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을 보면 일본보더들은 상체를 항상 오픈한 상태에서 라이딩을 하는데...

토턴시 상체로테이션을 하긴 하는건가요?;

제 눈에만 그게 안보이는건가요?;

 

 

 

 

 


엮인글 :

2011.02.16 03:37:07
*.171.252.131

김현식님의 스노우보드 강좌를 보면

레귤러 기준으로 상체 로테이션시 오른어깨를 사용하여 밀어주라고 나오죠

그래서 토턴시 왼팔은 오픈해도 오른어깨로 밀어주면서

전체적으로 상체 로테이션이 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저분들은 워낙 마일리지를 많이 쌓으셔서...언뜻 보기엔 잘안느껴지는게 아닐까 생각이드네요

칼들고디스코

2011.02.16 07:41:34
*.197.208.54

완전 오픈 한것처럼 전혀 로테이션 안쓰는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론 분명히 로테이션을 지긋이 아주 미비한 움직임으로 로테이션이 이루어지고 있어요

 

게다가 바인딩자체가 전경각이기떄문에 국내보더들 입장으로 BBP 자세라면 일단 토우쪽 상체 로테이션이 먹은상태랍니다~

 

턴 시작부터 후반끝까지모시면 시선과 손끝의 변화도 있지만 특히 데크의 테일쪽<어꼐>를 보시면

 

로테이션이 이루어지는게 보이실겁니다~ ^^

뱅뱅™

2011.02.16 07:54:30
*.221.93.220

칼들고디스코님의 의견에 한표~

어깨오픈식 라이딩은

카시식 로테이션이 아니고

데크의 이동경로에 방해가 되지 않게

자연스럽게 따라가는 정도이고

레귤러기준 왼손으로 하기보단 오른손과

어깨를 이용하는편이 훨씬 편합니다

순도리

2011.02.16 07:59:48
*.173.40.137

힐턴시 앞쪽발 보시면...  엣지 전환시 앞쪽발을 쭈~~욱 펴는게 보이실 겁니다..  전경자세에서는 저렇게 될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야 턴 회전반경이 동일하게 될테니까요..  왜 앞쪽발을  쭈욱 펼까하고 궁금해 햇었는데.. 전경자세를 취해보니 턴반경과 엣지 먹는 각 때문에 앞쪽발이 펴지게 되더군요...  그러면서 상체 로테이션이 들어갑니다...  ^^

Limzi

2011.02.16 14:40:19
*.221.180.2

1년차 늅늅늅인데요.... 앞쪽발이 쭈욱 펴져 있으면 무게중심은 후경이 아닌가요??;; 궁금해서;;

 

 

face

2011.02.16 18:19:20
*.122.48.122

후경자세 맞습니다.  덧붙이자면 토우턴들어갈때 로테이션이 아닌 카운터 로테이션입니다. 알파인을 접목시킨거라 볼수있습니다.

요엘

2011.02.16 20:49:36
*.152.233.200

림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야이바보야


테일에 무게를 실어주는 후경축이 되는것이다. 라는,,,,

 

-ㅅ- 으뇽쭈님 말 몰흐냐??? 림지 바보다 바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림지 -ㅠ-

face

2011.02.20 17:40:04
*.226.204.19

머라는거냐빙신 보드에보짜나알고 나대세여 매너없는거보니 초딩이구만

요엘

2011.02.26 22:09:41
*.150.46.21

머라싸대시는지? 림지에게 리플단겁니다. 림지는 친한동생님이구요. 가시던 길 그냥 지나가시길_ 역빙신주제_ 쩝_

face

2011.03.21 18:43:14
*.109.110.11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존내 미안 합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한테 딴지거신줄알고 ㅋㅋㅋㅋㅋㅋㅋㅋ 성격이 개팍해서 저한테 딴지거는거 못참거든요 ㅋ 죄송;;꾸벅

요엘

2011.09.06 22:59:36
*.102.100.28

ㅎㅎ 저야말로 죄송;;꾸벅 (^^) (__)

아 제가 더 미안하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경아빠

2011.02.16 09:04:53
*.215.82.146

작년에 문박사님이 올린 칼럼에서 이야기했던 주제같네요  스키의 패러랠턴의 매커니즘처럼 상체를 다음턴의 중심쪽에 던져놓고 턴을 진행하면 (오토바이타고 턴을하는것처럼)상체로테이션이 턴을 리딩할 필요가 없습니다   숏턴의 경우 고정시킬수도 있고 롱턴의 경우 그냥 시선가는방향 따라가는정도로충분하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제생각이고 그때 결론도 못낸 이야기니 가려서 들으세요.. 

