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텐스를 아주 잘 정리한글..

장비 관련 조회 수 12659 추천 수 31 2006.12.28 12:56:22
http://www.cs.uu.nl/~daan/snow/stance.html

위 링크의 글은 몇년된 자료입니다.
(위 링크 아랫쪽에는 프로보더들의 스텐스도 있습니다. 4~5년전 자료기 때문에 아직도 이들이 이각도로 탈지는 모르겠지만.. 스텐스의 길이는 큰변화가 없을꺼라 봅니다.)
참조하세요..

그리고 제가 말씀 드리고 싶은내용은 포워드스탠스인가 덕스탠스인가 보다,
스탠스의 넓이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인 스텐스길이는 서있을때 무릅에서 발뒤꿈치사이의 길이,
또는 손바닥을 피고 손끝에서 팔꿈치사이의 길이가 적당합니다.

계산에 의해서도 알수 있습니다.  키 x 0.29 = 적정 스텐스길이 입니다.(위 링크참조)
예를 들어 저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184센티 x 0.29 = 53.36 센티입니다.

적정 스탠스길이에서 덕스텐스이면 뒷꿈치가 모아지기때문에 스텐스는 넓어지고요,
포워드이면 스텐스는 좀 좁아집니다.

대부분 데크를 사면 기본적으로 표시되어 있는센터가 그 데크의 적정 스텐스라 보면 됩니다.


많은 보더들이 스텐스를 가장 넓게해서, 그게 잘타는것인양 탑니다.
스텐스가 넓어지면 그 스텐스를 유지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스텐스는 덕스텐스가 되던지
또는 두발의 각도차가 커집니다.
다시 말해서 스텐스가 넓기때문에 자동적으로 덕스텐스가 편해진다는겁니다.


위 링크를 보면서 해외 유명 라이더의 스텐스와 스텐스길이가 나와 있는데요
22인치를 넘는 프로는 거의 없습니다.
(서양인들은 동양인에 비해 다리가 길다는걸 감안하셔야 합니다.)

다들 스텐스가 덕이니 전향이니를 떠나서 먼저 스텐스길이를 한번 재보시기 바랍니다.
아마 깜짝 놀라실껍니다.


엮인글 :

아~

2007.01.30 01:29:33
*.159.197.239

급왜갈?? "스탠스가 넓어지면 넓어질수록 무게중심은 아래로 내려갑니다- " 진짜 무식하시네 ㅋㅋㅋ 지금은 지웠나? ㅋㅋㅋ

나도 온리트릭인데 캠버,데크중심, 다운은 아는데^^ 스탠스가 좁을수록 중심 가까이에 무게가 들어가서 날이 잘박힌다 이건데 정말 뭘보고 돌아다니시는지

글쓴이의 칼럼이 정확하다고 봅니다용^^

3가지로 나눠서

라이딩 스탠스 대략 좁게^^

그라운드트릭 스탠스 좁게^^ (야스오 , 히로이사 = 그라운드트릭 스탠스 좁게^^ )

파이프 키커 파크 넓게^^ (숀화이트랑 그외 외국선수들 = 파이프 키커 파크 스탠스 넓게^^ )

숀화이트등 외국선수들은 우리나라처럼 미친듯이 그라운드트릭 안 하니깐

고공에서의 랜딩시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 넓은 스탠스폭으로 탑니다용. 그리고 프래스를 그라운드 만큼 줄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면 인위적으로 만들어놓

은 키커가 있기때문에 대체적으로 스탠스를 넓게 잡아도 높이를 만들수있습니다. 뭐 알리 펌핑은 쓰지만 그라운드에서처럼 이빠이 높이 낼려고 쓰지는...


반면에 야스오나 히로이사 등 일본 그라운드트릭 고수들은 스탠스폭이 데크의 적정스탠스정도입니다. 그래야 그라운드에서 많이 쓰는 프래스 버터링등 노

즈나 테일을 많이 휘게하여 데크의 나머지 부분을 뛰워서 쉽게 로테이션을 할수있습니다.

데크회사에서도 기본 스탠스를 표시 해놓는것도 다 이유가 있어서이겠지요.

자기 스탠스를 잘만 찾으시면 단기간에도 쉽게 기술을 마스터할수 있겠지요.

요즘 많이들 벌리시고 자세가 낮아진다고 좋아라 하시는분들도 계시는데...

자신이 추구하는 보딩을 잘알아보고 맞추세욤.


트릭어려워

2007.02.21 00:46:11
*.152.18.208

글쓰지마세요 조낸힘들게 올리고 악플달리면 짜증 지데로져 ㅋ

프리보더스~

2007.10.15 14:39:39
*.155.235.21

글쓰세요~저의 헝글 고수님들 의 글에 많은 공부를 합니다~
그래도 아무것도 모르고 그냥 주어담은 얘기로만 글로 쓰는 하수가 있어도
이해해주세요~잘 몰랐으니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99

헝그리 캠페인 스키하우스내에서 눈 털지 말자구요~ [13]

  • 이클™
  • 2004-01-30
  • 추천 수 11
  • 조회 수 1812

초보를 위한 강좌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좀 더 공부하고 다... secret [10]

일반 헝그리정신을 기립시다.. [4]

초보를 위한 강좌 부상 방지를 위한 무릎 강화훈련 및 스트레... [1]

절약법 상판 PPF 셀프 시공법 file [3]

  • 하앍~♡
  • 2020-10-19
  • 추천 수 8
  • 조회 수 1829

기술(테크닉) 업과 다운의 방향 file [5]

  • 문박사
  • 2020-12-04
  • 추천 수 2
  • 조회 수 1830

장비 관련 GLOVE or MITTEN [8]

  • 엘케이
  • 2013-12-20
  • 추천 수 6
  • 조회 수 1834

일반 지난 시즌을 돌아보며^^ [4]

  • 나루TO
  • 2005-11-24
  • 추천 수 11
  • 조회 수 1854

헝그리 캠페인 장터 매너편(웃으며 로긴해서 웃으며 로그아... [7]

장비 튜닝 스크래퍼 블래이드 자작기 (허접 주의) file [8]

기타 졸음 운전에 대한 고찰 [7]

헝그리 캠페인 보드문화 우리가 만들자 [9]

장비 관련 Flux Binding FW19/20 Interview file [2]

  • 잉여9
  • 2019-01-06
  • 추천 수 2
  • 조회 수 1868

일반 직거래시...... [10]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 비슷한 경사를 가진 슬롭 정복하기 [5]

장비 관련 Evolve 실제 사용자 스펙 file [2]

일반 대화방 이용에 관해서.. [3]

장비 관련 장비의 무게가 보더에게 미치는 영향 [1]

기술(테크닉) 킥 베이직

의학,부상,사고 보드장에서 꼭지켜야 할것... [9]

  • ohhssa
  • 2004-03-11
  • 추천 수 11
  • 조회 수 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