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경제학 관점 세번째 이야기네요.
이런 글을 올려도 괜찮을지 고민 많이했어요.

헝글과는 어울리지 않는 얘기이고
또 다들 아실 것 같은 얘기라 걱정이고
괜히 뻔데기 앞에서 주름 잡는 것은 아닌가 싶어
조심스럽기까지 합니다만

이런 글을 쓰는 이유는

이런 논란이 생겼을 때
과연 무상급식이 또 복지가 그렇게 나쁜건지
그들이 말하는 것처럼 국민을 나태하게 하는건지
판단의 잣대를 다시금 살펴보기 위해서입니다.

이 글은 다수가 이해하기 편하도록
경제학 원론 수준에서 작성되며
그 중 국부의 판단 척도인
GDP를 통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흔히 무상급식과 복지정책 확대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무상급식과 복지엔 돈이 들고 이 돈은 세금에서 나가며
여기에 지출을 하게되면 정부 활동을 제대로 못하게 된다가 그 이유입니다.
결국 세금 낭비이며 전 국민에게 일괄지급하는 것은 사회주이이며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라는게 그들의 주장 이유입니다.

그러나 이런건 정치적 주장이지 경제적 논린 아니기에
글로벌화 된 현재 세계 정세에
그 나라의 부를 측정하고 국가간의 경제력 비교를 위해
자주 사용하는 GDP라는 툴을 통하여

과연 
무상급식과 급식과 복지지출이 나쁜 일이고
한 나라의 경제를 좀 먹는 행위인가를 판단해보고자 합니다.


한 국가의 부를 측정하는덴 여러가지 경제 지표들이 있습니다.

GNP(Gross National Product)
GDP(Gross Domestic Product)
GNI(Gross National Income)

흔히 아시듯
GNP는 국민총생산으로 일정기간 한 나라의 국적을 가진 사람들의 생산량 총액
GDP는 국내총생산으로 일정기간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생산량의 총액
GNI는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 기간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
단순화 하자면  교역조건의 변화를 반영한 소득지표를 뜻합니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GDP + 교역조건 변동에 따른 무역손익(해외순요소 소득)'입니다


얘기가 빠지고 있네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갈게요

GDP 일반 수식을 알아보자면 이렇습니다.
Y=C+I+G+(X-M)

각 요소를 극히 단순화 해서 설명하자면
Y=총생산량
C=소비
I=투자
G=정부
X-M= 수출-수입(export-import)

대충 읽어도 소비는 민간, 투자는 기업, 정부는 정부의 경제활동
수입과 수출 얘긴 해외부문이라게 느껴지시죠?

다시 한번 일반 수식을 적어보겠습니다.
Y=C+I+G+(X-M)
(이 수식은 소비가 증가하면 투자가 증가하고 투자가 증가하면 성장한다라는
아주 단순한 개념에서 출발합니다)

수식에서 알 수 있듯이
총생산량을 올리려면
민간 경제부문의 상승이나
기업 투자,정부, 해외 부분 각 요소에서 산출량이 증가하면
국가의 부가 증가한다고 볼 수 있겠죠?
모든 요소가 다 상승하면 국부는 엄청나게 증가할겁니다.

여기 이 수식에서 우린 
국민경제에서 소비와 투자 그리고 정부의 역할 또한 아주 중요한 것을
아주 단편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자신들이 행사하는 선거권의 무게를 가늠케 하지요.)

이렇듯 소비,투자,정부,해외부문 다 중요한데
무상급식을 한다면 
이게 정부의 역할을 축소케 만들어
경기를 위축시키고 국가경제에 큰 해악이 되는 것은 아닌가?
국민을 나태하게 만들어 악영향을 준다 라는 주장이 사실인 것은 아닌가?

그에 대한 답을 하자면 '아니다'입니다.

정부의 지출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무상급식은 '이전지출'이라고 합니다.

"응? 이전지출 그게 뭐지??"

사전적 의미는 
정부의 이전지출은 실없수당이나 재해보상금, 사회보장기부금과 같이
정부가 당기의 생산활동과 무관한 사람에게
반대급부 없이 지급하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러합니다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이전지출은 정부가 걷은 세금을 국민들에게 다시 돌려주는 행위입니다.
음.. 어떻게 쉽게 전달해야 할까요?

무상급식의 예를 들어 더 간단히 말하자면
무상급식은 미래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학생들의 밥값을
개별 경제주체가 내던 것을 정부가 대신 내주겠다는 얘기입니다.

이전지출은  
경제적 의사 선택에 혼란을 불러 일의키지 않기 때문에
딱히, 분석의 대상이 되지 않고 그냥 받아들여지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정부가 밥값을 대신 내주면
국민경제에 어떻게 이득이 되는가 궁금하시죠?

Y=C+I+G+(X-M)

여기서 C에 해당하는 민간부분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국민들
이들은 한달간 열심히 일해 돈을 벌어
현재의 삶을 유지하고 미래를 계획합니다.
간단한 얘기죠?

여기서 현재의 삶을 유지하고 미래를 계획한다는 말은 어떤 것일까요?
이는 소득과 소비 그리고 조세에 관한 이야기로 나뉩니다.