나는감자

2011.02.16 10:53:46
*.226.222.9

<p>좋은정보 잘보고 갑니다 요번주 라이딩때
이자세 연습 할려고 했는데....


</p>

미친스키

2011.02.16 11:15:34
*.176.10.85

라이딩 스타일에 따라서 정로테이션 / 역로테이션 / 無로테이션을 섞어 쓰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움직임 자체도 크지않아 보이구요.

나경아빠

2011.02.16 11:44:58
*.221.55.2

무게중심이동 (크로스오버 언더 쓰루 )을 이해하실려면 최소한 업다운을 이용한 리바운딩을 느끼고 이용할정도는 되셔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전에는 상체로테이션을 이용하실수밖에 없고 상체로테이션을 기본으로 배우시는게 당연히 맞다고 생각합니다  잘못 이해하실까봐 노파심에 한줄 더 적습니다..

애정결핍-

2011.02.16 12:23:15
*.20.35.226

혹시나 토턴때 설면에 손이 닿을듯한자세가 매력있어서 일부러 상체를 구부리시는 분들 있던데~ㅋ

동영상에서 보듯이 스피드와 카빙이 어우러져야 자연스럽게 되는 것이니....

엉뚱한 욕심은 밸런스를 무너트리는 지름길이니.... 조심하시길~ㅋ

필름버프

2011.02.16 12:29:29
*.236.3.225

카시 스탈과 일본식 스탈의 차이가 좀 있죠~

 

글올린이신분은 카시 스탈의 상체 로테이션을 찾으 시는거 같네요

치명적인미소

2011.02.16 12:34:45
*.130.4.247

댓글들을 읽다가 혼동이 와서 저도 댓글을 남겨봅니다..

 

제 눈엔 분명히 힐턴시 엣지를 박은 상태에서 로테이션을 가미해서 상체를 돌려주고

 

토우턴 전환시 엣지부터 박고 상체는 힐턴 했을때 왼쪽으로 열린 상태에서

 

왼쪽 어깨를 뉴트럴까지 감아주면서 로테이션 주는게 보이는데요...

 

제가 잘못알고 있는건지...

사무엘잭슨

2011.02.16 12:47:48
*.184.96.140

저 영상보면 바인딩 각도를 함 봐보세용...ㅎ 거즘 알파인 각도에용

알파인보더들이 토턴시 어깨 집어넣던가요..ㅋ 아니잖아여...ㅋ

님도 각도 알파인처럼 바꾸고 타면 느껴지실껄요 ㅎㅎ

 

여기까지 제 상상입니다 ㅋㅋ

치명적인미소

2011.02.16 13:07:21
*.130.4.247

자세히 보시면 덕스탠스의 보더도 있고,

전경각이라고 해도 알파인처럼 심하진 않은걸 보실 수 있을겁니다.

 

게다가, 알파인은 토턴시 어깨가 설면에 평행하게 떨어지는 데 비해

위 영상에선 외경을 줘서 그렇게 만든 보더도 있고

한쪽 어깨만 떨어지는 보더도 있네요

 

하지만 공통적으로 턴이 진행되면서 어깨를 닫아주는건 보이네요

전 이걸 로테이션이라고 보는데, 댓글들은 그렇지 않은거 같아서 단 댓글입니다.

바인딩 각도의 문제는 아닌거 같네요

 

사무엘잭슨

2011.02.16 14:25:00
*.182.54.156

아 자세히 보니까 다르네용

제가 지식이 짧아용 그래서 제 상상이라고 말한거임...ㅋㅋㅋ

정말 탈면 탈수록 보면 볼수록 정답은 없다고 생각이 듭니당

Tom

2011.02.16 17:12:06
*.170.49.253

알파인도 외경을 줘야 어깨를 설면에 평행하게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만...

