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자게에 보면 심심찮게 글들이 올라옵니다.
비니에 대한 얘기들.
예쁜 이어플랩 비니가 어디 있고, 손수 만드는 비니에 관한 얘기들도.
좋습니다.
비니...편하고, 보온효과도 좋아서 보드장에서 필요할만한 아이템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악세사리인 비니에는 관심이 많으신 것 같은데, 정작 공구나 보호대엔 관심이 덜 한 것 같더군요.

공구...사진속의 저런 비슷한 물건이죠. 저 물건은 제가 사용하는 겁니다.
가격은 대락 15,000원 정도 합니다.
싸구려 비니 한장 값입니다.(비니도 보드 브랜드는 4~5만원씩도 하더군요.^^)
사실 공구 얘기를 하면 주위에서 다 그럽니다.

"그거...스탠스각이나 너비를 자주 조절하는 고수들한테나 필요한 거 아닌가?" 라구요.

그런데, 제가 생각하는 건 다릅니다.
저 정도의 라이더들에게도 필수품이지만, 초보보더에게도 꼭 필요한 물건이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그 이유를 몇가지 설명드리자면...

1. 렌탈보드가 많다.
- 아무리 렌탈샵에서 장비를 잘 관리해도, 내가 내 장비 한세트 관리하는 것보다 잘 하겠습니까?
렌탈샵 직원분들을 무시하는 건 아니고, 아무리 직원들이 잘 관리해도 개인장비만큼의 신경은 못쓴다는 거죠.

2. 사람의 스펙은 다 다르다.
- 얼핏 간단해보이는 바인딩도 꽤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거기에다가 라쳇이나 스트랩 등도 전부 개개인의 스펙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렌탈샵에서는 스탠스너비와 각도 정도만 손을 볼 뿐, 라쳇과 스트랩이 정확하게 발등에 오는가...까지는 안봐주는 곳도 있더라구요.
그거 조절해서 타야합니다.

3. 초보자일 수록 한방향으로 비정상적인 힘이 계속 가해진다.
- 중급자 이상이 너비스턴 이상의 라이딩을 한다면, 바인딩 자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는 않겠죠.
하지만, 초보자들이 펜듈럼이나 갈란데 등을 하게 되면, 계속적으로 한방향에만 힘이 가해지게 됩니다.
즉, 토우-힐-토우-힐...이렇게 계속적으로 자세가 변하는 라이딩과는 달리, 저런 연습과정은...
슬롭 위에서 밑에까지 토우로만 내려오고, 힐로만 내려오는...그런 셈이죠.
그렇게 한방향으로만 계속 힘이 가해지면, 바인딩과 데크를 연결한 나사가 약간 풀리는 경우도 있고
라쳇이나 스트랩을 고정하는 부위의 나사가 느슨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때, 그걸 모르고 계속 타면 부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저는 공구는 고수에게도 필요하지만, 초보자에게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보드장내에 공구를 비치해놓은 곳도 많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십자드라이버 한개에...또한 대부분 장소도 슬롭 하단에 있죠.
위에서 출발하기 전에 풀린 걸 알았다면 대략 낭팹니다.

뻘쭘하니, 모르는 사람들한테 공구있으면 좀 빌려달라고 하기에도 그렇죠...^^
비니나 레그백 같은 것에 신경 쓸 돈의 반만 투자해도 좋은 공구 사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보호대에 관한 얘깁니다.

요즘은 그래도 안전의식이 많이 좋아져서, 엉덩이, 무릎, 손목 보호대는 다들 대부분 하시는 것 같습니다.
헬멧까지 착용하는 분들도 늘어나고 있고, 심지어 척추보호대나 상체보호대도 작년이나 재작년에 비해서 게시판에서 많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트릭을 쥐뿔 못하는 저도 상체보호대를 샀으니...^^)

좋은 현상이죠.
꼭 트릭을 하고, 파크에 올라가고, 파이프에서 날아다녀야지 보호대를 갖추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보통 부상은 어이없게 잘 찾아옵니다.
나는 잘 가고 있는데, 엄하게 뒤에서 누가 나를 충격할 수도 있고...

저 작년에 한 스키어분하고 부딪혔는데, 그 분이 넘어지면서 다리를 들어올리시더군요.
스키판이 제 머리 정통으로 때렸습니다. 엣지로..
헬멧이 없었으면, 아마 몇바늘 꼬매거나, 뇌진탕 정도 왔을 것 같더라구요.