일반적으로 소득은 열심히 일해 벌어들인 돈
조세는 벌어들인 금액에 세법에 의해 정해진 세액
소비는 가처분 소득에서 사고픈 물건을 사던지 저축을 하던지
소비성향에 따라 행해집니다.

경제주체인 개인은
소득에서 세금을 납부하고 남은 금액에서 
그달 또는 그 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고정지출을 제외하고(가처분소득)
남게되는 금액에서 소비와 저축을 하게 됩니다.


위에 간단하게 적은 부분 중
이전지출은 가처분 소득에 영향을 미칩니다.

한달 급식비가 오만원이라고 가정하고
정부에서 이를 대신 내준다고 한다면
가계에서 한달에 사용할 수 있는 금액
즉, 가처분 소득이 오만원이 늘어나는 셈입니다.

그럼 여기서 개개인의 소비성향에 따라
어떤 사람은 오만원을 모두 저축할 수 있을 것이고
어떤 사람은 다 소비할 수 도 있고, 성향에 따라 다 달라집니다.

여기서 만약 가계에서 받은 돈 오만원을 모두 소비한다 가정하면
이 가계에서 평소보더 더 소비한 오만원은
다른 누군가의 소득이 되고 가처분 소득이 늘어나며
또 다른 이에게 소득을 안겨주게 됩니다.
이런걸 승수효과라 부르죠.

따라서 경기는 부양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경제학 관점에서 볼 때 무상급식은
경제를 후퇴시키거나 악순환을 부르는 경제 선택이 아닙니다.
경기 부양책이 되는거지요

------------------------------------------------------------------------
복지사회란
경제적 곤란과 생활의 불안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부의 부양책 중 하나이며,
삶의질,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물질적, 문화적 조건을 충족한 상태를 말합니다.

그 중에  이전지출은 대부분
서민들에게 아주 큰 효과를 지니게됩니다.
부자들은 오만원이 늘어나든 아니든
소비 성향에 따라 소비를 하고
금액에 따른 영향력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효율성 원칙에 따른 
선택적 무상급식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습니다.
(저는 이러한 주장을 터무니 없다 생각하지만
제가 말하고자 하는 얘기와는 다른 이슈가 되기에
다음에 기회가 되면 얘기하는 것으로....)

다만, 이런건 그 효과가 탄력적이지 못해
시장에서 바로 반응이 오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정부는 기업에게도 돈을 씁니다.
개발비를 지원하기도 하고, 세금을 감면해주고,
기업 경영에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기도 하고, 임대해주기도 합니다.

4대강 같은 국가 주도 사업을 통해
기업을 살려 경기를 살리는 부양책을 쓰기도 합니다
어떻게 보면 기업에게
일감도 만들어 주고 금전적 지원도 해주는 셈인데 말이죠.

그런데 그 누구도 정부가 기업에게 쓰는 돈을
무상지원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왜냐구요?
이러한 지출들은 기업에게 득이되어
투자를 늘리게 될 것이고 고용을 창출하여 
경기를 선순환 시킨다 믿기 때문이죠.

이는 서민들에게도 좋은 일이지만 
사회를 이끄는 지도층들에게
보다 더 좋은 정책이 됩니다.

근데 참 신기한게
왜 가계에 쓰는 정부의 지원금은
무상이 되고 공짜의 의미가 강하게 들어가야 되어야 하는걸까요?
소비가 늘어나면 기업의 활동도 활발해지고
이에 따른 고용의 증가도 발생할텐데 말이죠.

급식비를 내주면 무상이고 누구의 말에 따르면
무상급식은 국민을 나태하게 하는데

그 논리를 빌어다 쓰면 
기업이 나태해질 수도 있는 상황인건가요?

아마 정치적으로 활용하니 이렇게 되는 것이겠죠. 씁쓸하게도...

머리가 복잡해서 글이 잘 쓰여졌는지 모르겟네요.
헛점이 많을 수도 있고 그냥 쓸데 없이 글만 길어서 
가독성이 많이 떨어질지도 모르겠네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엮인글 :

삼촌1호

2015.03.30 15:10:32
*.1.69.138

깊이있는 생각을 하게 해주어 감사합니다 일단 추천~!

DandyKim

2015.03.30 16:33:01
*.108.162.182

비루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ㅁ<

초보균

2015.03.30 15:13:49
*.231.29.91

글쓴이 생각은 기업의 무상지원은 1 - 1 = -1 인걸 모르시나봐요


왜 -1인지는 다 아시죠?


국민에게 하는 무상지원과 기업의 무상지원은 급이 틀려요 급이..

DandyKim

2015.03.30 16:34:16
*.108.162.182

기업의 무상지원이라 함은

정부가 기업에게 행하는 지원을 말씀하시는거죠?


급이 다르다는 말씀 맞는 것 같아요.

국민에겐 한 푼 쓰는 것도 아까워하니..

초보균

2015.03.30 16:37:42
*.231.29.91

1 - 1 = 0 이 아니라 -1이 되는건 중간에 꼭 받아먹는 놈들이 있다는 거죠..