치명적인미소

2011.02.16 20:34:55
*.104.46.124

외경 안주고 그게 되나요 ㅋㅋㅋ

惡夢

2011.02.16 13:05:31
*.50.21.22

저도 이글에 동의(?)합니다만..

火男

2011.02.16 15:32:07
*.192.20.137

일본라이더들은 롱카빙할때 특히 토턴할때 상체를열고 들어갑니다~

엄밀히말하자면 로테이션을 하는거겟죵?

힐턴마무리하고 상체를 더과감히열어주면서 턴을진입한다고해야되나 ?-_-;;ㅋㅋ

토턴마무리할때는 순간상체를 닫아줘서 더강한프레스를 주기도합니다

요엘

2011.02.16 20:56:18
*.152.233.199

동감동감 : )

밥보다보딩

2011.02.16 15:41:13
*.104.231.47

저 또한 관심사라 제가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서 소견을 말씀드려볼까합니다... 일본스타일이라고 칭하는데 토턴시 상체의 열림 현상이 기존의 정석으로 일컬어지는 보딩 스타일과 완전히 상반되는 부분이라 나름 열심히 관찰하고 연구해보았는데여~ 특히 히로유키의 경우에는 상체를 과도하게 비틀어 여는 느낌까지 들기도 합니다... 왜이럴까?에 대해 고민해보고 잘되진않지만 어설프게나마 따라해보고난 느낌은 일본식 카빙에서 그들이 롱턴시 가장 관심을 갖는 부분이 어떻게하면 커다란 원의 모양을 그릴 수 있는지와 어떻게하면 엣지각을 세울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이라고 느꼈습니다... 고속에서 이쁘게 원을 그리기 위해서 보다 안정적으로 속도를 컨트롤할 수 있는 프레스가 필요하고 따라서 좀더 날을 세우기 위한 동작이 필요했던거 같구여... 보통 카빙연습을 해보신분이라면 느끼셨을테지만 날을 세울수록 데크가 확 말리는 느낌있잖아여~ 날을 세우는데 치중하다보면 그리고자하는 원이 그들이 원하는 모양으로 그려지지 않고 속도변화도 커져 안정적인 자세유지가 힘들테고... 암튼 그러한 연유로 보다 이쁘고 안정적인 롱턴을 위해 날은 있는대로 세우면서 상체를 반대로 비틀어 열어줌으로써 데크의 말림과 라이더의 자세를 콘트롤할 수 있는 팁을 얻은것이 아닌가하는게 저의 짧은 생각입니다... 그간 나름 특훈을 하며 분석한 저 나름대로의 해석인데 이러한 저의 생각은 어떨런지여?^^;;

OolOBBA

2011.02.16 16:26:42
*.49.52.244

저 동영상의 라이더들 처럼 집에서 벽같은데 기대거나 줄같은거 매고서 앉아보세요.^^


화면을 캡쳐해서 나눠서 보면서 앉으면 잘 보일텐데요. 앉을때 자연스럽게 상체가 오픈되게 됩니다. 

오픈을 시키는 순간에 로테이션이 들어가는거라 생각됩니다. 다운할때 자연스럽게 상체가 회전하더라구요. 

근데 그게 많지는 않구요. 골반과 무릎 이쪽까지 생각하면 로테이션은 충분할꺼 같습니다.


또한 저들이 타는 경사가 완경사는 아니고 급경사잔아요. 로테이션이 강좌나 데몬자세처럼 눈에 보일정도로 과도하면

과도한 로테이션에 의한 안좋은 현상들이 발생할꺼 같은데요...


항상 느끼는거지만. 보드라는거 아는거 만큼 보인다. 이건 정말 맞는말 같아요.

누구의 팔이 웃기다. 팔을 왜저럴까. 왜 열려있을까. 왜 라이딩시 고관절 사용?. 다운의 방향? 축?

이런거 다 엄청난 내공에서 뿜어져 나오는 스킬들인데. 전무한 지식으로는 볼수 없다는게 저의 생각입니다.


요즘 많은분들이 영상에 나오는 라이딩을 추구하시는데요.정말 열심히 연습하시고 기본기 잘 다져두고.