보호대 가급적 착용하시고, 몇가지 요령도 있습니다.
사실 저도 시즌에 귀찮아서, 엉덩이 보호대는 그냥 안에 입고 집에서 출발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거...상당히 안좋습니다.
보호대는 진짜 보딩할 때만 해야지, 저렇게 하고 다니면, 차안에 앉아서 오거나 하면서 내부보충재의 숨이 다 죽어버려서 보호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보호대는 슬롭위에서만 착용합시다.


스노우보드는 정말 좋은 종목입니다.
그것이 sports 인지 game 인지는 모르지만, 정말 즐겁고, 사람을 미치게 하는 구석이 있죠.

그런 좋은 보드...

오래오래 즐길수 있어야 합니다.^^
엮인글 :

타쿠미군

2005.11.25 09:08:31
*.109.66.129

오호..내가 갖고있는건데..
금액대비 아주 좋더군요..^^

[도라무통]

2005.11.25 09:15:25
*.55.31.222

좋은 글입니다. 저 툴을 3년째 쓰다 작년 마지막 보딩때 분실해서 참 아쉽네요.
저거 하이백팩에 넣어 다니면서 선행도 많이 하고 댕겼죠. 주변사람들 앵글도 바꿔주고 또 리프트 하차장에서 바인딩 고장나서 당황하는 분들도 도와주고~ 하이백팩에 넣어서 댕겨보세요. 의외로 엄청 유용합니다.
보호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죠! 갠적으론 얼른 기술이 발달해서 충돌이나 대박 넘어질때 에어백처럼 온몸을 휙 감아주는 자켓 나왔음 좋겠어요.

다크샤크

2005.11.25 09:43:37
*.250.20.125

초보가 툴을 가지고 다니지 않는 것은 사용할 지 모르기 땜시롱 ^^~~
라쳇과 스트랩이 뭔지도 모르는데 어디 와야 하는지를 알까요??

우유는나의힘

2005.11.25 10:27:04
*.146.250.173

좋은 글이네요^-^

어토렌셜레인

2005.11.25 11:01:50
*.238.217.20

좋은글 잘봤습니다. 저는 툴...처음 시작할때 바로사서 가지고 다녔는데...다 그런거 아네요? ㅎㅎ;

유민^^하나

2005.11.25 11:32:28
*.106.21.29

나두 이거 갖구시푼뎅~~

Crossroad.Life

2005.11.25 11:38:08
*.151.144.7

다크샤크님 그래서 메뉴얼 3번 정독이라는 말이 나온거 아닐까요? ^^;
일부 브랜드들이긴 합니다만 바인딩 구매하면 박스안에 조립과 사용에 관해 굉장히 자세한 메뉴얼이 있습니다.
그 메뉴얼 보면 영문이긴 하지만 더이상 어디 질문할 필요가 하나도 없을 정도로 매우 자세 합니다.
특히나 바인딩의 경우 각 브랜드별로 다르다고는 해도 원천 기술은 같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한 브랜드의 메뉴얼을 읽어 두면
다른 브랜드에도 적용할 수 있겠죠.
=====================================================================================================================================
배 고픈자에게는 고기를 주지 말고 낚시를 가르치라는 말이 있습니다.

tiberium

2005.11.25 12:00:42
*.231.35.177

어제 지산 야간탔었는데 3시간정도 타는동안 슬로프 하나만 개장했음에도 불구하고 3분이 실려 내려가셧습니다.. 어쨋든 안전장비 필수

덧붙여서

2005.11.25 12:14:18
*.54.8.19

사진첩보다 누구나 칼럼이 더욱 활성화 되야한다는..

게으르미

2005.11.25 12:29:57
*.216.162.37

와우~ 이거 좋은데요~~
1만5천원이라.... 땡기는걸요~~

raybom

2005.11.25 13:44:52
*.71.90.27

좋은 글입니다. 저는 바코다 툴을 쓰고있는데 참 유용하게 많이썻죠~ 친구가 리프트 정상에서 렌탈보드 스트랩조이는데 스트랩이
끊어져서 -_-; 한칸 앞으로 조여줫죠~ 툴이 없었다면 토만 묶고 타야댓을듯

Navi

2005.11.25 13:48:28
*.145.175.110

초보지만 예쁜비니, 툴, 보호대 다 있슴돠~~ ^^*

윤현철

2005.11.25 19:26:27
*.239.49.34

오~~ 좋은데요..
하나 구입해야겠습니다.^^
좋은정보 감솨~~~

솔리드

2005.11.25 20:04:31
*.154.18.61

어디서 구매할수 있나여?