아래 어떤분의 글에서도 보셨다시피 우리나라 부패율 끝장나죠..


기업에게 헌신적이넌 기브엔 테이크의 법칙이 아닐까요?


국민에게 세금을 받는다? 이건 세금이지 본인의 주머니에 들어오는게 아니니까요...


기업에서는 내 주머니에 돈을 꽂아주니 꽂힌만큼 보여줘야하는게 급이 틀리다는 의미 아닐까요..?

DandyKim

2015.03.30 16:48:44
*.108.162.182

덧글 읽고 제가 생각하던게 맞네요.


정확한 말씀같아요.

펀글 보니까 부패도가 중국 수준까지...

그린데몽

2015.03.30 15:15:23
*.90.7.137

경제원론 수준에서도 이렇게 쉽게 풀어 쓸수 있군요...

고난이도(?)  개똥 정치철학을 들먹이지 않아도요~~

 

추천드리구 갑니다~~^^

DandyKim

2015.03.30 16:35:05
*.108.162.182

쓰고 다시 읽어보니

부드럽지 못한 부분이 엄청 많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

낙엽특공대

2015.03.30 15:22:46
*.145.197.224

무상급식이라는 말 자체가 모순이죠.

이 사회시스템이 자라는 미래의 대한민국에게 투자하는 기본중에 아주 최소한의 기본적인 투자인겁니다.

 

경남도의 아빠로써.. 제발....

서울분들 여의도로  홍삐리리 좀 데려가 주세요.

여기엔 정말 도움이 안되는 놈입니다.

DandyKim

2015.03.30 16:47:43
*.108.162.182

맞는 말씀이세요.

투자라고 표현해야 맞는 것 같아요.


그치만 서울 사람들이 홍씨를 별로 데려가고 싶진 않....

clous

2015.03.30 15:46:05
*.102.19.212

그들도 모르지 않을텐데 일부러 이데올로기나 대결구도 안에 넣어서 자기들의 이익을 위해 내용을 호도 하고 있는 모습이 안타깝죠. 나쁜 놈들.

DandyKim

2015.03.30 16:49:53
*.108.162.182

진짜 나쁜 놈들...

대결구도 만들어서 진실을 가리는 것 같아요.


국민들 한테 쓰는 돈은 디게 생색내려 하네요 ㅡ,.ㅡ;

야수파

2015.03.30 17:22:24
*.159.241.204

자유주의주류경제학에서는 세금이나 관세가 소비자 생산자잉여에 마이너스역할을한다고  설명합니다

 

세금은 적게 걷을수록 좋다는 이야기죠.

 

 

DandyKim

2015.03.30 17:39:12
*.108.162.182

맞습니다.

주류 경제학 내에서는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뉴턴적 물리에 기인한 균형분석대로만 따르면

이미 유토피아가 와야하나 그렇지 않으니


적용 방법은 개인차가 있을 것 같네요.

야수파

2015.03.30 18:01:17
*.159.241.204

경제학적설명을하자면 세금을 내는 중산층이상의 국민에게 구지 세금을 걷어서 다시 급식으로 돌려주는것은 제로가 아니라 마이너스입니다

 

사회적약자나 공공사업 치안 국방을 위해서 필요한만큼최소한만 걷는게 좋다는게 하이에크의 설명이죠

 

선별적복지냐 보편적복지냐 한쪽이 무조건맞는 설명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DandyKim

2015.03.30 18:21:10
*.108.162.182

본문은

선별적이냐 보편적이냐의 문제가 아닙니다.

내용은 걷은 세금을 이전지출을 통해

국민에게 돌려주는 것이 과연

국가 경제에 해가 되느냐 마느냐를 단순화 시킨 내용입니다.


주장하시는 것처럼 중산층 이상에게 주는게 해가된다 가정하면

그 기준을 어떻게 정하냐가 문제가 되는데


선별적 무상급식에 대한 개인적 사견을 밝히면

그런게 말은 쉬워보일지 모르나

실제 적용시키려면 많은 절차가 필요하고

수 없이 많은 보완이 필요합니다.

더군다가 '나 가난하오' 하는 것을 증명하라니요?


당장 성공적이라 평가 받는

의료보험료의 경우만 봐도

납부 방법에 이토록 헛점이 많은데 말이죠.


굳이 선별적 무상급식을 시행하려면

부자가 '나 부자니 급식비 지원 받지 않으렵니다'

라는 서류를 내어 놓게 만들면 쉽겠네요.

효율성의 원칙에 따라

부자와 서민의 비율을 보면

서민의 비율이 월등히 많으니

소수인 부자가 증명하는 것이 빠르고 간단하고

훨씬 효육적이겠네요

그러나 과연???


부자들은 오만원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니

상수로 둬도 나쁘진 않다 생각합니다

(지극히 개인적 사견입니다.)

맹구빠돌

2015.03.30 18:32:16
*.62.212.68

헝글에는 보드 잘타는 사람도 많고 똑똑한 사람도 많네요!!

