ㅋㅋㅋ 갑자기 대회 진행에 관한 일반적인 스탭 구성을 적어볼까 합니다
이런건 어디서 가르쳐 주지도 않으니까......
우선 프리스타일이니까 하프파이프 부터 하고 대회전은 다음에 시간나면
하죠....
우선 스탭구성은 대회 전날 정하게 됩니다
운영자 회의를 통해 각자의 포지션을 정하게 됩니다
그다음은 대표자 회의를 하게되죠
대표자 회의때는 스탭 소개와 비브 추첨등을 하고 채점방식(3심제인지 5심제인지)과 공식인스팩션 시간등을 알려줍니다  
대표자회의때는 선수와,임원,코치등이 참석합니다
스탭구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TD (테크니컬 델리게이터)
   대회의 총진행을 맏습니다 TD 가 갖아야할 가장큰 의무는 선수보호입니다
   그리고 리절트(대회결과가 기록된결과지) 에 싸인을 해야 그 대회가
   인정됩니다
2.경기위원장
  TD 와함께 대회를 총괄합니다

3. 주심
    주심은 심판들을 총괄하고 대회진행의 실질적인 책임을 지게 됩니다
4.출발심
    아시죠?  선수들 출발시키는 심판입니다  경우에따라 출발전에
    선수를 실격 시킬수있는 막강한 파워(?) 가 있습니다
5.결승심
   결승선 에서 선수가 통과하는것을 보는(?) 심판입니다
   결승심은 선수가 경기를 진행하는동안의 행동을보고
   그 런을 무효시킬수도 있습니다
6.기술심판  
   파이프에서의 기술을 평가하는 심판인데 대회의 규모에따라 5심제
   혹은 3심제로 운영합니다
   a. 테크니컬 메리트
       헤드저지 로써 점수에 가장큰 영향을 줍니다
       파이프에서 런의횟수,리듬감,기술의 배합등을 봅니다
       만약 점수환산때 동점이 나올경우 테크니컬 메리트 점수가
       높은사람이 상위에 오르게 됩니다
    b.앰프리튜드
       라이더의 힘을 봅니다  얼마나 높이 뜨는지....
    c. 랜딩
       파이프에서 에어를하고 랜딩할때의 자세와 안정감을 봅니다
    d.베이직에어
       인디,메소드등 180도 이하의 기술등을 봅니다 (180도 맞나?)
    e.로테이션
       베이직에어 이외의 스핀기술과 풀립기술등을봅니다
   이상 5명의 기술심판에의해 5심제가 운영돼고
    3심제일경우   1.테크니컬 메리트2.앰프리튜드+랜딩
                        3.베이직에어 +로테이션
    이렇게 평가를 합니다
7.시설주임
   경기장 시설의 전반적인 책임을 지게 됩니다
   파이프 경기때 음향이 지원돼야 하는데 이때 DJ와 음향
   장비들도 총괄합니다
8.의무주임
   경기중 선수들의 부상입었을경우에 응급조치를 책임집니다
9. 보도주임
   경기중 방송사와 신문사의 기자들을 통제 합니다 촬영때문에
    선수들이 경기에 지장이 있을수 있기 때문입니다
10. 관객주임
    겔러리들을 통제합니다
이상이 하프파이프 대회의 일반적인 스탭구성입니다
이외에 행정팀이 있어야 하는데 그건 생략하죠
저역시  심판자격 취득할때이외 교육받은건 없고
3년동안 대회진행하면서 배운거라 혹 틀린부분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틀린부분은 댓글로 지적해 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제가 이렇게 긴글 써보기는 처음입니다
ㅋㅋㅋㅋㅋㅋ
우리나라에서도 조만간에 월드컵과 동계올림픽이 열릴예정인데
그때 자원봉사 하고싶어서 나름대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ㅋㅋㅋㅋㅋ  
그리고 다음시즌에는 헝그리 보더 배 파이프대회를 한번하죠..ㅋㅋㅋㅋ
  
* sky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2-04-23 12:53)
엮인글 :

박휘곤[박옹]

2002.04.23 12:51:32
*.102.72.253

오!...정말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조만간 누구나 칼럼으로 이동될듯...^^V 행복하세요! - Cool한 세상을 꿈꾸는 남자, 박옹 -

sky

2002.04.23 14:50:33
*.51.81.175

100 up, thank for your colum

베캄

2002.04.25 13:44:46
*.219.164.114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자원봉사 꼭 하실수 있기를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95
177 기술(테크닉) 2년차 보린이가 느낀 힐턴꿀팁(골반오픈방법) [38] 개걸스럽게... 2019-01-30 22 5842
176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가 어려운 이유 [25] 134340 2019-01-31 8 6253
175 기술(테크닉) 무빙엣지라고 생각하지만 아닐수도 있어요..... file [28] 레몽레인 2019-02-06 23 3493
174 기술(테크닉) 모글 라이딩 라인 잡기 file [5] 레몽레인 2019-02-09 2 1042
173 기술(테크닉) 모글라이딩 라인 잡기 file [14] 레몽레인 2019-02-10 5 1709
172 초보를 위한 강좌 용어 (전경/후경 ...) [11] 134340 2019-02-13 10 2905
171 기술(테크닉) 다운 언웨이티드 턴 원리 [8] 134340 2019-02-16 6 1979
170 기술(테크닉) 다운 언웨이티드 턴 방법 [2] 134340 2019-02-16 6 2044
169 초보를 위한 강좌 엣지체인지 조건 [3] 134340 2019-02-16 7 2710
168 기술(테크닉) 전향각, 힐턴, 그리고 엣징 [15] 호암 2019-02-16 10 4936
167 장비 관련 19/20 각 브랜드 헤머데크 스펙 정리 [37] RRRRR 2019-02-22 54 5593
166 기술(테크닉) [퍼옴] 킥커의 메카니즘-코리아킹스 작성 file [5] 해일로 2019-02-26 8 1170
165 기술(테크닉) 업 언웨이티드 턴 다운 언웨이티드 턴의 역사 file [15] 레몽레인 2019-02-28 24 2848
164 절약법 손에서 발냄새가 날 때??? [3] 스크래치 2019-03-02   2713
163 장비 관련 붓아웃 줄이기 file [10] 천빵 2019-03-04 3 3016
162 초보를 위한 강좌 동전을 안주우려고 할때 동전이 주워집니다 [7] 낙타뒷발 2019-03-16 13 3969
161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자세에서 중요한점 [7] ZeroOne 2019-07-08 22 2818
160 장비 관련 스노보드 보강/내장제와 그 역할 [6] GATSBY 2019-07-16 6 1358
159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카빙을 위한 기울기와 엣지각 세우기 [7] ZeroOne 2019-07-22 22 3862
158 장비 튜닝 왁싱과 베이스 관련 [25] GATSBY 2019-08-12 11 3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