제대로된 강습등을 통해서 올바른 지식을 잘~ 습득해야만 될꺼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동영상자료실에 올라오는 많은 분들이 부작용에 안타까워서요...

일편단심

2011.02.16 18:43:46
*.224.193.199

상당히 공감가는 댓글이네여..

요엘

2011.02.16 21:06:31
*.152.233.200

제대로된 강습들을 통해서 올바른 지식을 잘~ 습득해야만 될꺼 같다는 생각도 저역시 들긴 드네요,,,

국내에서는 CASI 자격 강사들뿐이고, JSBA자격 강사님들 몇 분없는거죠? :  ) 휘팍에 상주하고 계신거 같던데 몇 분들이,,

ㅎㅎ여튼 저도 니혼식라이딩에 대해서 올바른 지식이 널리 알려줬음하네요.

한국에 도입할려는 분들이 몇 분 없는게 안타까움 : )  뿌리가 올해부터 이루어지길 바랍니다ㅋ

phumin

2011.02.16 22:20:33
*.32.251.143

제가 알기론 우리나라엔 아직  JSBA강사자격증을 취득하신분들은 없는걸로 압니다,,^^

기술검정테스트 벳지레벨2를 취득하신거죠,,^^;

이번 무주,용평에서 치뤄지는 SIA기술검정테스트와 비슷한거라 알고 있습니다,,

단, 윗분들은 일본에가서 벳지테스트를 받으신거구요,,^^

소울카버

2011.02.17 02:05:41
*.86.241.57

넵 맞습니다 jsba 경우는 베지 2급을  취득하고 1급을 응시할수 있고 합격하면 베지레벨 1급이 됩니다 그 사람들 중

강사의 의사가 있는 사람들은 매년 7월에 있는 강사양성소에 들어가서 교육을 받고 c급 인스트럭터가 됩니다

저는 wsf 레벨1 자격으로 강습을 해야겟지만 일본 라이딩은 소위 과외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아직은 강습비가

쌉니다만 ...

sia는 베지 2급 또는 1급을 가진자에 한해서 매년 4월있는 페스티발에 참가하여 실기와 이론 시험을 보고 합격하면

스노보드 레벨 1 교사가 됩니다

나경아빠

2011.02.17 08:41:17
*.215.82.146

사촌동생 제수씨가 c급 인스트럭터 자격가지고 있더군요 교포 였고 지금은 결혼해서 한국에 삽니다 북해도 4년상주했다고 하더군요 부러워죽는줄알았습니다..지금은 활동을 안해서 그렇죠....ㅡㅡ;

전투보더얌

2011.02.16 17:21:56
*.50.21.21

멋있다! ㅋㅋ

셜록홈준

2011.02.16 17:32:35
*.129.124.206

어깨를 닫고 타던 열고 타던  카시던 일본이던 로테이션은 다 합니다.

 

동영상에도 턴 시작(진입) 부터 어깨( 잘안보이시면 뒤쪽어깨) 를 보시면 로테이션 하는것이 확연히 드러나지요

 

정답은 없다고 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일본스타일이 더 박진감있고, 임팩트 있어서 신나보입니다. 특히 히로유키 ;;

 

 

갱스터

2011.02.16 18:16:18
*.138.28.56

극한의 아드레날린!!  소위 말하는 1급수들이죠.

굴러내려오기

2011.02.16 18:47:18
*.10.106.2

힐턴과 비교하면 분명 열린 정도의 차이는 있고요.

그 차이만큼의 '상체' 로테이션이 들어갔다고 봐야겠죠.

 

미흡하나마 제가 경험하기로는

같은 전향각의 스탠스라고 해도 상황에 따라 상체 로테이션 정도가 다른 느낌입니다.

 

물론 전 급사에서 저런 카빙은 꿈도 못꾸지만.. ;;

인클 크게 안주고 앵귤로만 탈 때와

동영상에서처럼 적당한 경사에서 인클과 앵귤을 둘 다 주며 자세를 좀 더 많이 낮추며 탈 때..

 

전자가 상체 로테이션을 더 많이 해야 안정적이고 원하는 만큼의 턴이 되는 반면

후자는 힐->토 넘어오는 시점 상체 로테이션을 하며 넘어왔다가도 엣지가 체인지 되고

낮은 자세를 만들어가며 프레스를 꾸준히 주는 시점에는 오히려 상체가 엣지체인지 시점보다 더 열리게 되더군요.