질문! 가처분소득의 증가라고 하셨는데 가처분소득은 세금을 제외한거죠? 무상급식으로 세금이 증가한다면? 물론 중산층은 급식비만큼 증가하지는 않겠지만 사회 전체적으로 증가한다면 오히려 소비나 투자가 감소 할 수 있지않나요??

DandyKim

2015.03.30 18:34:17
*.108.162.182

소득의 증가는 승수효과를 받습니다.

세금이 증가한다면 일정 비율이구요.


제가 쓰면 다른 사람의 소득이 증가하고

그 사람이 늘은 소득만큼 또 쓰면 또 다른사람의 소득이 증가

(승수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러합니다.)


그 중 일부는 세법에서 정한 세율만큼

세금으로 나가겠지만 

나머지는 개인의 순소득으로 바뀌게 되니까

총 소득은 증가하는 셈이지요.


소득의 증가로 인해

양날의 검이긴 하지만 

소비와 저축이 증가하면 이 또한

경제 선순환의 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내수활성화 대책 중 하나가 될 수 있겠네요.

맹구빠돌

2015.03.30 18:39:22
*.62.212.68

중산층 개개인은 소득이 증가해서 승수효과를 누리지만 과연 사회 전체적으로 그럴수 있을까 하는게 제 생각이라..정부 지출이라는게 세입이 정해지고 지출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지출에 맞춰 세입을 정하는거니까 세수가 풍족하지 않은 국가에서는 적용되기 힘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DandyKim

2015.03.30 18:53:12
*.108.162.182

서민과 중산층의 비율은 전체의 80퍼센트 이상입니다.

승수효과를 누린다면 사회전체적으로도 그 효과를 본다고 봐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본주의에서 차별성은 경제를 선순환시키는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이런 차별의 갭이 커지면 여러가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사회적 편익이 감소하면 경제활동 포기, 범죄 등의 사회적문제를 처리하는 비용이 커지지요.


정부의 이전지출로 인해 국민의 심신적 안녕이 이루어진다면

사회적 비용의 지출도 줄어들테니 상쇄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효율적 원칙의 입장에서만 볼 경우에

정부가 지금껏 행하고 있는 일 중

멈춰야 할 일이 한둘이 아닐 것 같기도 합니다.


ps:

야수파님과 맹구빠돌님에게서 고수의 향내가!

많은 얘길 나눠보고 싶기도 합니다.


손T

2015.03.30 22:44:06
*.72.147.27

흠... 원래 글 잘 안쓰지만~ 관련직종이라~ 다들 경제적으로 이야기하시지만... 실질적인 처지로 말씀드리자면...요새 학교가 힘들어요~

다들 다른 예산이 더 있고 무상급식 예산있는줄 아시는데~ 학교예산이 엄~~~청 줄었어요~ 

위에서 내려주는 돈은 고정인데 급식비로 나가서... 다른 예산 완전 초절감입니다. 


출장가서먹는 식비 7000-> 5000원으로 줄고 그마저도 출장비없어서 출장가도 그냥 제돈으로 가는 경우도 있죠

애들 준비물예산도 줄었고 학교시설수리비도 줄고 기타등등 다~~~ 줄었어요. 


물론 무상급식도 좋고 차별안하는것도 좋은데 그럼 예산좀 더 내려주세요~ㅜㅜ

여름에 애들은 5월부터 덥다고 난리지만 전기세부족으로 에어컨 못틀고(외부기온30도 넘어야 잠시 틀어요~교실은 외부보다 훨씬덥다는...)

겨울에도 애들은 춥다고하지만 돈이없어 히터 1-2시간 겨우 틀죠(영하에... 하긴~ 그나마 나아요. 애들이 뛰어서 덜추우니...)

저 제가앉을 의자도 제돈주고 샀고 컴퓨터는 윈7 작년에야 들어왔어요~


긴 댓글의 핵심을 요약하자면~ 밥도 좋지만 쓸데없이 새는 돈을 줄여서 더 지원해주시던지 

아님 뭔가 대책을 마련해주시길~ 시설비빼서 밥주면 애들 밥만 지원될뿐 다른건 더 안좋아집니다. 

DandyKim

2015.03.31 01:40:58
*.162.154.184

현업에 계시는 분들의 목소리가

청와대에 닿기를 간절히 희망합니다.

멍구930

2015.03.30 23:07:19
*.224.40.20

추천
1
비추천
0
정부가 기업에 지출하는 것은 투자라고 하면서 왜 가계에 지출하는 것은 공짜라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라고 하셨는데, 기업은 생산의 주체이고 가계는 소비의 주체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둘은 분리된 것이 아닙니다.
한 개인이 직장에서 일을 하면 기업의 구성요소가 되는 것이며 퇴근하고 집에 오면 가계의 구성원이 되는 것입니다.

이전지출과 승수효과 2가지 용어가 핵심인듯 한데 이전지출은 님이 적었듯이 생산활동과 무관한 사람(실업급여, 재해보상금, 사회복지기부금 등)에게 반대급부없이 지급하는 것을 말하지만 무상급식은 국민모두에게 지급되는 것이므로 개념상 맞지않는 용어입니다.

