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간간히 눈팅하는 직장인 보더입니다.

04/05 시즌을 첨으로 시작한게 어제 같은데 벌써 10/11이네요

시즌 첨에는 학생이여서 마냥 즐거웠는데 이제는 직장다니랴 보드타랴 정신이 없네요...
(시즌 준비는 커녕 시즌권이랑 보관소 신청하는 것도 힘들다능;;;)

가끔 거지 같이 입어도 날아다니는 은둔고수가 어디서 나오는지 알꺼 같습니다.
(옷은 커녕 타러 다니는 것만으로도 행복~^^;)

날씨가 쌀쌀한게 싱숭생숭해서 눈팅하다 트릭과 관련된 글 한자 적어봅니다.
(특별히 트릭의 끝을 찾으려는 건 아닙니다. 그냥 저는 그렇다구요~)

참고로 저는 100% 독학보더로 완전 슬룹스타일에 트릭만 좋아라하는 1인입니다.
(주로 초급 슬룹에서 기거하며 혼자서 팔짝 팔짝 거리는거 좋아라함!)

간단히 제 실력을 정리하면 00/01 나이트로 퍼니셔(트릭하긴 하드하나 라이딩하긴 소프트한데크)로만 지금까지 탔습니다.
라이딩은 숏카빙 정도하구요 트릭은 여러가지 섞어서 합니다.

예) 프런트 90도 노즈프레스(레귤러스텐스) -> 180아웃 -> 뒷따닥이 2회(구피스텐스) -> 노즈180 -> 노즈프레스 180 아웃(일명 몬토야 360)
(이해가 되시려나??)

그 외 이것 저것 붙여서 하구요 올해 목표는 성우 초급 슬룹 첨에서 끝까지 트릭하면서 내려오는겁니다~^^;


각설하고 보드 실력이 늘어날 수록 자신의 스타일이 나오는거 같아요

제 생각에는 카빙턴을 시작하면서 3가지 스타일로 구분되지 않나 싶습니다.

1. 라이딩 스타일
- 일단 숏카빙이 가능해지면 정말 발에서도 ㅇㄹㄱ즘(^^;)을 느낄 수 있음을 알게되지요
    저같은 경우는 3년이 걸렸으며 비로서 제 데크의 성능을 80%정도 사용한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2. 슬룹 스타일
- 제 스타일이줘 그냥 이리저리 다니면서 트릭을 좋아하는 스타일

3. 파크 스타일
- 대부분이 트릭을 좀 하다가 빠지게 되는 스타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는 한 번 당하고 나서 얼씬도 안한다는~^^;;;

1번이나 3번은 많은 분들이 좋아라 하는 스타일이지만 2번 스타일은 별로 메니아가 없네요...
제가 아주 아쉬워하는 부분이줘;;;

동호회에 있어도 해봐야 360정도고 트릭에는 크게 관심들이 없으셔서...

요즘 생각이 드는게 동영상 및 이미지 트레이닝으로 어느 정도 트릭을 흉내를 내지만 스스로 한계라는 생각이 드네요

같이 좋아라해서 타는 사람이라도 있으면 좋을껀데 다들 좀 타다가 파크로 가버리니;;;
요즘은 저와 비슷한 실력을 가지신 분들을 찾는 것도 힘드네요;;

가끔 나타나면 열심히 따라다니지만 금방 없어져 버리신다는;;;

좀 트릭 잘하시는 분들이랑 타는게 요즘 소원이 됐네요;;

정말 궁금한게 님들은 어떤 트릭은 좋아라 하시고 궁극의 트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참고로 저는 540을 못돌립니다. 이거 연습하다 팔이라도 부러질까봐^^;
(다치면 보드 못타요~ㅋㅋ 혹시 이거 안다치게 연습하는거 아시는 분 갈쳐주십시오~ㅎㅎ)

갠적으로 트릭 중 가장 멋있는 트릭은 레이티드 360이네요...
(요거도 어떻게 연습하는지 아시는 분 갈쳐주십시오~ㅎㅎ)

마지막으로 혹시 성우에 기거하시는 트릭 고수님 리플 좀 달아주세요~
같이 좀 타요~ㅎㅎ





엮인글 :

January

2010.10.26 14:55:24
*.127.187.2

개인적으론...