그럼에 불구하고 토턴의 라인을 그리는데 크게 무리가 없는 느낌이고요.

 

위에 OolOBBA 님께서 말씀하신 원리와도 비슷한 것일 수도 있는데

일단 저런 모양새를 시전해보시면 아....하고 감이 오실듯하네요.

 

아...전 21/9  앞발 뒷발 모두 전향으로 탑니다.

圖弧鬼

2011.02.17 10:16:44
*.80.124.34

저도 이 문제에 대해 고민한 적이 있습니다만, 결론은 "과도한 힐턴시의 다운을 그대로 다음 턴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어깨를 오픈하고 토턴에 진입할 수 밖에 없고, 그렇게 해서 발생하는 로테이션의 부족함을 스티어링으로 보충한다." 였습니다.

따라서 카빙 입문하시는 분이 처음부터 이런 방식으로  연습하다간 이도저도 안 될겁니다.

처음엔 카시 방식으로 로테이션을 충분히 주면서 연습하다가, 자세가 충분히 낮아지고 카빙이 깊게 들어가기 시작하면 더 낮게 해주기 위해서 일본방식으로 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가 해보니 무릎이 땅에 닿을 때쯤 되면 카시식의 로테이션은 무게 중심을 너무 턴의 회전반경 안쪽으로 두게 되어 토턴시 앞으로 넘어지게 되더라구요.

H.G

2011.02.21 22:14:18
*.36.104.111

히로유끼에 매료되어 저도 열심히 연습중입니다 님말에 공감합니다..
토턴시 어깨를 오픈하고 뒷무릅을 슬롭에 붙이는 이유는 과도하게 말리는 형상을 잡아주기위한
하나의 방식 그들만의 노하우가 아닌가십습니다..(고속에서의 카빙중 빠른 체인지를위한 방법?)
여기서 힐에서 토로 진입할때 아주 미약하지만 잠깐에 로테이션은 일어납니다
그후 오픈상태에서 님말처럼 후경을 주고 무릅을 최대한 눌러주는 이유는 과도하게 말리는것을 방지하기위해 눌러주는거라 생각합니다(어디까지나 제 생각입니다 ^^;;)
힐에서 토로 넘어갈때 강력한 리바운딩이 일어납니다.. 속도가 경사가없다면 모를까 동영상에서 처럼
속도가 있는경우 히로유키 영상보시면 리바운딩으로인해 잠시 체인지타이밍에 어께가 오픈과동시에 다시 크로스됩니다 무릅이 펴지고 정점에 올랐을땐 무릅이 모아지는것을 보실수있습니다 몸을 말고 크로스하는 이유는 다들 아시겠지만 과도한 속도에서의 카빙은 특히 힐턴시 터지기 쉽상이죠 프레스를 줄수있는 즉 데크에 내 중심을 떨어트려줄수있는 한계가있자나요..그걸 최대한 중심을 데크안쪽에 떨어트리기위한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부족하지만 제가 연습해본 결과 얻은거라 정확할찌는 모르겠어요^^

날고싶다ㅠ

2011.02.17 18:44:43
*.91.129.27

와 영상 보더들 리바운딩 작살나네요...

 

죄송합니다.. 전 하수라 감탄만 하고 갑니다!

달리는곰탱이

2011.02.17 20:04:42
*.209.47.4

제가 범접할 수 없는 수준의 댓글이라...

 

"저거 따라해보려고 애쓰지말고 상체로테이션 연습이나 해~" 로 알아듣겠습니다ㅋㅋㅋㅋㅋ

바람의 그림자

2011.02.19 01:25:01
*.236.70.43

두가지 다 해보세여 최상급 경사에서 저 속도로 쏠수나 있을지 의심스럽군요

카스식 의 선행 스티어링과

일본식 카운터 스티어링 둘다 해보시고 본인이 편하게 느끼는걸 애용하시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헝글TV 故sky 추모 동영상 [24] RukA 2019-11-21 71 18050
공지 스노보드 [동영상 자료실 이용안내] ruka 2018-02-28 14 22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