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많은 사람들이 힐턴시 상체와 골반을 오픈 시켜놓은 상태에서 bbp 를 잡고 베이직 카빙을 해라고 하는데 의문점이 생깁니다.
자기 셋팅 각도 42에 27 예시로 각도로 골반과 상체를 열고 탄다면..
제자리에서 이미 바인딩 힐컵이 종아리에 닿지 않고 뜨게 되던데..


뒷발은 아에 힐컵에서 벗어날거고 앞발은 종아리 우측이 짗눌릴건데..
이런 강좌가 초보입장에서는 되게 혼돈이 오고 합니다.
바인딩 각도대로만 서서 상체를 살짝 오픈하고 타면 양발에 프레스를 더 잘줄수 잇는데 또 잘못타면 엉빠 때문에 문제가 될테이고..
유툽같은곳은 상체와 골반을 같이 열어준 bbp에 힐턴진입시 안정적인 턴을 구사할수 잇다는데.. 실제 오프라인에서 강사들은 바인딩각도대로만 서잇으라 하고


아무튼 초보 입장에서 상체 골반을 열고 탈때 바인딩에서 힐컵이 떨어지고 프레스가 잘안먹히니 엣징이 안되는느낌(슬림) 각도대로만 놓고 타자니 엣징은 잘되나 엉빠가 되고.
ㅠㅠ 명쾌한 칼럼이나 좋은 설명좀 부탁드릴게요
엮인글 :

진데렐라는아홉수

2022.12.13 09:51:45
*.62.148.120

알파인도 그렇게 안열고타요 ㅎ
그리고 턴중에 골반이 계속 움직이기때문에
골반이 바인딩각도에서 멈춰있으니까 엉빠처럼보이는겁니다
힐턴에는 닫혀있다가 열어주고 토턴엔 열려있는상태에서 닫아주면됩니다 확열면 테일돌아가니 데크움직임에 맞게 돌려주세요

짙은눈썹

2022.12.13 09:52:04
*.161.71.229

추구하는 스타일에 따라 다를 거 같습니다.

 

몸을 꼬아서 인위적으로 자세를 만들면 단 기간에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을거 같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기 시작하겠죠.

Lumen

2022.12.13 10:00:28
*.234.79.170

강사분들이 단순히 자세만 보고 알려줬나 보군요. 

이게 좀 잘못된 방법인데...

 

"제자리에서 이미 바인딩 힐컵이 종아리에 닿지 않고 뜨게 되던데.."

 

바인딩 세팅 , 스트랩 세팅 문제 어느 정도 타신분들은 이 문제와 하이백이 부츠에 밀착 되지 않아 고민 하신분들 많습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글로 쓰기는 시간이.. (귀찮...) 없으니 간단하게 저는 셋팅 & 부츠로 해결합니다.

 

 

"bbp에 힐턴진입시 안정적인 턴을 구사할수 잇다는데.."

 

맞으면서도 틀린 말 BBT 자세로만 해서는 기울기로는 좋은? 데크덕에 그립을 유지한 카빙은 가능하지만 

보통 원하는 자세? (전향을 하려는 분들) 에서는 BBT 는 그냥 기본 서 있는 자세일뿐 그 이상 이하도 아닙니다.

 

 

저 같은 경우 강습.. 강습이라기보단 그냥 회원들 알려주는 용도이고 대부분 일본라이더들의 이론 강습을 듣고 보고 하다보니 

그 이론을 바탕으로 제가 경험한 것 만 알려주고 있습니다. 

 

먼저 앞발을 39정도로 고정하시고 뒷발만 21~27까지 옴겨 가면서 편한 자세먼저 찾으세요. 

 

그 후 카빙 영상 말고 엣지갓을 세우는 방법에 대해 찾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엣지각은 단순히 카빙하면서 세우는게 아니라 슬로프에서 맨 바닥에서 또는 방에서도 연습 할 수 있습니다. 

 

팁이라면 발꿈치로 발가락은 높이 들고 서 있으려면 내 바인딩 세팅이 어떻게 되어야 할까? 고민 하면되겠네요.

 

진위확인

2022.12.13 10:29:52
*.184.7.131

혹시 앞발 뻗기라는것은 멀까영? 스텝온 바인딩이라 힐컵 못돌려서 뻗어지지는않는데  뻗음으로써 데크 누르라는 의미인가영

짙은눈썹

2022.12.13 10:44:45
*.161.71.229

앞발을 뻗는다는 건  다리를 펴라는 건데 그러면 뒷발이 구부러 지니

 

그 상태에서 자세를 잡아라 라는거 같습니다.

 

부츠가 이미 전경각이 어느정도는 들어가있고 또한 하이백 때문에 뻗기가 힘들어집니다.

 

힘으로 누르거나 또는 부츠를 구워서? 말랑하게 만든다음에 사용 하시는 분들도 계시더라구요.

 

 

라이딩 스타일에 따라 다르니   앞발을 뻗어서 라이딩 하시는 분들에게 여쭙는게 빠를거 같습니다.