휘리리리릭~~ 하는 트릭 보다...

반바퀴만 돌더라도...

빠른 스피드에서 여유있는 스케일 큰 트릭을 좋아라 합니다.

트릭 후 마치 무슨일 있었냐는 듯 유유히 사라지는...

TankGunner

2010.10.26 15:32:44
*.129.243.109

540 돌릴려고 속도내서 팍 찍다가 잘못되면 몸개그......ㄷㄷㄷ

그냥 적당한 속도로 내려가다가 둔턱에서 슬립없이 180이나 메소드 정도 해주면서

시원스레 내려가는게 더 좋아보여요.....ㅎㅎ



그래도 360하는 사람들 보이면 쳐다보게됨....ㄷㄷㄷ

성게군~

2010.10.26 15:53:33
*.226.142.23

저도 전적으로 동의하는 스타일입니다.

그런데 제가 트릭에 미쳐있어서요~^^;

성에 안차요~~ㅎㅎ

트릭고수님 조언을~ㅎㅎ

♂MaSung

2010.10.26 17:35:22
*.155.163.60

전 그트를 못해서 ㅜㅜ

호요보더

2010.10.26 18:54:59
*.63.109.37

뭐 잘타지는 못하지만 갠적으로 트릭은 뭘하든간에 물흐르듯 유연하게 이여지는 트릭이 멋진것같아요!

한방트릭(높이와 겁없는스케일) 이건 뭐 말할것도 없이 멋지지만 그것보다 간단한 트릭이라도

가볍게 유연하게 잘하는분이 멋진것같네요

그리고 트릭의 정점은 포인트를 잘찾는거죠 보더는=뮤지컬배우와 비교를 하던 글이 생각나네요

춤에도 자기 동선이 있고 트릭 고수들도 요소요소 포인트를 잘잡고 그곳에서만 트릭을 구사하죠

같은 둔턱이나 모글 뱅크 등등 2번이상 라이딩하는 영상보시면 페턴이 비슷하죠 뛰는 자리도 비슷하고요

언제나 첫라딩에선 몸도 풀고 슬로프컨디션 트릭할곳(오늘따라 더말려서 높이가 더많이 나오는곳)도

찾아다니죠.


하지만 전 찾아줘도 못합니다 ㅠ.ㅜ...

leeho730

2010.10.26 22:03:09
*.178.36.145

트릭은 잘할려고 연습합니다만... 지금 연마하고 있는 트릭은 360... 과 유로카빙 (이것도... 사실 트릭의 일종...)

궁극의 라이딩 트릭은... 연속 에어 투 스위치 카브와 엣지 체인지시 2미터 이상 날라가는 거... 정도일까요?

이영진

2010.10.27 00:00:26
*.124.188.203

진짜 스케일없이 깔끔하지 못하면서 슬로프에서 깔짝깔짝 내려오는 트릭이 젤 별루임;;

날아라재영이

2010.10.27 00:48:53
*.22.74.115

저랑 상당히 비슷한 스타일이시지만 성우라서 좌절...

에덴벨리 오시면 같이 타요.ㅎ

TrustMe

2010.10.27 08:30:51
*.131.31.110

직장인 보더 트릭금지법때문에 그트가 안느는 것이죠.
여름정기휴가 철폐하고, 겨울정기휴가 보장하라! 보장하라! ㅋ

쇼부_1001577

2010.11.01 16:45:27
*.94.201.13

상당히 좋은 의견인듯... 난 이 의견 찬성입니다 ㅋㅋ

소리조각

2010.11.01 17:14:05
*.90.74.98

저도  이 의견에 찬성합니다~~~!!! 휴가는 겨울에~!!

無간지보더

2010.11.02 09:08:46
*.245.127.253

좋은 의견이십니다.

근데 잘못하다가 집으로 갈 수 있다능...ㅋㅋ

슭훗

2010.10.27 08:54:36
*.226.112.1

직장인 트릭의 끝은 병원....

농담이고요.

주말에만 타다보니 실력향상이 확실히 더디기는 합니다.

