy의 스노우보드 무작정 따라하기(제 3탄) [18] Luchy 2004-03-09 14 3746
2564 기타 [인라인]opp.의 인라인 talk...인라인을 시... [10] opp. 2004-03-10 6 2105
2563 의학,부상,사고 보드장에서 꼭지켜야 할것... [9] ohhssa 2004-03-11 11 1911
2562 헝그리 캠페인 돈보단 사람.. [7] 빨강망또 2004-03-12 8 1966
2561 장비 튜닝 밋밋한 저가(低價) 바인딩 나름대로 꾸며보세~ [8] 김치보더 2004-03-12 8 2778
2560 의학,부상,사고 쌍방 과실에 대해서... [18] 멋진경민 2004-03-14 7 3843
2559 장비 관련 알파인 데크 선택의 기준 [9] Cold Fusion 2004-03-14 15 3443
2558 장비 관련 하드한 데크가 좋은 데크다? [19] 철인 28호 2004-03-14 19 3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