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크를 누르려고 하지 마세요.

누르려고 하지 않아도, 누르지 않아도

데크 위에 올라가 있는 자체로 이미 몸무게가 데크를 누르고 있습니다.


데크를 눌러야 휘어지는 것이 아니라

엣지를 세우면 사이드컷에 의해서 또 몸무게가 바인딩자리를 눌러서 데크가 휘어지게 됩니다.


턴이라는 것은

턴호의 바깥쪽에서 잡아당기는 보이지 않는 힘과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상황과 같습니다.


턴호의 바깥쪽에서 잡아당기는 힘을 버티려면

턴호의 안쪽으로 기울기(인클리네이션)가 만들어져 있어야 하고

엣지를 세워야 하지요.


데크를 눌러야 하는 것이 아니라

기울기를 확보하고 있어야 하고

엣지를 세우고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턴을 마무리하기 전까지는 기울기를 붙잡고 있어야 하구요.


턴 진입 후에 하는 다운은

데크를 누르기 위함이 아니라

프레스를 주기 위함이 아니라

기울기를 붙잡기 위해서

엣지를 더 세우고 있는

린아웃입니다.


턴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감압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기울기를 세워서 넘겨야 합니다.

엣지를 더 세워야 하지요.

린아웃을 추가해서.

엮인글 :

미래소년바보

2019.01.25 07:17:06
*.223.17.19

올소~.

MadamH

2019.01.26 03:45:27
*.163.242.59

데크를 억지로 조정하지말구 데크에 몸을 맏기라는 의미로 들리네요

134340

2019.02.16 22:04:33
*.156.72.87

제 말씀은

데크를 누르려고 하지 말고, 데크를 조종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데크 조종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 스탠스 앤 밸런스 이구요.


스키는 플레이트가 두 개라서, 양쪽 스키의 접설엣지 사이 면적 안에 무게중심이 있으면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이, 지지면적(양쪽 스키의 접설엣지 사이 면적)을 향하고 있으면

넘어지지 않는 안정된 상태이지만


보드는 플레이트가 하나라서, 엣지를 세우고 있는 상태는

기울기 (인클리네이션, 무게중심-접설엣지..선이 슬로프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정도) 가 만들어져 있는 상태인데

지지면적이 거의 선 (접설엣지곡선) 이라서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이 엣지곡선상이면, 기울기가 정지한 상태이고

하중의 방향이 엣지곡선의 안쪽이면, 기울기가 더 기울어지게 되고

하중의 방향이 엣지곡선의 바깥쪽이면, 기울기가 세워지게 되므로

더군다나 원심력(과 중력의 원심력방향 분력)이 계속해서 변화하므로

보드는 늘 불안정한 상태이지요. 노즈테일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했을 때, 횡방향으로는 늘 불안정한 상태이지요.


그러므로 계속해서 기울기를 제어해야 하는 거구요.

기울기를 더 기울이려는, 턴호의 안쪽으로 넘어뜨리려는, 모멘트는

수직하중 (중력의 수직하중 수직분력) 에 의한 모멘트이고

기울기를 세우려는 모멘트는

수평하중 (원심력(+ 중력의 폴라인방향 분력의 원심력방향 분력을 엣지그립력으로 버티고 있는 정도)) 에 의한 모멘트인데

중력은 조절할 수 없으므로, 원심력(과 슬립)을 조절해서 기울기를 제어해야 하지요.

원심력은 앵귤레이션 (엣지각 조절) 을 통해서 조절하구요.


엣지를 더 세우면 원심력이 더 커지고

- 기울기가 점점 기울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기울기를 붙잡으려면, 외경으로 엣지를 더 세워야 하고

- 턴을 마무리하고 다음 턴으로 전환하려면, 기울기를 세워야 하므로, 외경으로 엣지를 더 세워야 하고

엣지를 눕히면 원심력이 작아지지요.

- 턴을 더 끌고 가려는데 기울기가 세워지려고 하면, 엣지각을 눕혀야 하지요. 그러면 (더) 슬리핑하게 되구요.

1달러

2019.01.26 08:50:29
*.186.103.27

초보분들에게 매우좋은 칼럼입니다. 어떤 운동이든 그 본질을 알아야 하는데 영상의 화려한 동작만 따라하니 부상을 당합니다. 스쿼트의 경우도 단순히 허벅지를 두껍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하체의 인대와 힘줄을 강화하기 위함인데 대부분이 동작만 따라해요. 기울기를 붙잡기 위해서는 하체의 인대와 힘줄이 강해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66
3217 일반 보드장의 발권소는 한곳뿐일까? [7] 막시무쓰 2012-09-10   1923
3216 장비 관련 초보자 중고장비구매팁 [1] 뛰는남자 2018-12-24 1 1926
3215 절약법 집이나 시즌방에서 먹다남은 야채 처리 방법.. DRAGON™ 2004-03-07 23 1926
3214 일반 티크니컬 라이딩이란? file [9] 통역좌 2020-07-30 21 1935
3213 의학,부상,사고 몸의 균형잡힌 발달을 위한 운동 스크래치 2018-10-30 3 1936
3212 기타 안전한 보딩/스키를 위해 보드장이 해줬으면... [6] Derek 2003-12-29 14 1938
3211 해외원정 [아리잠의 타자와코 원정기]-10.쏟아지는 빗... 아리잠 2006-05-17 30 1939
3210 기타 액션캠을 카라비너에 걸기 file [5] 아카돌 2018-12-19 2 1943
3209 스노우보드로 쩍벌남되기? 그냥 편하게 타... file [4] 콩라이더 2013-03-07   1944
3208 일반 절약이 무얼까... [2] Sansalone 2002-09-24 75 1945
3207 해외원정 [뉴질랜드 원정 정보] 클럽 스키장과 로프 토우 file [7] Nieve5552 2018-05-31 9 1947
3206 헝그리 캠페인 묻고답하기에서는 이렇게 질문을.... [15] 血花香 2003-09-21 14 1948
3205 장비 구입 미국내 장비시승기 싸이트 [3] 맑은산 2005-11-22 12 1950
3204 절약법 아끼자!!아끼자!! 왜냐구-->돈없잖오...... 네버스탑 2002-09-23 40 1953
3203 일반 보딩 에티켓에 관하여. [6] sierra 2002-12-15 21 1960
3202 헝그리 캠페인 리프트 탑승 시 금연 좀 부탁드립니다... [24] 아자~! 2004-01-03 17 1965
3201 헝그리 캠페인 돈보단 사람.. [7] 빨강망또 2004-03-12 8 1966
3200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들을 위한 카빙에서의 프레스에 대한 독... [20] 주인아저씨 2020-11-12 2 1970
3199 기술(테크닉) 다운언웨이티드 턴이란? 첫번째 자세를 ... file [8] 레몽레인 2021-02-22 13 1979
3198 기술(테크닉) 다운 언웨이티드 턴 원리 [8] 134340 2019-02-16 6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