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 시즌에도 업무안하고 열심히 보딩 생각만 하고 있는 열라 빠진 아르미스 입니다.^^;

저는 이제 2년차 초보 보더입니다. 제가 속한 카페의 회원수는 700명 정도 (활동회원 30명 이내)로 소규모에 속하는 카페입니다.

이런 저희 카페도 매년 베이스에서 캠프를 가지곤 하는데 보통 참석 인원이 활동인원과 비슷합니다.


보통 정식 캠프라 함은 카페회원들의 '친목 도모', '초보자 강습', '소속감 고취' 정도로 정의가 되는데요.

제가 토의하고 싶은건 '초보자 강습'에 대한 건 입니다.




저희같은 소규모 카페의 경우 보통 강습을 진행하면 1조에 선생님 1,2명 / 학생 5명 (혹은 그 이상) 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선생님 1, 2명이 학생들을 이끌고 처음 시작부터 끝까지 함께 하는게 일반적인 시스템이잖아요?

그런데 그걸 학생들만 로테이션 시키면 어떨까 하구요.

그 말인 즉, (예상)

강습할 선생님(주) 1,2,3

강습을 보조할 선생님(보) 1,2,3

그 외 실력이 조금씩 차이나는 학생들 수두룩! (너비스턴 이상 실력은 제외-진짜 초보만, 베이직턴 이상은 원포인트 강습으로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제 막 보드를 시작하는 완전 초보와 펜쥴럼, 베이직 턴 급의 학생들이 모여 15명 정도가 된다면


선생님 총 (주, 보 포함) 6명, 학생 총 15명!

그럼 나뉘게 되는 조는 보통 3개조 (선생2, 학생5) 가 되죠.

그런데 한번 나뉜 조는 대게 강습 시작할때부터 끝날때까지 1,2명의 선생님이 모두 한명한명 신경써서 알려줘야 하기 때문에

선생님 입장에서는 체력이 많이 소모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해본것이 학생 로테이션 시스템 입니다.

위 시스템이 제대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1. 피교육생이 15명이내로 가급적 적은편이어야 한다.
2. 피교육생의 실력이 큰 차이가 없을수록 좋다.
3. 선생님 구성은 최소 4명이상 (주3 , 보1) 구성되어야 한다.


(예)

선생님(주)들은 단계적인 학습 영역을 구성 후,  

* 선생님 1 (경력이 많고 이론적 지식이 풍부한 사람) / 보조 선생님 1

- 위치 : 초보 강습하는 곳

- 내용 : 보드의 기초(각 장비의 이름, 특성, 종류등), 보딩 예절, 스트레칭, 바인딩 체우는 법,

            다치지않게 넘어지는 법(바인딩 묶은 상태에서 실습진행), 일어나는 방법(힐 엣지로 일어나는법, 토우 엣지로 일어나는법),

            구피, 레귤러 차이점 설명



* 선생님 2 (경력이 많고 체력이 좋은 사람) / 보조 선생님 1, 2

- 위치 : 초급자 슬롭

- 내용 : B.B.P 자세, 스케이팅 방법 (한쪽발 바인딩 실습), 사이드 슬리핑(한쪽발만 바인딩 묶고, 양발 모두 묶고 한명씩 진행)

            팬쥴럼 마스터 (토우, 힐)



* 선생님 3 (가장 경력이 많고 성격이 느긋하며 남을 가르치기를 즐겨하는 사람) / 보조 선생님 1, 2, 3

- 위치 : 초급자 슬롭 -> 중급 슬롭

- 내용 : 갈란트, 한쪽턴, 베이직턴



이렇게 구성이 되며 각각의 단계별 강습이 끝나게 되면 보조 선생님들은 다음 단계로 같이 이동하여 학생들을 봐주게 됩니다.