승수효과는 원래 투자의 개념을 설명하면서 나온 용어입니다. 이전지출 자체가 생산활동과 관계없이 지급되는 걸 가정한 것이므로 승수효과란 개념도 맞지 않는 것입니다.

용어에 혼란이 있었지만 님이 무슨 말을 하려는지는 알겠습니다. 정부가 가계에 돈을 지급하면 이것이 소비로 이어져 경제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라는 것이지요?

일견 타당해 보이지만 님이 말한 것은 경기부양정책이고 무상급식은 복지정책이므로 정책의 목표와 방법이 다릅니다. 복지정책은 경기를 부양하는 목적이 아니라 경제적 약자와 소외계층에 재정적인 지원을 함으로써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하고 다시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입니다. 아니면 경제활동에서 완전히 소외된 사람들도 최소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단기적인 경기부양책과 달리 이러한 복지정책은 한번 시행하게 되면 굉장히 오랫동안 거의 국가가 지속하는 한은 지원해야 하므로 재정지출의 규모가 다릅니다. 미래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지요 무상급식과 같은 복지정책은 정부의 역할을 축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강화시키게 됩니다. 정부의 힘이 커지고 민간부분의 역할이 줄어드는 것이지요

무상복지에 반대하는 사람의 논리는 님 말대로 부자들 한테는 5만원이 크지 않습니다. 이렇게 불필요한 지출을 줄여서 오히려 경제적 약자에게 사회보장망을 더 강화하자는 것이지요. 급식 뿐 아니라 방과후 학교, 교재비 등 학업과 관계된 비용도 지원하는 것입니다. 아울려 학교의 교육환경을 개선해 전체학생에게도 도움이 되는 곳으로 예산이 쓰여지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때문입니다. 이경우 경제학에서는 '기회비용'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제한된 예산을 한곳에 사용할 경우 다른 쪽에 사용될 예산이 축소되기 때문에 신중하게 선택하고 집중을 해야 합니다.

복지국가의 롤모델로 흔히 북유럽을 듭니다. 그 국가들의 높은 조세율을 차치하고라도 그러한 수준의 복지가 가능한 2가지 중요한 특징은 바로 자원과 인구입니다. 북유럽은 석유를 비롯한 풍부한 지하자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국가의 재산이 되어 복지의 중요한 재원이 됩니다. 또 하나 인구가 적다는 것입니다. 노르웨이 스웨덴이 아마 1천만명 내외일 것입니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는 나라가 세계에 몇 안됩니다. 초등학생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나라가 전세계에 2개 밖에 없다는 것을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세금은 소득의 재분배 효과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무상급식처럼 모든 국민들에게 사용하면 소득재분배 효과는 가져올 수 없습니다. 님 말대로 80%가 혜택을 보는 건지 80%의 표를 노리고 선심성 공약을 하는 건지 유권자들이 합리적인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 


DandyKim

2015.03.31 01:29:59
*.162.154.184

글 하나에 엄청난 논제가 들어있네요.

하나씩 구분하겠습니다.

 

1. 이전지출에 대해 조금 헷갈리고 계신 듯 합니다.

여기서 생산활동과 무관한 사람이라고 함은 실업자만을 얘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지원 대상의 생산력과 무관함을 뜻하기 때문에

생산활동과 무관하다고 표현하는 것이지

그게 꼭 실업자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렇게 표현하면 아주 이해가 쉬울 듯 하네요.

 

'보조금'

 

이전 지출은 보조금의 성격을 띄는 겁니다.

이는 복지와 비슷하지만 또 다른 개념입니다.

또한 경제적 의사결정에 혼돈을 주지도 않습니다.

전 국민에게 적용된다고 해서 사라지는 그런 개념이 아닙니다만

굳이 따져보자면 자녀를 학교에 보내는 가계에 한해서 지원되는 것이지

전 국민에게 지원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gdp 일반 수식에서 정부부문의 지출로 잡히지도 않습니다.

다시금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2. '반대급부 없이'란 말에 대해서도 혼돈하고 계신 듯 합니다.

위에서의 반대급부의 뜻은 대가를 바라고 하는 행위가 아닌

순수한 구매력의 이전을 뜻합니다.

이는 정부가 국민들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데 있어서

이로 무언가를 생산하도록 하거나 강제하지 않겠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이전지출이라는 개념은 성립합니다.

(솔직히 학계에서도 인정하는 무상급식= 이전지출을

개념 자체가 틀렸다 주장하시는 분은 처음 뵙습니다.

대부분 효율성을 따지고 논쟁을 하는데 이런 주장은 처음이에요.

좀 더 얘기를 들어보고 싶네요.

우리들이 틀릴 수도 있는 것 아니겟습니까?)

 

3.승수효과는 이전지출로 발생하게될

성향에 따른 소비로 효과를 표현한 것이지

이전지출 자체가 승수효과를 가진다 표현한 적은 없습니다.

 

4. 승수효과에 대해서도 큰 오해를 하시고 계신 것 같습니다.

투자의 측면에서만 승수효과는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주류나 비주류나에 따라 '정부 승수'를 부정할 수는 잇겠지만

소비를 함으로써 일어나는 승수효과를 부정하는 분은 처음 뵙습니다.

