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원 리조트에서 2019년 1월 초에 가족들을 데리고 갔을 때 일어난 일입니다.

고프로를 손에 들고 가족을 찍는데, 갑자기 저와 아들 사이로 한 30~40cm간격을 두고 부딪힐뻔하게 지나가는 보더가 있었는데, 엄청난 속도였습니다.

살인 미수라고 생각할 정도로 부딪혔다면 크게 다쳤겠죠.

열 받아서 뭐라고 하니 "미안해서 사과하지 않느냐. 그리고 셀카봉 들고 다니는 건 잘못이다"라고 이야기하네요.

그 상황에서 이성의 끈을 끝까지 부여잡고 보냈습니다.

하지만, 니가 아무리 잘탄다고 해도, 운이 좋아 사고가 안 난 것이지 니가 피한 게 아니란 걸 기억해라.

그리고 하이원은 개떡같은 정책을 내 놨는데, 셀카봉은 금지할 일이 아닙니다. 규제해야 할 대상은 초보가 득실대는 주말의 초보 슬롭에서 빠른 속도로 카빙을 하며 내려가는 스키어와 보더들입니다.
엮인글 :

작은마음우니

2019.01.25 16:43:26
*.27.1.215

전적으로 공감하는 부분이에요

나의 진로상에 사람이 앉아 있거나 서있거나 라이딩을 하고 있다면 당연히 

속도를 줄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서로 시아가 확보가 안된 상황에서 멈추는게 부디칠것같다면 

얼릉 지난후 죄송하다는 제스쳐를 취해야 한것같구요 

중요한건 요즘 사람들이 멈추지를 않는 다는게 가장 큰문제인것같구요..

그나저나 가족들과 좋은시간을 만들기위해 스키장을 방문 하셧는데 큰일 치룰뻔하셧네요..

다치시지 않으신것같아 다행이네요!

스크래치

2019.01.25 17:20:18
*.70.50.157

정말 안 다쳐서 다행이라 생각해요.

진로상 문제가 없더라도 전방에 정체나 리프트 합류 구간이라면 더더욱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그게 매너고 원칙이죠.

MadamH

2019.01.26 03:33:31
*.163.242.59

사람 많으면 조심하던지 쏘고싶으면 사람없을 때까지 공간확보후 타던지해야하는데 사람 이란게 자기실력을 너무과대 평가하다 사고나는데 안다치신게 다행 이시네요

스크래치

2019.01.26 10:11:24
*.70.50.157

둘 사이의 간격은 2-3미터, 제가 12시에서 한시 방향으로 진행 중이었고 아들이 6시 방향에서 7시방향으로 진행하는데 저와 아들 사이로 2시에서 7시로 가로질러 부딪칠뻔 하면서 지나가는 걸 보니 온 몸에 털이 쭈삣 곤두섰습니다.

쿠당탕퍽읔

2019.01.28 12:17:45
*.75.17.196

위험한 보딩이나 스킹은 패트롤들이 좀 더 신경써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에 하이원 시즌권 사서 3번정도 갔는데 셀카봉이 금지되어 있더라구요.

셀카봉보다 더 긴 폴대로 사람 찌르는 초보들도 많은데 ㅋㅋㅋ

지금까지 보드타면서 데크찍힌건 셀수도 없고 저도 한 5번은 찔렸습니다...


스크래치

2019.01.28 14:17:48
*.223.39.206

패트롤은 감원을 했는지 거의 보이지 않아요. 원래 쥬피터 합류 구간에 스티로폼으로 블로킹하고 서있었는데...

사랑B

2019.01.29 11:58:25
*.196.9.203

맞는 말씀입니다.

초보 슬롭에서 누가 봐도 위험할 정도로 내달리는 분들 있습니다.

잘타시는거 알겠습니다. ㅎㅎ 

하지만 초보 분들의 배려도 필요할듯 합니다.


하지만 중급 이상 슬롭에서 이제 막 낙엽을 하거나 강습을 하며

길을 막고 아무런 곳에나 주저 앉아 있는것도 문제 인듯 합니다.


뭐 자신의 실력의 맞는 슬롭을 이용하면 문제가 전혀 없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적당히라는게 있는데... 