(단, 베이직턴 수준 이상 도달하게 되면 나머지 선생님들이 중급 코스에서 이 단계로 도달한 학생들 1:1 혹은 1:2 강습 진행)

어차피 평균 실력은 초보들 이고, 이미 낙엽, 베이직턴 수준이라도 단계별로 새롭게 듣는다고 해서 나쁠것은 없으므로

조를 구성하는데 어려움은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위와 같은 시스템의 장점은



1. 이제 막 보드를 접하게 되는 학생들에게 각 단계에 맞는 수준 높은 강습을 받을 수 있다.



2. 통으로 묶어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교육생 관리가 쉽다.



3. 선생님들의 강습시간과 실습시간을 분산하여 선생님들의 체력고갈을 막을 수 있다.



4. 막바지 단계에 (베이직턴) 이르게 되면, 1:1 혹은 1:2 수준의 원포인트 강의가 가능함으로 교육생 실력 향상에 유리하다.



5. 카페 회원간 친목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계속 같이하기때문에)





반면, 단점은



1. 각 단계별 선생님들의 공통적 이론이 통일되지 않을경우 교육생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예) 경험에 입각한 강의 '나는 이렇게 하니까 좋더라.' (초보들에게는 우선 이론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각각의 신체적, 이론적, 경험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일괄된 지식이 필요. (선생님, 보조 선생님 이론 공부 必!)



2. 교육생이 통으로 묶이기 때문에 자칫 어수선한 분위기로 변질 될 수 있다. (교육생들 스스로의 마음가짐에 문제임)



3. 강습자가 많아질수록 불리하다.



4. 스키장에서 때강습 한다고 쫓겨날 수 있다.(?) [지산에서는 강습 못하게 했다고 하네요. 그래서 불매운동도 하고 했었죠..]



5. .... 생각 안남..ㅠㅠ (리플좀 달아주세요.)



위와 같은 시스템.. 어떤가요? 다같이 토의 해보고 싶습니다.
엮인글 :

환자

2010.06.17 15:28:46
*.111.184.10

강습의 방법론적인 측면을 논의하기 이전에 궁금한 것이... 초보분들의 비율이 그렇게 큰가요?
동호회에서 가르쳐주는 것은 원포인트 정도 수준이라고 생각했던 1人 ; ;

영숙이

2010.06.17 16:40:35
*.192.108.10

동호회 단체강습 반대입니다.
특히 파크에서요..

아르미스

2010.06.18 10:22:23
*.98.159.10

환자 / 저희 카페는 회원수가 적어서 그런지 몰라도.. 잘 타시는분과 못타시는 분이 확 나뉘어서요..; 캠프 참석 인원도 적구요..

영숙이 / 아..; 반대 입장도 나올거라 예상 했었습니다. 그래서 단점에 쫓겨날지도 모른다고 적어놨던거구요.ㅠㅠ 저희가 이번 시즌에도 동호회 강습을 한다면 최대한 일반인들에게 피해 주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쫀쫀해요빠방

2010.06.18 15:58:17
*.6.61.70

소속없는 양민들은 원포인트만으로도 황송하죠

그리고 초보들은 많으나, 초보들중 동호회활동을 하는사람이 얼마나 되느냐,,, 의 문제겠네요
보통 동호회를 알게되는게 첫시즌은 아닐테니 지적 및 시범으로도 충분히 알아들으실거라 생각되기때문에
체력적인 소모가 심할까싶네요

갠적으로 배우는 입장에서 강습은 나보다 더 잘타는사람에게 하나라도 더 배우고자하는 마음이므로
조금조금, 야금야금 스승을 괴롭혀가며 배워야 꾸준한 발전을 보이지 않을까요
동호회활동을 하시는분들이라면 자주 뵐테니 멘토형식으로 운영을 하는것도 좋은 방법일듯해요

쵸쵸

2010.06.20 20:53:05
*.32.102.224

원포인트 받아보는게 소원임...ㅠㅠ
정모 나가서 깜놀했음..;;(라이딩 혼자함;;뭥미;;)
느꼈음~~아 이래서 혼자 타는구나;;

아르미스

2010.06.21 08:29:00
*.98.159.10

쫀쫀해요빠방 / 오! 멘토형식! 괜찮네요. 음.. 지역별로 묶는게 좋겠죠?