잇힝*^^*

2005.11.25 20:22:07
*.74.163.81

이번에 툴도 새로 구했는뎅.. 바코다 지미 드라이버있죠.. 쫌 큰거.. 그놈은 주머니에 넣고 타기가 좀 그렇더군요.
나빠지면 부피가 크기땜에 줄리면서 무쟈게 아파요.. ㅜ.ㅜ 딸깍딸깍하면서 조이기는 편한데.. 암튼.. 그래서 저는 버튼꺼 집툴을 새로 샀습니다.
지미드라이버는 집에서 쓰고 라이딩하면서는 집툴 쓰랴구요.. 가격도 9000원에 휴대성 굿입니다. 힘은 좀 적게 들어가긴하지만..

Derek

2005.11.25 22:39:44
*.93.68.98

사고 싶군영~

지나가다

2005.11.26 04:38:56
*.205.53.154

그냥 주먹또라이버로도 충분한데 뭐하러....예쁜비니 필요하죠...왜 안필요하다구 생각 하실까?
희안하네 개성인데...

muse017

2005.11.26 06:20:59
*.147.249.37

저도 항상 보드락이랑, 툴은 소지하고 탑니다. 좋은글이네요. 바인딩같은 부분은 나사가 많은 부분이기 때문에 수시로 조여주셔야 되는게 맞구요.
보호대 이야기 하자면, 상체보대나, 엉덩이 보호대는 개인의 취향입니다. 하지만 적어도 파크(레일,박스, 하프파이프, 킥커)를 타는곳에서는 핼멧을 의무착용시켜야 된다고 생각되어집니다. 머리라는것이, 한번다치면 돌이킬 수가 없죠.

달려라조사장

2005.11.26 14:14:28
*.101.111.155

머리뿐 아니라 허리도 한번 다치면 돌이킬 수가 없어요 ㅡㅡㅋ
허리도 제대로 다치면 하반신 못 쓰던데요 ㅡㅡ;;;

백마탄환자 28호

2005.11.26 19:26:26
*.8.209.79

요거 좋긴 좋네요 ㅎㅎ

ㅎㅎㅎ

2005.11.26 23:26:03
*.233.129.89

보드장 가면 도라이바 항상 구비되어있잖아요 ㅎㅎ
보드 툴 자체도 어찌보면 본인의 전문성을 강조시키는 아이템으로 보이기도 하네요...
마치 잘 쓰지 않는 스위스 아미 나이프를 가지고 다니는것 처럼 말이죠... 물론 유용할때도 있긴 합니다만 ㅎㅎ
뭐 오래탄것도 아닌 4년차 허접 보더이지만 아직까지 장비에 심각한 문제가 생겨서 곤욕을 겪은 적은 없는것 같습니다.
출격하기전에 한번쯤은 장비체크를 하기때문이겠죠...

쩡이리

2005.11.28 01:56:15
*.63.211.172

훔... 툴이 필요없다는 분들은.. 훔..
툴을 사용해보지 않으신 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번 사용해 보시고 리플을 달도록 권유 드리고 싶습니다.

아리잠

2005.11.28 16:30:25
*.93.6.11

툴 옥션에서 3500원에 .... 쿨럭!
또하나는 헬멧사면서 강탈....쿨럭!

손드럿ioi

2005.11.28 23:53:40
*.80.12.178

일반 드라이버와(보드장에 비치되어 있는) 저 툴의 드라이버 써보시면 다른점이 뭔지 아실 겁니다.

2005.11.30 23:36:02
*.234.158.102

요거 0203때 보드장비 사면서 같이 사놓고 잘 쓰다
헝글대회때 유스호스텔 복도에서 잃어버린 기억이 있는데
요거 나름대로 잘 썼어요~
가격대비 허접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그래도 제생각엔 가격대비 유용합니다^^

쩝;;

2005.12.03 10:55:52
*.74.22.203

툴 필요없다는사람들.........바인딩나사 빠가나야 정신차릴사람들이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