어중간한 중급인지라

초급에서는 빨라 보이고 중상급 가면 초보분들이나 초딩님들 열차놀이

보드 강습하는 분들 피하기도 힘들어 넘어지기 다반사고 뭐 다힘드네요.  ㅎㅎㅎ


예의법절

2019.02.01 14:55:16
*.50.91.72

맞는 말씀이시네요. 저도 아이키우는 입장이라 속도제어도 안되시는분들이 슬롭에서 막 쏘고내려오는거보면.

아주 환장합니다.  부딛히면 서로 아프고 즐거운 스즌도 못 보내고 서로 손해보는 짓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생각 합니다. 

자기능력에 맞는 슬롭을 선택에서 초급이든 중급이든 상급이든 타면 얼마나 좋을까요? 저는 무주에서 시즌을 보내고 있는데

주말은 거의 오전뿐이 안탑니다. 사람이 많아서 탈수가 없습니다. 숙소에서 쉬고 있다가 야간을타던지 아니면 새벽을타던지

이또한 방법아닌 방법?  무튼 아이들과 함게타시는 부모님들은 100퍼 공감하실 듯 합니다. 남은시즌 안보하세요^^* 

레몽레인

2019.02.05 01:49:01
*.123.95.35

ㅎㅎㅎ 가족 앞에서 부정은 그래요..잘 참으셨어요..

저도 스키어하고 눈밭에서 엉켜서 싸웠습니다..ㅎㅎㅎ

스크래치

2019.02.05 21:55:54
*.23.91.120

이성의 끈을 놓치지 않으려고 엄청 애썼던 기억이 납니다. 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20
3237 장비 관련 스노보드 길이 선택 방법.. file [18] 달팽 2009-09-10 78 12847
3236 일반 전국 주요스키장 슬로프 경사도 비교표 file [15] 삼촌1호 2013-09-25 11 12842
3235 기술(테크닉) 올바른 라이딩 자세 도출을 위한 탐구 - 실... file [34] Lunatrix 2010-02-10 58 12836
3234 헝그리 캠페인 19일 휘팍의 모습(대략 남감) [97] 최인권 2006-11-20 15 12786
3233 기술(테크닉) 스탠스의 폭에 관하여. [15] Gatsby 2008-01-30 69 12724
3232 장비 튜닝 새로산 보드 엣지 튜닝 하는 법 -DETUNE [25] ***흰눈사이... 2006-09-30 27 12723
3231 장비 관련 부츠 뒷금치가 약간 뜨거나.. 발등을 꽉 못... [23] 가루군 2009-12-16 69 12710
3230 장비 관련 26,000원으로 만드는 도난걱정없는 캐리어 ^^ [29] H@RU 2011-03-15   12683
3229 장비 관련 스텐스를 아주 잘 정리한글.. [53] 은둔하수 2006-12-28 31 12659
3228 초보를 위한 강좌 고작 스노보드 17년차가 초보 스노보더에게 ... [43] 바람켄타 2015-12-08 101 12631
3227 기술(테크닉) 닥라 참가자 몇몇에 대한 평과 아쉬운점 [220] 비로거. 2014-01-10 162 12627
3226 일반 완전생초보녀에게 로테이션을 안가르쳐 보았... [74] 심훈Film 2016-10-11 64 12617
3225 기술(테크닉) 스티커 띠는법. 스티커 떼는법. [25] 딱딱한궁딩이 2006-10-14 25 12598
3224 해외원정 여름에 스노보드 즐기기...... [27] wave 2003-03-04 76 12577
3223 장비 관련 발에 통증없이 부츠 신는 방법 ... [20] 장어구이 2016-01-07 29 12533
3222 장비 구입 부러질 수 밖에 없는 데크, 버튼에서 a/s 받... [90] 스크래치 2010-12-01 3 12428
3221 장비 구입 배고픈 보더를 위한 왁싱 장비 구입(풀셋 19... [49] ☆고질라 마... 2009-03-21 126 12405
3220 장비 관련 나름 정리한 스노우보드 데크 공법 file [4] 보더_901973 2011-01-31 1 12387
3219 기술(테크닉) 카빙의 숙제와 네츄럴포지션 [34] 천현민 2016-12-13 65 12362
3218 헝그리 캠페인 나는 보더인가 양아치인가 [113] 게쉬타포 2007-01-29 11 1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