쵸쵸 / 소규모 카페를 알아보세요. ^^; 아니면 체계적으로 잘 짜여진 큰 카페나 동호회를 알아보시는것이..

호요보더

2010.06.22 11:39:33
*.63.120.20

실제 저렇게 이루어지는 동호회 드물지 않나요?

저두 비슷한 규모 강습해봤는데요 /01-05 동호회 강습전담

정말 힘듬니다 강사들도 열의가 떨어지구요 처음이야 될지 몰라도

운영하기 힘들죠 보통 메인1 서브1 정도 있으면 된다고 봄니다

글구 강습은 잼있게 ^^ 이해하기 쉽게~~ 그리고 젤중요한 안전하게<---몇번이고 지적~~



저두 강습하는게 잼있구 나름 성취감 있어서 시즌되면

같이 가요 글보구 연락해서 같이 보드타면서 가르치면서 탑니다

(작년에 오크밸리 근방으로 이사함/ 홀로보딩중 ㅜ.ㅠ 아는사람두 없구요 ㅜㅜ)



아르미스

2010.06.23 08:31:14
*.98.159.10

호요보더 / 뭐.. 저희 카페도 그렇게 체계적인것 같지는 않아요 ^^; 특히 비시즌일때는 거의 활동하는 사람도 없고.. (한5명?)

앞으로 저렇게 하면 어떨까.. 싶어서 한번 올려보았습니다. (저희 카페가 좀 더 활성화 되길 바라면서 말이죠 ^^;)

슭훗

2010.07.15 08:23:48
*.233.19.194

음 정식캠프가 아닌 그런 대규모 강습은 리조트측에서 모두 금지하고있을텐데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799
1142 부츠 275 사이즈에서 바인딩 사이즈에 대한 고찰 [8] 장어구이 2014-01-21   3516
1141 디렉트윈과, 트윈 차이가 얼마나 날까요? [6] 잇뽀 2011-12-25   3452
1140 Lunatrix님 칼럼에 관한 이해... [12] 안단테 2010-02-12   3013
1139 중고 헬멧 과연 뽑기인가?? [22] 리나인바스 2013-09-23   2680
1138 강사로 잘먹고 잘 살 수 있을까요? [27] 빵쿠 2014-11-16   8428
1137 통합 리프트권에 대한 초보 보더의 짧은 생각~~^^ [19] 혼이담긴보더 2011-03-14   6139
1136 보드와스키의 충돌사고후 보상이 막막하여 분통터집니다.제발 읽어주세요.ㅠ file [33] 초코무비 2016-01-15   10951
1135 빅에어...... [5] DJ.sw 2010-01-15   3656
1134 정말로 황당한 보더네요~ 보더들도 기본 예의는 지켜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12] georgee 2011-03-09   7402
1133 리프트에서의 담배..ㅡ.ㅡ;; [49] 내비둬라 2011-01-31   6935
1132 박순백 칼럼에 올라온 보더에 관한 문제입니다. [65] 쿨러닝! 2012-01-10   7462
» 카페, 동호회 정기캠프시 초보자 강습과 관련하여... [9] 아르미스 2010-06-16   3258
1130 리조트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고객차량파손은 고객의 몫이다. [8] 한준희 2010-01-18   3541
1129 초보에게 오히려 역캠이 좋다?? [12] H2]히로 2012-02-08   5986
1128 시즌방 게스트 비용... [12] 정~ 2011-11-28   4165
1127 다들 좋은 장비 있으신가요?? [47] 피브리조 2018-12-11   6927
1126 슬림핏 보호대 진짜 보호가 잘 되는 건가요? [34] 꽃(등심)보더 2010-11-01   5617
1125 닉네임 겨울감기 [9] 작은당 2010-12-30   3119
1124 트릭의 시작은 언제? [53] 라이딩의끝... 2010-11-05   5957
1123 자신의 시즌 년차 계산은 어떻게 하시나요?? [34] 보노보더 2011-01-13   4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