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란스는 가장 기본적이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CASI에서 1번인 stance & balance 중 발란스 부분을 잠깐 살펴보겠습니다.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합니다.)

balance(발란스)


1. fore and aft balance(좌우면 발란스) - coronal plane

1)좌우면에서의 관절 운동 - 외전, 내전, 거양, 강하, 외측굴곡, 내측굴곡; 측전, 옆으로 굽히기, 다리 옆으로 벌리기 등과 같이 인체의 운동에 대한 보조 운동이나 변화를 요하는 운동에 주로 행해진다.

2)좌우면 혹은 노즈와 테일면에서 일어나는 발란스를 말한다.

3)보드가 폴라인와 일치할 때 체중이 전경, 중경, 후경이라고 칭하는 것은 이 면에서 이루어진다.


2. lateral balance(전후면 발란스) - sagittal plane

1)전후면에서의 관절 운동 - 굴곡, 신전, 배측굴곡, 족저굴곡; 겉기, 달리기 등의 인체 기본 운동은 하지의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을 중심으로 하여 이들 관절과 인접한 분절들이 전후면 상에서 신전 동작을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한 결과하고 할 수 있다.

2)전후면 혹은 토와 힐면에서 일어나는 발란스를 말한다.

3)스노보드에서 동작 - 인크리네이션, 앵귤레이션의 동작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앞, 뒤로 넘어지는 동작 모두 전후면에서 일어나는 운동이다.


3. vertical balance(수직면 발란스)

이는 운동역학에서 잘 언급되지 않는 면이나 스노보드에서 프레셔를 주는 업과 다운 동작에서 살펴볼 수 있다.


4. rotational balance(수평면 발란스) - axial plane

1)수평면에서의 관절 운동 - 회전, 회내, 회외, 외번, 내번; 몸통 회전, 목 회전, 머리 회전 등 장축 인체 분절 명칭을 따라 부르며, 또한 회전 방향에 따라 목 좌측 회전, 팔 외측 회전, 대퇴 내측 회전 등과 같이 좌우 회전 또는 내, 외측 회전 등의 세분화된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2)횡단면에서 일어나는 발란스를 말한다.

3)스노보드에서 동작 - 목, 어깨, 골반, 무릎, 발목 로테이션에서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CASI reference guide

체육기능해부학, 이연종, 윤정수 공저, 홍경



보드가 타면 탈수록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가 아마도 단일 면의 운동이 아닌 다차원 면의 운동이라서라고 생각되며, 이 모든 면에서 상황에 맞는 자세를 취했을 때 비로소 안정되고 긍정적인 퍼포먼스가 나오게 될 것입니다. 특히 인간이 스노보드를 타기 전까지 전후면 운동을 주로 행하다가 스노보드를 배우면서 사이드웨이로 향하는 좌우면에서 운동을 하는데의 은연 중의 거부감이 있을 것이라 생각도 해 봅니다.
스노보드가 배우기 여려우시죠! 그렇다면 지극히 정상입니다.


Linus

2010.01.20 02:05:45
*.238.25.99

뭐든지 활자로 먼저 배우는 스타일이라 칼럼 항상 주의깊게 보고 있습니다.
(보드를 글로배웠어요...응?)
앞으로도 주옥같은 글 계속 부탁드립니다 ^^

2010.01.20 02:35:13
*.232.28.7

전후면 운동에서 좌우면 운동으로.....이 말에서 가재와 꽃게가 떠오르네요.
나는 빠르게 앞으로 걷는 가재보다는 이쁘게 옆으로 걷는 꽃게가 더 멋져부러.....^^

코나와

2010.01.20 09:57:20
*.77.78.35

스노보드가 배우기 여려우시죠! 그렇다면 지극히 정상입니다.......................네
님 글보니 더어려워지네요......걍 설렁설렁 즐겨야 겟어요 @,.@

잘타고파

2010.01.20 17:53:03
*.101.60.23

밸런스가 안되면 상급으로 가기 어렵다는...

겐세이짱

2010.01.20 18:41:09
*.247.145.9

어디서 본듯한 그림인가 했더니 ^^; 카시 교본에 있는 내용이네요 ㅎ

김정훈

2010.02.05 14:53:56
*.240.126.82

그냥 드립다 보드만 타서 그런지..어렵게 느껴지네요..ㅎ
암튼, balance의 중요함을 느끼게 되는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

레몽레인

2010.02.15 17:01:41
*.193.239.108

주옥같은 칼럼 계속 부탁드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66
3137 기술(테크닉) 라이딩중 전경 후경의 이해 - 3. 자세 file [21] Lunatrix 2014-01-23 33 10999
3136 장비 관련 사이드 컷을 활용하자. (카빙 쉽게 하기) [4] Akapoet 2015-01-20 6 10981
3135 장비 구입 중고 장터 데크 구입시 반드시 확인해야할 사항 [21] 나지롱 2009-12-14 47 10978
3134 의학,부상,사고 덕스탠스의 부상 위험성 [62] 파우더~! 2006-12-17 9 10964
3133 기술(테크닉) 토션에 대한 이해 - 2. 토션의 발생 file [19] Lunatrix 2015-01-01 14 10962
3132 기술(테크닉) 입보더가 생각하는 업다운의 진실? 그리고 ... [36] 인상펴라 2015-10-19 6 10951
3131 초보를 위한 강좌 카빙턴 실력 증진 한줄팁.. [8] naskl 2015-05-23 4 10932
» 기술(테크닉) balance(발란스) file [7] 문박사 2010-01-20 35 10931
3129 CASI 새롭게 바뀐 CASI의 비기너턴 영상칼럼 업로드 secret [58] 해일로 2014-10-20 33 10930
3128 기술(테크닉) 업동작의 뒷이야기(아직도 뒷발차기를 하시... [55] 펀보더 2008-01-24 42 10893
3127 초보를 위한 강좌 스케이팅못할때 리프트타기 file [10] 허니듀 2014-12-11   10883
3126 일반 싱싱한 스노우보드 동영상 다운로드 받기 강좌 [31] eS必 2008-10-08 70 10863
3125 외국어 이벵이나 인터넷쇼핑몰에서 유용한 영어문장... [38] 바램지기 2007-03-21 31 10841
3124 기타 0708 파란만장한 전설의 데크 시승기 [80] JohnBird 2008-01-18 57 10838
3123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을 배우는 순서 [43] 으악 2008-02-07 58 10824
3122 기술(테크닉) 테크니컬라이딩에 관한 짧은 생각 file [25] ┓푸른바다┏ 2017-02-13 14 10801
3121 기술(테크닉) 중급슬롭에서 카빙이 잘 안돼신다면..몇가지... [39] 허접보더 2008-01-08 48 10800
3120 장비 튜닝 ◆ 나만의 보드복 만들기◆ 보드복 염색하기 [42] 에디게레로 2006-06-01 105 10795
3119 헝그리 캠페인 바인딩을 체결하고 리프트에 탑승해 보아요~ [109] 자무쉬 2009-01-31 58 10787
3118 장비 튜닝 데크! 스티커로 완전히 덮어씌우기 [45] 짠돌보더 2003-11-19 10 10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