많이 다치면 안되니까 몸조심하기도 하고 ㅋㅋㅋ

트릭의 끝이 어디있겠나요...이것저것 해보고 관심사도 조금씩 변하고 뭐 그런거 같아요.


스닉

2010.10.27 10:00:27
*.15.154.29

전 어느정도 속도 있는 상태에서 한방 후 그 스피드 유지하면서 내려오는게 멋있어 보이드라구요~

TrustMe

2010.10.27 10:13:13
*.131.31.125

사실 성게군 트릭이 너무 번잡해졌어. 실력은 늘었는데 스타일은 퇴보했다고나 할까..

아리다솜

2010.10.27 11:11:25
*.139.144.10

저역시 배우는 입장에서 작은 그트라도 스케일이 좋아보이는 분들에게 시선이 가던데 ㅜㅜ

구랭구랭

2010.10.27 11:14:53
*.95.187.43

같은 직장인 보더로써 공감되는게 많네요.

근데 저는 그라운드 트릭은 결국 파크로 이어진다고 생각됩니다. 특별히 그트냐 파크냐가 아니라 기냥 같은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 아닐까요? 파이프는 약간 예외라 생각되구요.

저도 초창기 완전 그트에만 집착했었는데(머 그땐 파크란 것도 없었지만요), 결국엔 파크로 가게되더군요.

그렇게 된 이유를 가만히 생각해보면, 파크가 더 재밌고 오히려 쉽다(?).. 이렇게 되는 것 같아요.

그라운드은 오로지 자신의 힘으로 뛰야하고 그 때문에 높이의 한계가 있지만, 킥커는 걍 띄워 주니까 편한 면이 있고,

슬로프 바닥을 노스로 미는 것 보다는 박스 위에서 하는게 더 재밌고, 눈에 엣지 박히는 경우도 없고... (물론 박스에 박히기도 하지만요..ㅋㅋ)

스켑하고 연관 시켜보면, 스트릿에서 뱅크(=킥커)없이 걍 쓰리를 돌린다는 것은 참 어렵죠, 체공 시간도 짧고요.

그랩은 꿈도 못꾸고... 그건 프로도 마찬가지... 스트릿 대회보면 쓰리이상은 보기가 어렵죠. (페이키 쓰리하면 점수 많이 받더구여.)

하지만 버트(=파이프)가 되면 머 다하죠. 그랩 잡고, 1080도 돌리고, 다 높이가 나오고 체공 시간도 있으니까...

그치만, 스켑 같은 경우는 스트릿도 버트 못지 않게 중요한 한 축을 이루는데, 그 이유는 플립, 샤빗 등등의 기술 때문인 것 같아요.


그래서, 결론적으로 보면, 스놉의 그트는 한계가 많다고 봅니다.

스핀 계열은 높이, 체공에서 한계가 있고, 스켑처럼 플립, 샤빗이 되는 것도 아니고 하다 못해 본레스도 안되니,

용용기도 적고... 물론 둔턱을 이용해서 체공 시간을 늘리는 것도 있지만, 이건 사실 킥커의 개념과 같으니까 예외라 생각하구요.


저는, 그라운드에서 스놉으로 널리 백사이드 킥플립 180하는... 이런 꿈만 꿉니다. ㅋㅋ

성게군~

2010.10.27 15:42:17
*.226.142.23

ㅎㅎ 조언들 감사합니다~ 호요보더님과 구랭구랭님의 리플이 굉장히 인상적이네요~

널리 백사이드 킥플립 180이 뭔지 찾아봐야겠군요~ㅎㅎ

스타일과 기술이라... 비록 사돈 남말이지만(Trsut 요넘! 너나 잘해랏! <= 아는 사람임~^^;)
스타일이 죽기는 죽었지요~^^;

비록 깔짝 깔짝하더라도 연습하는게 중요한거겠줘??



♂MaSung

2010.10.27 16:51:35
*.155.163.60

제가 그트보다 파크를 선호하는 이유는...
쉽다라기 보다는 체력적인 문제??ㅎ

그트가 제일 힘들어요 ㅜㅜ

슭훗

2010.10.27 17:06:56
*.226.112.1

널리 백사이드 킥플립은 스케이트보드 기술입니다.