소비가 미덕이 되는 이유가 이 때문인데....

좀 더 자세한 얘길 듣고싶습니다.

(이전 지출을 부정해서 소비를 통해 나타는 승수효과를 부정 또는 무시하신건가요?

이전지출이 성립되든 되지 않든 지원을 통해 가계에서 소비가 확대된다면

 반드시 나타나게 될 현상인데 무시하셨습니다. 이유가 궁금해요)

 

5. 死대강에 들어간 금액만 30조가 넘습니다.

한해 관리비만 수천억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합니다.

무상급식을 안한 것에 대비되는 기회비용 치곤 크네요.

없어서 못하는 것일까요? 안해서 못하는 것일까요?

 

정부가 효율성 원칙에 따라 행동하면 갈아엎고

선택적으로 지출해야할 금액은 널렸습니다.

국민연금, 의료보험 등등 선택적으로 행할게 산재해 있습니다.\

 

어떤 한 지역에 혼자 살아도 전기 신청을 하면 특별한

거절 사유가 없는 한 설치합니다.

유지 보수비용이 가구의 전기 사용으로 인한 생산량보다

크더라도 설치됩니다.

이토록 복지는 효율성 원칙을 반하는 요소도 아주 많습니다.

 

5. 복지에 필요한 재원을 만들기 위해

인구와 자원이 필요하다 하셧지요?

인구를 늘리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요??

 

대한민국은 박정희 시절

아들 딸 구분 말고 하나만 낳아 잘살자는 기치를 내걸고

정책을 펼쳐 지금 우리나라의 인구 분포가 바뀌게 되었습니다.

 

셋 나으면 애국자가 되는 이 시기에

인구수를 늘리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가계에 돈이 없으면 낳고 싶어도 못 낳는게 현실 아니겠습니까?

노동시장을 개방하여 노동력 경쟁을 가속해 임금상승을 억제하고

복지를 게을리 하면 할수록 점점더 고령화 사회가 될겁니다.

단기적 시각에서 보면 비용이 될 수 있겠지만

장기적 플랜에서 보면 세수의 확보가 되겠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사견입니다)

 

6. 다른 나라가 하지 않는다고 우리나라가 하지 말라는 법은 없습니다.

우리의 의료보험을 오바마가 벤치마킹하고 있지 않습니까?

무상급식은
부의 편중, 미혼모 증가, 물가의 상승, 화폐가치의 하락, 신계급사회의 출연 등...

부의 양극화가 가속되고 있는 현재의 대한민국에서
자아가 형성되는 시기에 한끼 먹는 밥 때문에 위축되고 소외되는 아이들이 없애자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이들을 감싸안아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 건강한 인재를 만들어
향후 대한민국을 이끌어나갈 건강한 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함입니다. 일종의 투자죠
(이런 문제에서 효율성 원칙보단 평등의 원칙을 찾으면 안되는건가요?)

 

7. 부의 재분배는 여러 형태로 나타나지만

말씀하신 소득의 재분배라는 개념 자체에 이미 복지라는 개념이 들어가 있습니다.

무상급식이 복지의 성격을 띄는데 왜 불가능한지 좀 더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효율성을 따져 효과가 미미해진다 덜해진다가 아니라 전부 부정을 하신 이유를

좀 더 자세히 설명부탁드려요)

멍구930

2015.04.01 16:10:21
*.147.91.174

1. 이전지출

무상급식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계정으로 이전지출이 맞습니다. 착오가 있었네요 하지만 이는 무상급식예산이 생산과 무관한 비용인 것을 오히려  반증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하튼 회계상 계정항목에 관한 논의는 본질과 무관한 것이라 이정도로 정리해 드립니다.


2. 승수효과

승수효과를 언급한 것은 무상급식으로 가처분소득이 늘어 소비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말하기 위함인 것 같은데... 역시 본질과는 무관한 것 같습니다. 일전에 말씀드렸듯이 경기부양책과 복지정책은 목적과 성격이 분명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전세계 어떤 나라도 경기부양을 위해 복지정책을 쓰지는 않습니다.


세금을 걷어서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국민에게 비용을 지원할바엔 이런 복잡한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세금을 깎아주는게 훨씬 효율적이고 직접적으로 효과가 나타날 것입니다. 경기란건 변동하기 마련이고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지만 복지정책은 강한 경직성을 가지므로 한번 시행하면 철회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국가가 세금을 더 걷기 않으면 채권을 발행해 빚으로 예산을 충당해야 하는데 이는 현세대가 지금 편하자고 미래세대의 아이들에게 빚을 떠 넘기는 부끄러운 행동입니다.


3. 부의 재분배

상기와 연관하여 부의 재분배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안정망 구축과 아이들이 교육을 받는데 빈부와 상관없이 균등한 기회를 부여받는데 세금이 사용되어야지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모두가 똑같이 혜택을 받는다면 부의 재분배 효과가 극히 미미하거나 없다고 보여집니다.


