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은 쓰면서 존대말보다는 반말로 쓰는 것에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이제 반말로 쓰겠습니다..

(다운 언웨이티드를 이용한 턴을 다운 언웨이티드 턴이라고 정의하고 글을 쓰겠습니다.)


다운 언웨이티드 턴은  좀 식상한 이야기 인 것같다..지금 트렌드는 역시 카빙이기때문이다.

다운 언웨이티드 턴이라고 해봐야 그닥 폼도 나지 않고  멋지지도 않고 뭐 이런게 있나 싶다 .

머릿 속에 그려지는 멋없는 턴... 다리로 쭈욱 밀면서 업하면서 턴하는 그런 턴..우스꽝스럽다...

 왜 그럴까?

우리가 접하고 있는 다운 언웨이티드 턴은 반은 맞지만 반은 틀린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배운 다운 언웨이티드 턴은 부정사나 모글 최상급 코스에서 구사하는 턴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하지만 정작 우리가 알고 있는 다운언웨이티 턴을 배웠다고 해도

정작 최상급 부정사에서는 써먹지 못하고 오징어가 되기 십상이다

우리가 중학교부터 대학교까지 영어를 중점적으로 배우지만 정작 영어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현실이  다운 언웨이트드 턴과  비슷한 것같다. 많은  영상이나 자료들을 보고 배웠고  많은 경비를 들여서 배웠지만

실전에는 엉뚱한 개그 턴이 되는 것을 쉽게 볼수 있다.


그럼 원래 다운 언웨이티드 턴이 실속이 없는 턴인가? 상상 속의 턴인가?  뭔가 복잡해지지만 분명히

그렇지는 않은것 같다. 왜냐하면 스키 쪽에서는 최정상급 턴이고 그 중에  한국의 카빙숏턴은  인터스키에서

존재감이 있기때문인다. 전세계적으로도 인정을 받고 있는 것이다.

(벤딩턴과 카빙 숏턴은 차이가  존재한다 .이 부분은 나중에 한번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


그럼 뭐때문에 다운 언웨이티드 턴이 미운 오리쌔끼가 되었을까?

우리가 쉽게 배우고 영상 속에 나오는 가르침이 오류가 있지는 않은 것인가? 한번쯤은 고민을 해봤을 것입니다.

보드에 열정이 있는 분들이라면   이런 생각을 해봤을 것이다.. 저 또한 많은 고민과 연구와 연습을 했기때문이다.

결론은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과 연습방법은 아주 초보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이 초보적인 턴을 다운 언웨이티 턴이라고

생각하는 순간  재미 없어지고 멋없고 불필요한 턴이 되는 것이 된다.

나는 좀더 심화되고 발전한 다운 언웨이티드 턴을 이야기 하고 싶다.


제가 생각하는 다운 언웨이티드 턴은 부정사 면 최정상급에서도 가속을 붙이면서 탈 수 있기때문이다..

나는  이부분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싶다..  타 운동과 비교하면서 논리적으로  이야기 하려고 한다.

(이 운동은 골프 스키 수상스키 기타 등등)

제가 100% 옳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지금도 생각하고 연습하고 도전하지만 여전히 벽에 부딪히기때문이다..

비추를 눌러도 되고 속으로 욕해도 좋다...하지만 어느 한 보더에게는 큰 가르침이 될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다운 언웨이티  턴 안에서  총  5가지에서 7가지 동작을  동시에 구사해야만 진정한 다운 언웨이티를 이용한 턴을 할 수 있다...

그 5~7가지를 왜 해야하고 어떻게 연습하는지  또한 어떻게 사용되느지  쓰려고 한다..시리즈로 적어보겠다..

감사합니다.. 레몽레인 올림..

 




엮인글 :

안개비7

2021.02.18 08:45:05
*.252.217.233

시리즈 기대해보겠습니다.

테스형

2021.02.19 01:04:03
*.251.203.46

추천
0
비추천
-1

카시에서 이야기하는 다운 언웨이티드 턴과 스키에서 이야기하는 밴딩턴은 완전히 다른 개념의 턴입니다.


저도 모글 동영상 제작 중에 있는데, 이 부분은 모글 상급 과정에서 다룰 예정이에요.  

