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어디선가(-_-;;) 자동차 시동이 안걸려서 고민하셨던분 계셨는데 간단한 증상및 대처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1)  스타트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 시의 고장원인 및 조치

  밧데리 방전:미등의 장기 점등이나 전기장치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방전 ⇒ 다른차량의 밧데리를 이용하여 점프시동하거나 밀어서 시동한다

  밧데리액 부족으로 인한 밧데리의 성능저하 ⇒ 증류수를 보충한 후(약국판매)역시 다른 차량을 이용하여 시동을 한다.

  밧데리의 내부불량 ⇒ 밧데리를 교환하거나 다른 차량을 이용하여 시동을 한 후 인근정비소까지 이동한다.

  발전기불량:충전부족으로 재시동불량 ⇒ 다른 차량을 이용하여 시동을 하여도 바로 시동이 꺼지거나 주행을하여도 얼마가지 못해 시동이 꺼지므로 발전기를 교환한다. 이런 경우 밧데리는 교환하지 않아도 발전기의 충전으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수 있다.

  스타터모터 불량 ⇒ 응급조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다만 수동차량의 경우에는 밀어서 가능하나 자동은 불가능하다

  시동관련 휴즈 단선⇒ 5스타트관련 휴즈 이상시 사용치 않은 다른 장치의 동일휴즈를 사용한다.

  클러치패달 스위치(수동변속기) 및 자동변속기 기어위치확인(P/N위치) ⇒ 카매트 및 자동변속기인 경우 변속레버를 P/N반복하여 움직여본다.

2)  스타트모터는 회전하나 시동불가시의 원인 및 조치

  점화계통의 고장(점화코일케이블에서 고압의 전기불꽃이 튀는지 점검) ⇒ 점화코일.배전기.파워TR.컴퓨터등의 고장여부 확인

  연료계통의 고장 ⇒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펌프의 고장이나 휴즈박스 안의 연료계통 휴즈 및 릴레이 점검

  기계적인 고장 : 차량의 노후로 인한 타이밍벨트의 절손 및 기타 기계적인 고장

  기타 시동 관련 각종휴즈

보드랑은 연관이 없을지 모르지만 너그럽게 봐주세요. 좋은하루 보내시구요..
엮인글 :

KHAN干

2003.01.20 12:06:44
*.241.146.5

딴지아닙니다 오해마시길
몇가지 올립니다.
1) 밧데리 방전시 밀어서 시동법 : 오토기어에는 적용하지 못합니다.
2) 밧데리 증류수 보충 : 요즘 나요는 밧데리는 무보수(무충전용)이 많으며 보충가능한 밧데리일경우
증류수가 황산임으로 주의 요망
3) 밧데리 내부불량일경우 다른차량을 이용한 시동시 시동은 걸리더라도 계속 유지가 불가능할것임
-> 점화플러그의 전원이 발전기에서 플러그로 연결이 아닌 제너레이터->밧데리->점화플러그임
4) 발전기 불량체크는 테스터기로 전압이 제대로 나오는지 찍어보면 알수 있음
-> 테스터기(멀티미터) 가지고 다 니시는분이 계실라나???
스타트 모터 불량시 퓨즈 확인후 퓨즈 이상없을시 모터의 이상으로 봐야함

점화계통 고장이 의심될시 점화코일(플러그??) 잘못만지면 감전사함(수만볼트)
->배전기 파워TR 컴퓨터등등은 전문 진단장치 없으면 확인불가능

연료계통의 고장 -> 퓨즈확인외 개인이 확인하기 힘듬

기계적 고장 -> 그나마 육안식별 가능함

전체적으로 일반개인이 확인하기 힘듭니다.
요즘 보험 서비스 잘되 있습니다.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분

견인차 부르세요

2003.01.20 17:52:59
*.202.140.190

제가 어제 밧데리 방전으로 보험서비스 불렀는데요

완전방전으로 수치는 0 이나오더라구요.

작년에두 몇번 시동이 안걸렸지만 그 때는 램프도 약하게

켜지고 띵띵거리는 소리도 가늘게나마 들리고 했었는데

어제는 뭐 암것두 안되는 거예요, 완전방전이라나요.

기가 막히는건 작년10월달에 밧데리를 새걸루 교환한 상태이고

발전기에도 아무 이상이 없었고 절대 실내등 하나 켜놓지

않았는데 이 지경이 되어버린겁니다.