4. 인구와 자원은 복지의 롤모델로 여겨지는 북유럽 일부 국가의 특수성을 설명하기 위해 말씀드린 내용입니다. 이러한 조건을 가진 국가는 극히 일부이므로 이를 복지의 일반적인 롤모델로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 인구는 착오가 있으신 것 같은데 인구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북유럽 복지국가의 인구가 적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 인구가 줄어드는게 박정희 시대 인구제한 정책때문이라는 건 정말 동의하기 어렵고 과학적 사실과 다른 내용입니다. 한 국가가 발전하고 사회가 고도화 되면 인구증가 속도는 줄어들게 마련입니다. 출산장려정책도 이러한 속도를 늦추기 위함이지 우리나라가 6-70년대와 같이 다자녀를 출산하는 시대로 회기할 수는 없습니다. 이는 유럽의 선진국가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저개발 국가일수록 인구증가 속도가 빠릅니다. 전통적인 농경수렵사회에선 사람수가 곧 생산력을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예전에 우리 부모들이 아이들을 많이 낳은 이유도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농사도 짓고 산에 가서 나무도 해오고 하기 때문입니다. 사회가 고도화 되고 산업구조가 바뀌면 사람들이 자녀들을 적게 두려고 합니다. 결혼 시기도 늦어지고 아이들을 키우는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적게 낳으려고 하죠...


5. 4대강 사업은 한정된 교육예산으로 무상급식비용을 충당하다 보니 다른 교육예산이 줄어들기 때문에 아예 다른 예산을 줄여 교육예산으로 편성하자는 얘기인 것 같은데 한 국가의 예산이 쓰여질 곳이 교육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불필요한 예산을 줄이는 것도 맞고 4대강 사업에 대한 철저한 평가를 통해 불필요한 예산은 없었는지 비리는 없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맞으나 그 돈으로 아이들 밥주자는 주장은 국가 경제를 너무 단순화 시킨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논리면 평창올림픽 안하면 그 예산으로 아이들 밥 몇년동안 먹일 수 있습니다. 시설유지보수비도 해마다 발생할 것이구요 아울러 천문학적인 대북지원금도 마찬가지구요


6. 해외사례를 예를 든것은 그러한 경우를 통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기 때문입니다. 전반적으로 복지국가를 지향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그것은 그 나라의 경제상황에 맞게 점진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것이지 특수한 나라의 사례를 일반화하여 우리나라에 무리하게 적용하면 부작용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스와 스페인의 사례가 그러합니다.


전 오히려 우리 국민이 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스와 스페인의 사례에서 보듯이 공짜로 주겠다고 하면 그 당에 표를 주는데 반해 우리나라 국민들은 공짜로 준다고 해도 싫다고 찬반양론이 갈립니다. 이는 우리 국민들이 얼마나 성숙하고 양심이 있는지 반증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복지정책에 반대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논의를 거쳐 우리만의 복지국가모델을 만들어야지요.. 하지만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한달 2만5천원-3만원 정도는 밥값으로 부모가 충분히 부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고가의 보드 장비에 쓰는 돈을 조금만 줄여도 아이들 1년 밥값은 나옵니다. 이정도는 중산층 부모가 아이들을 위해 기본적으로 부담해야 할 돈이라고 생각합니다.

DandyKim

2015.04.02 23:53:39
*.108.162.182

1. 이전지출

아직도 이전지출의 개념에 대해서 혼돈하고 계시는군요

생산과 무관하게 주어지는게 맞습니다. 반대급부 없이 주어지니까요.

정부가 지원해주는 행위에만 주목하면 멍구님 말씀이 맞습니다만

이로 인한 파급효과도 생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승수효과

경기를 부양할 떄는 목적에 따라 다른 방법들을 사용합니다.

이전지출은 바로 반응이 나오는 그런 탄력적인 정책은 아닙니다.

그리고 본문은 무상급식이 국가의 경제를 좀먹는 그런 선택인가를 알아본 것이고

소비에 따른 승수효과로 경기부양의 효과를 보여 경제를 선순환 시키는 하나의 툴이다 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죠.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선 꼭 '이전지출만이 답이다'라고 말하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세금을 걷어서 모두가 똑같이 혜택을 받는다 하시는데...

생애주기표에 보면 아기를 학교에 보내는 시기가 가장 지출이 많은 구간입니다.

이 떄에 보조금이 지급된다면 가계는 한층 여유로워지며

당장 지금 우리나라의 문제이 소비위축과 관련된 여러가지 해법 중 하나가 되기도 합니다.

단순화 시키면 모두에게 지급하는게 아니라

소비가 많은 특정구간의 사람들에게 지급하는 보조금이라 하겠습니다.


그리고 보조금 보다 감세가 낫다고 말씀하시는데

고전학파이론인 RBC로 설명해봐도

감세 또한 가처분 소득을 증가시키는 행위입니다.

여기서 하나 집어드리면

감세야 말로 전국민을 대상으로 행해지는 선택이 되는것이죠.

그렇지만 멍구님 주장대로 전 국민에게 적용되니 효과가 없어지는건가요??

그건 또 아니랍니다.

멍구님 주장의 오류가 드러나죠?


3. 부의 재분배

위에서도 말했지만 생애주기에 보면 가장 많은 돈을 지출하는 구간이

학교에 보내는 시점입니다.