오쥬

2021.02.19 15:41:26
*.111.21.145

기대되는군요

soulpapa

2021.02.19 15:48:37
*.84.20.179

형님 돌아오셨군요... 연습할 수록 더 오징어가 되는 기분이지만... 기대합니다ㅋ

레몽레인

2021.02.20 00:46:26
*.235.48.245

ㅎ ㅎ ㅎ 칼럼을 쓸때마다 논란이 좀 있지만
그래도 관심이라고 생각됩니다
집에 컴퓨터가 없어서 일주일에 한번밖에
못씁니다
낮은 포지션을 쓸까 어떨까 생각 중입니다

VitalGoofy⚡

2021.02.20 02:08:20
*.39.155.121

소설처럼 기다려지는 칼럼입니다.
다음 칼럼도 기대할께요~^^

레몽레인

2021.02.20 20:24:50
*.235.48.8

구피님 감사합니다
ㅎㅎㅎ

醉菊/취국

2021.02.20 04:36:41
*.235.8.28

항상 양질의 정보를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 개인적으론 더 재미있는 턴, 한계를 확장시켜주는 턴이며 푸쉬풀이라고 칭하기도 하는
다운언웨이티드턴..
더 많이 알고 싶군요.  어서 다음 글이 올라오길 기대합니다.

레몽레인

2021.02.20 20:25:27
*.235.48.8

취국형님 오랫만입니다
이번주 올리겠습니다

WKD주민

2021.02.22 09:01:16
*.38.27.231

장편 칼럼...기다려지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74
3317 초보를 위한 강좌 강습후 뭐가 달라졌을까요? 휘팍 중급자강습... [2] 레인보우시스타 2021-01-15 5 1141
3316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강좌:너비스 턴 팁 | 급사 고속 라... [2] Jake! 2021-01-07 5 1080
3315 초보를 위한 강좌 전향각 사이드슬리핑 연습방법 [2] 통역좌 2021-01-07 5 771
3314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강좌:비기너 턴 | 최상급 슬라이딩... [4] Jake! 2021-01-02 8 1081
3313 초보를 위한 강좌 올해는 데크를 눈 위에서 띄워 봅시다 [1] 레인보우시스타 2021-01-02 3 10088
3312 초보를 위한 강좌 더럽게 헷갈리네. 린인/린아웃 알고 갑시다. file [12] 소리조각 2020-12-29 19 2877
3311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 포지션의 모든 것 [4] 통역좌 2020-12-26 8 1104
3310 헝그리 캠페인 스키 보드 다 타시고 에어 컨프레셔로 하실때 [4] photoable 2020-12-21 2 1339
3309 기술(테크닉) 다타고 보드데크 눈 털때 [2] 피브리조 2020-12-09 3 1533
3308 장비 관련 플럭스 바인딩 스트랩 파손 AS 후기입니다 file [19] 보타싶 2020-12-08 15 7379
3307 기술(테크닉) 업과 다운의 방향 file [5] 문박사 2020-12-04 2 1842
3306 기술(테크닉) 신체무게중심과 압력중심점 file [3] 문박사 2020-12-03 8 1261
3305 장비 구입 보드복 구입시 알아두시면 좋은 것들 입니다. [3] megabomb 2020-12-02 9 1692
3304 장비 튜닝 [장비튜닝] 보호필름 단돈 2천원으로 입히기... [4] 독학보더(원뽕) 2020-11-30 1 751
3303 초보를 위한 강좌 고어텍스 보드복 입는 법 통역좌 2020-11-27 2 1114
3302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할 때 굽은 등을 펴는 방법 [2] 통역좌 2020-11-23 4 2030
3301 기타 서핑 스노보드 부상 방지를 위한 허리 골반 ... [3] 스크래치 2020-11-22 3 647
3300 초보를 위한 강좌 밸런스 연습 [7] 통역좌 2020-11-19 2 1047
3299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들을 위한 카빙에서의 프레스에 대한 독... [20] 주인아저씨 2020-11-12 2 1970
3298 장비 관련 캠버를 디테일하게 알아보자 file [23] GATSBY 2020-10-29 29 3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