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노보드 리뷰어 개츠비 입니다.

 

몇년만에 토론방에 글을 씁니다.

 

오늘의 주제는 프로, 프로가 되기위한 조건, 그리고 프로가 갖춰야 할 덕목입니다.

 

저도 10여년전에는 롬 스노보드, 사피언트 스노보드, 쉘플라이 등에서 스폰을 받았었고,

 

파이프나 킥커 시합도 나가고, 라이더 활동, 모델활동을 하였습니다.

 

(저와 제 팀원들은 프로라고 불리우기 보다는 "라이더"라고 불리길 원했었죠.)

 

 쨌든, 그때 그 피끓는 청춘의 눈밥 분위기가  어땠는지 설명을 드리자면요....

 

 

    과거에는 프로 라는 호칭을 얻기위해선 몇가지 조건이 있었습니다.

 

1. 등용문

  -  킥커, 파이프 등의 아마추어 시합등에서 1회 이상의 입상 경력이 있을 것.

 

2. 스폰서

  - 1번의 조건을 클리어 하게 되면 공식적인 입상 성적이 나오게 되고, 그 성적으로 소개 및 추천 그리고,

    이력서와 동영상이 담긴 CD를 들고 수입업체로 찾아다니곤 했었지요.

 

3. 시합과 상금

 - 프로부의 킥커와 파이프 시합은 상금이 상당히 쎘었는데 (우승상급 최대 1,000만원) 그해 시합에서 몇번 우승하면,

   세금떼어도 왠만한  대리급의 연봉은 뽑았었습니다. 파크 레인져까지 겸직 하면 수입이 좀더 좋았구요.

 

4. 협회 가입

- 스폰을 받지 않는 아마추어 선수들도 있었지만, 스폰서가 있는 프로들은 대부분 KSBA나 WSF 같은

  협회에 가입이 되어 있어야 했습니다.

 

5. 원정훈련

- 많은 선수들이 미국, 스위스, 뉴질랜드 등으로 원정을 다녔습니다. 1년에 200일 이상은 스노보드를

  타야지 본격 하드코어 프로 라이더라고 불리웠습니다. 

 

그리고,  헝그리보더 활동금지.

-    솔직히 톡까놓고 이야기를 해서, 저는 헝그리보더 활동을 2002년부터 했었는데, 다른 프로들이 하지말라고

  반대 많이 했습니다. 아마도 당시 프로라는 칭호를 가진 스노보더중에 제가 유일하게 활동을 했던걸로 기억 합니다.

  요즘은 몇몇 스폰서 라이더들이 헝그리보더 활동을 하지만, 예전에는 헝그리보더 이미지가 프로들에게는

  좋지 않게 작용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 사연을 설명하자면 상당히 길고긴 갈등을 끄집어 내게 되므로 여기서

  줄일게요. 그래도  현재 분위기는 상당히 좋아지긴 했습니다.

 

요즘은,

프로라이더라는 기준이 상당히 애매 합니다.

 

때문에, "프로 라이더"의 정의가 더욱 난무해지고 애매모호해지기전에....프로라는 칭호에 따른

 

필수덕목은 정리가 필요 하다고 봅니다.

 

제 의견으로는.

 

1. 1년에 최소 100일 이상은 스노보드를 타는 스노보더.

 

2. 인맥이건 실력이건 협찬을 받지만, 아마추어 시합에서 3회 이상의 입상경력이 있는 라이더.

 

3. 즐기기 보다는 퍼포먼스를 위한 스노보더. 자신이 추구하는 시합도 찾아 다녀야 함.

   (물론 프로들은 도전적인 퍼포먼스 자체를 즐기고있음)

 

4. 협회에 등록이 되어있을 것. (메이져 시합은 대부분 협회에서 주관을 하기 때문)

 

5. 과거 문화를 이끌어줬던 선배들을 존경하며, 후배들과 루키들을 이끌어 주며, 문화를 선도할 것.

 

 

이 정도 입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 의견이 궁금합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799

관리자님께... [34]

<펀글게시판>의 비로긴 제한.. [15]

  • 백군
  • 2006-09-16
  • 추천 수 72
  • 조회 수 2345

0506 반스 콘트라 - 발이 너무 아프죠? [12]

  • MALCOM
  • 2005-12-23
  • 추천 수 40
  • 조회 수 2346

인식띠관련. [7]

운영자와 이용자의 갈등? [26]

뺑소니 그 무서움 [10]

라이딩 관련 동영상이 올라올때... [3]

  • Richit
  • 2011-11-11
  • 추천 수 0
  • 조회 수 2353

킥 팝 타이밍...? [13]

댓글이벤트 이런식이면 아예 하지맙시다!! [25]

헝글의 장비리뷰와 자료실 운영 관련. [14]

리프트 고장으로 인한 장시간 공중 대기시의 보상 [11]

  • jjangu4u
  • 2003-12-22
  • 추천 수 39
  • 조회 수 2360

제안: 헝그리보더 자체 투표시스템과 랭킹시스템(보드왕) 그리고 배틀의상설화 [9]

보드장의 행사나 각종 이벤트 유치시 시즌권자의 배려.. [9]

강습에 관하여 토론을 한번 해봤으면......합니다. [12]

샵이름을 꼭 얼버무릴 필요가 있나요? [15]

  • 쇼댕
  • 2005-09-16
  • 추천 수 35
  • 조회 수 2375

가장 내구성이 좋았다고 생각되는 각 보드용품은 ?? [25]

시즌권 양도에 관해... [8]

  • 가르마
  • 2004-01-28
  • 추천 수 39
  • 조회 수 2376

스키장 사용자 안전을 위한 시스템 건의 [13]

보드복..관리는 어떻게 하는게...현명할까요<><> [14]

리프트 기다리면서..... [20]

  • youngpc
  • 2004-02-06
  • 추천 수 29
  • 조회 수 2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