보험서비스 오신 기사분도 "이상하네요 ..."라는 대답밖에

안하시드라구요. 카센터가서 돈들여야 낫는 병에 걸린거같아요

[돌]꼬꼬리

2003.01.20 19:53:48
*.105.5.253

준님 경보기는 장착 안해놓으셨나요?
밧데리 체크할때 완전 방전으로 나오기나 하지요
저는 한3년 동안 보험회사 부른것만 한 5번 정도 되고
점퍼해서 시동건게 한 5~6회되도록 방전을 시켰는데요
방전후에 밧데리 체크하면 굿으로 나와욤......
밧데리 사러 갔는데 5만원정도해서 그옆에 있는 3천원짜리
점퍼선만 사가지고 열심히 다녀요......"아저씨 차 시동점
걸어주시져"

The쥐

2003.01.21 05:34:49
*.221.108.10

배터리도 소모품입니다. 수명이 있다는 이야기죠.

배터리방전이후에 제네레이터(제네레다)나 셀모터 불량을 운운하며 정비를 독촉(?)하는 카센타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때..큰돈들이실필요없이 아래의 내용을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일단 점핑으로 시동을 건후에 얼마 안있어 시동꺼짐 현상이 계속 생긴다면...
배터리불량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약 2~3년정도 차량의 연식이 있으시다면 배터리의 수명이 다되었을 가능성이 높죠.
일단 단가가 싼부분부터 교체를 하심이 좋을듯싶네요.

신품교환후에도 방전 및 시동불량 문제가 계속발생한다면... 각종전자제품류(자동경보기, 원격시동기, 카오디오 계통의 부착물등.)의 이상접지유무를
확인하시고 그래도 안잡힌다면.... 제너레이터(알터네이터)와 셀모터를 정비받으시는게 좋을듯...

대부분.. 연식이 5년이하이시라면.. 제너레이터나 셀모터는 고장이 잘일어나지 않습니다.
머..그냥 참고하시라구요...

2003.01.21 18:59:06
*.202.140.190

자동경보기,원격시동기,카오디오계통부착물,제너레이터,셀모터 ...

예에 고맙습니다^^

아,그리고 점프선두 살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58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가르친다!(2편) [5]

  • BEAT
  • 2003-01-21
  • 추천 수 28
  • 조회 수 4242

해외원정 나가노의 뽀드장들. 이와타케편 [14]

  • Mars
  • 2003-01-20
  • 추천 수 22
  • 조회 수 2925

일반 자동차 시동불능 대체요령 [5]

  • hero
  • 2003-01-20
  • 추천 수 18
  • 조회 수 5893

초보를 위한 강좌 쌩초보에게 하고싶은 충고 - 부츠 제대로 신기 [22]

  • tragic
  • 2003-01-20
  • 추천 수 8
  • 조회 수 5670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가르친다!(자유게시판에서 옮김) [8]

  • BEAT
  • 2003-01-20
  • 추천 수 16
  • 조회 수 3947

일반 NO PAIN, NO GAIN...? [16]

장비 튜닝 전면 시트지 튜닝~!! 확실한 마무리...빙고... [12]

  • 조상현
  • 2003-01-19
  • 추천 수 20
  • 조회 수 5198

의학,부상,사고 = 스키와 스노우보드 부상의 비교 = [9]

  • sweetthink
  • 2003-01-17
  • 추천 수 13
  • 조회 수 4319

장비 튜닝 나만의 헬멧을 만들어보자...^^;; [8]

  • 매냑™
  • 2003-01-17
  • 추천 수 20
  • 조회 수 4581

장비 관련 고글속 안경 김안서리기.. [19]

  • 배고파
  • 2003-01-17
  • 추천 수 8
  • 조회 수 6286

일반 나만의 보드복 갖기~우하하하 -_-;; [13]

일반 [펌] 스키장에서 우리의 권리와의무(한국의... [13]

  • 쿠우Qoo
  • 2003-01-16
  • 추천 수 12
  • 조회 수 2309

헝그리 캠페인 [캠페인]헤드폰을 착용하지 말자!! [84]

  • adnprs
  • 2003-01-16
  • 추천 수 11
  • 조회 수 4295

장비 관련 나만의 부츠 길들이기 [13]

  • Θ황군Θ
  • 2003-01-15
  • 추천 수 14
  • 조회 수 4013

장비 구입 [병행수입법] 정품? 짭???? 이게 뭐야 -.- [11]

  • Corea
  • 2003-01-15
  • 추천 수 29
  • 조회 수 5092

초보를 위한 강좌 x옹,님의글입니다.....마음가짐.. [27]

헝그리 캠페인 [캠페인]안전바 내립니다. 올립니다아~~ [25]

일반 검색어 안경 + 고글 + 일회용렌즈 [21]

일반 무릎 통증에 대하여...... [16]

헝그리 캠페인 [캠페인]보드장에서의 흡연에 대해서...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