5센치

2022.12.13 10:48:47
*.33.180.130

각도대로 서있구요 옆구리를 살짝 비틀어 접어서 탑니다...

Lumen

2022.12.13 11:00:39
*.235.2.4

단단한부츠면 앞발을 피고 누룸으로 자세변화를 가져 올 수 있기 때문..

뒷발을 굽히기 힘들어서

이건 말로는 안되고 좀더 자세히 아는분에게 강습받으세요.

좀... 안 맞는분에게 받은것 같네요

분노조절잘해

2022.12.13 14:01:00
*.112.217.51

바인딩 각도대로가 맞는데 왜 누가 그랬는지 모르지만 가압시 엉덩이가 테일 쪽 데크 위에서 벗어난 방향이면 엉빠라고 알여졌습니다.
오히려 바인딩 각도 보다 과한 로테이션인 그런 자세를 “꼬인 자세”라고 합니다.
데크 위에서 바인딩 각도 그대로의 프레싱과 과한 로테이션에서의 프레싱 둘 중 어떤 자세가 손실이 적고 관절 부담이 덜할까요?
또한 앞발 뻗기라는 것도 과한 테일 쪽으로의 엉덩이를 밀기위한 꼼수(?) 같은 거 아닐까요? 있는 그대로 몸의 무게 중심이 바인딩 사이로 그대로 내려오는게 가장 빠르고 강한 프레스를 주는 방법입니다. 앞발을 뻗고 부족한 앞발의 프레스를 상체로 덮는다? 이 자세는 가압력과 타이밍 손실이 큰 오로지 자세를 만들기 위한 자세라고 봅니다. 또한 무릎을 필수록 슬롭에서 오는 충격 또란 자연스럽게 굽혀졌을 때의 완충 움직임이 없어져서(무릎이 자동차 쇼바 같은 역할입니다)커지게 되고요
엉빠는 데크에서 골반이 벗어난 것이 아닙니다.
엉빠란 바인딩 각도 보다 상체와 골반이 덜 돌아간 상태에서의 다운을 엉빠라고 하는게 옳겠지요?

암꺼나해

2022.12.13 15:07:02
*.111.15.209

바인딩각도대로 서라는게
42 27 각도대로 서라는게 아니고
42 27에서 만들어는지는 몸의 각도대로 서라는겁니다(뉴트럴에서)
뉴트럴이라함은 데크에 힘이가해지지않고 베이스면 전체가 바닥에 붙는것입니다
그상태로 똑바로 직활강이 가능해야합니다
그리고 오픈이라고함은
데크에42도만 오픈해도 오픈이고
데크에 90도로 오픈해도 오픈이라고합니다
그양을 말하는게아니고
바인딩각도에서 나오는 몸의각도를 오픈시키라는겁니다
셋팅마다 사람마다 스타일마다 각종 변수등등 마다
오픈되는 각도는 다 다른기때문에 어떤한가지 각도를특정할수없습니다

분노조절잘해

2022.12.13 15:15:13
*.112.217.51

오픈 그 양이 중요합니다. 부족해도 과해도 몸이 꼬이게 되어있습니다. 과한 오픈은 당연히 로테이션이 과하게 되고 관절에 무리가 가게됩니다. 특히나 뒷다리 무릎과 발목에.

암꺼나해

2022.12.13 17:50:27
*.111.15.209

양이중요한게아닙니다
바인딩42도가 골반70도로오픈하는게쉽나요
15도가 70도로오픈하는게쉽나요?
양은 절대적인거고
오픈은 상대적인겁니다
바인딩 15도면 많아도 골반 30도 40도정도를 오픈이라고 표현해야겠지요
42도에게 골반 30도 40도는 오픈아니고 클로즈라고 불러야하는것처럼
양은 절대적인수치일뿐이고
오픈이라는것은 상대적수치입니다

즉 오픈이라는것은 양으로표현하지못합니다 기준이 모두 다른기때문입니다

분노조절잘해

2022.12.13 17:58:45
*.112.217.51

그러니까요. 15도에서 70/45도에서 70 등의 어느 것이 쉽냐는 문제가 아닙니다. 15도면 15도 45도면 45도이지요. 오픈은 하더라도 예를 들어 바인딩 각도가 45도 인데 상체와 골반이 거진 정면을 볼 수 있을 정도로 튼다면? 물론 유연한 사람이라면 관절에 부담이 적을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유 골반 무릎 발목 관절에 무리를 주게 됩니다. 과하게 오픈 한거지요?(그 양이 과했지요) 가장 이상적인 라인은 바인딩 각도로 인한 발의 자세각도와 무릎 골반 어깨의 선이 일치가 되는게 가장 부담 없고 자연스러운 자세라고 말씀드린 겁니다

암꺼나해

2022.12.13 18:00:38
*.111.15.209

제가 질문자에게 한 답변입니다
님에게 물어본댓글은아니니 신경쓰지마십시요
같은내용을 왜 저에게다시는지...

질문자에게다십시요 제댓글입니다

분노조절잘해

2022.12.13 18:27:18
*.62.204.193

아하 제 글에 대한 댓글로 표시가 돼서요 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4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