가계의 지출이 많은 그들을 지원하는데 부의 재분배 효과가 미미하다니요.

부자들에게는 10만원이 소비성향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서민에게는 탄력성이 엄청납니다.

가처분소득과 탄력성에 관한 논문은 아주 많고

쓰자면 엄청 길어지기에 생략합니다.


4. 항아리 모양의 인구구조를 말씀하시는군요

제가 표현이 부족했나 보네요 

이렇게 말하죠 박정희 정권의 인구정책 실패로

고령화 사회가 엄청나게 가속화 되어 나타났다고 표현할게요.


5. 위에 맹구빠돌님 덧글을 인용해야겠네요

".정부 지출이라는게 세입이 정해지고 지출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지출에 맞춰 세입을 정하는거니"

검증되지 않은 날조된 사업타당도 조사를 가지고 수많은 반대여론을 무시하고

헌법까지 날치기로 바꿔가며 강행한 것이 4대강 사업입니다.

여기에 많은 금액을 지출하여 지금 엄청난 과세를 하고 있는 셈이지요.

그래서 제가 이전에 적은 말이

"못해서 안하는 걸까요? 안해서 못하는 걸까요?"입니다.


6. 그리스와 스페인이 복지 떄문에 망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나본데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파생상품으로 인한게 맞는 것이구요.

파생상품으로 사건이 터진 결과 중 하나로 재정문제가 나왔습니다

이와 관련된 사항은 논쟁거리도 많고  또 글이 너무나도 길어지고 

본문과 관계없으니 생략하겠습니다.


우리나라 경제규모가 10위입니다

복지규모는 슬프게도 OECD 꼴집니다.


한달 3만원 정도는 부모가 충분히 부담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급식비가 그렇게 싸지도 않거니와

한 자녀만 둔 가정도 있지만 둘 셋을 둔 가정도 있습니다

5~20만원이 되겠네요.

당장 지금 경남도민의 어머니들을 보면

한달에 고정적으로 지출해야할 금액이 커졌다 난립니다.

그들의 목소리도 좀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또 말해야겠네요.

가처분소득이 줄어듭니다.

쓸 돈이 줄어요.


소비 위축....

경제 선순환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멍구님의 주장을 단순화하면

'모두에게 지급되어지는 이전지출은 경제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건데

이전지출이라는 정책 자체를 부정하고 계십니다.


좀 더 설명을 해주시지 않는 이상 납득하기가 힘드네요.


모두가 잘살자고 이런 논쟁도 하는 것이겠지요.

개인적으로 슬픈 일이 생겨 덧글이 늦었습니다.

항상 행복하셔요

문콕

2018.02.16 18:02:12
*.39.92.110

후덜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58] Rider 2017-03-14 42 180063
198063 스티커나눔.. Lucy♡ 님 초치기 이어서 갑니다~!! 불발 ㅜ.ㅜ!! [31] JJOON™ 2015-04-03 6 705
198062 사칭해서 잠금처리 하지마세요 에메넴 2015-04-03 6 994
198061 드디어ㅠ_ㅠ [12] 도라에몽v 2015-04-01 6 589
198060 지름엔 인증이라해서 file [20] 이노인호 2015-03-30 6 1024
» 경제학 관점에서 보는 무상급식 이야기.(몹시스압) [27] DandyKim 2015-03-30 6 2073
198058 4월5일 다이빙 관련 중간공지입니다... [10] 무쌍직전영신류 2015-03-30 6 1058
198057 ㅋㅋㅋ 댓글 쌓다보니 랩업했네요 [9] 앞쩍뒷쩍아픔 2015-03-30 6 5309
198056 해머타면 인정받는현실 [31] 비로거 2015-03-28 6 3209
198055 나눔 당첨자 발표합니다~ file [15] BlingBling♥ 2015-03-25 6 780
198054 [나눔 인증]warp님 데크 나눔 인증입니다. file [13] 맹구빠돌 2015-03-24 6 1404
198053 해외에도 지름신은 상주하나봐요 file [21] NADAE 2015-03-22 6 1426
198052 ㅇ ㅓ ㅁ ㅓ!!!!꽃보더다!!!!!! file [26] BUGATTI 2015-03-22 6 3889
198051 3월. 로맨틱. 막걸리. 성공적 (부제 : 불금의 형제들~*) file [54] 도레미파♪ 2015-03-21 6 1347
198050 신택호님 스티커 제작 file [40] 양팔벌리고... 2015-03-20 6 2717
198049 웹섶 하다가 본 글인데 반성되네요.. [19] (``0쳐묵쳐묵) 2015-03-20 6 1058
198048 스키장 사고관련팁.. [18] 다마★ 2015-03-20 6 1610
198047 싸가지 좀 갖고 행동합시다. [29] 꾸야. 2015-03-20 6 1649
198046 자장구 삿습니다 ㅋ file [10] 꽃보다스노보드 2015-03-19 6 1150
198045 비도오고 file [30] gomad 2015-03-18 6 1212
198044 두 분?께 감사드립니다. file [14] 김홍석™ 2015-03-18 6 1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