널리 팝 + 백사이드 180 + 킥플립

저도 스노우보드의 그라운드 기술은 아직 좀 부족한거 같아요.

일본라이더들보면 다양한거 시도해보던데

그것보다 좀더 확 하고 끌만한 스케이트보드로 따지면 플립류 같은 혁명적인 기술 뭐 없으려나요...

성게군~

2010.10.27 17:14:24
*.226.142.23

/마성~ ㅎㅎ 그트는 근성입니다~ㅎㅎ
/슭흣님 검색해보다 당췌 이게뭐지 생각했음~^^; 스노보드로 플립하려면;;; 후덜덜이군요~ㅎㅎ

저는 올해도 그트에 매진할랍니다~ 왜냐면 올해는 커스텀으로 바꿨거든요~ 전에 타던 나이트로 퍼니셔는 넘 딱딱해서 체력의 한계가~~ 올해 그트 정점을 찍어 볼랍니다!

ycthoth

2010.10.27 17:40:28
*.158.217.124

성우다니는데...그트 열정이 대단하신듯해요... 트릭처음 배울려고 하는데....제자로 받아주세요
열씸히 미친듯이 노력할 자신 있어요...젭알 ㅠㅠ

TrustMe

2010.10.27 18:46:35
*.73.159.10

호요보더님 Leeho730님에 동감..

땡초김밥

2010.10.27 23:21:32
*.39.157.199

라이딩에서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트릭이 가장 멋져보이는것 같아요~

연습해야지...연습

*투자는 개나줘*

2010.10.28 10:29:42
*.7.212.110

아주 공감공감...

직장다니며 주말에 스키장 가서 하얀눈을 볼때 정말 설레이죠 ㅎㅎㅎ

처음엔 트릭을 많이 연습했는데...

이건 아니다 싶더라구요... 무릎한번 돌아가서 시즌내내 한의원에서 침맞으며 살았더니...

라인딩만 하게 되더라구요...

동영상 보며 혼자 독학으로 그나마 어설픈 카빙정도만 하지만

라인딩도 조금씩 는다는 생각에 열심히 주말에만 라인딩합니다. .ㅎㅎ 젊은분들이야 트릭이든 라인딩이든 잘하니..

부럽기만 하죠 ㅎㅎ 보든것만으로도 항상 즐거운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성게군~

2010.10.28 14:15:16
*.226.142.23

/투자님 하얀눈 금방 봐야줘~ㅎㅎ 저도 한 번 돌려먹고 살살하면서 연습하는 방법을 터특했습니다~^^ 허나 배울 사람은 없다는~ㅎㅎㅎ

/ycthoth님 가르쳐 드리는 건 시간도 얼마 안걸리고 어렵지 않습니다. 저도 가르쳐 주는거 정말 좋아합니다~!!
단!!!! 레귤러(자신이 레귤러가 기본이면) 카빙 이상 스윗치는 카빙 입문정도 그리고 양방향으로(레귤러/구피로) 노즈 180을 하실 줄 알아야 됩니다!(노즈 180은 좀 부족하셔도 상관은 없어요~)
- 몇 몇 트릭 강습하다 보니깐 라이딩이 안되시는 분은 트릭이 의미가 없습니다! 스위치 안되시면 안갈챠 드릴겁니다~!

흑야

2010.10.28 14:18:09
*.150.195.193

혹시나 스케일 큰 깔끔한 영상 도움이 될까해서 헝글영상에 천화비향 쳐보세요~ㅎ 모델입니다..
평생 못따라가겠지만요 ㅠ

Gatsby

2010.10.28 16:30:35
*.45.1.73

스노보드를 요리라고 한다면.....

그라운드 트릭은 양념,

킥커는 반찬

파이프는 고급 반찬

라이딩은 밥.........

....

.....

......지금까지 나온 트릭들 중 가장 어려운 게......

킥커에서는 프론트 1620 돌린 외쿡 로컬 프로가 있고,

.......호그모가 트리플 콕 돌렸죠...

파이프에서는 숀 화이트의 더블 콕1080 과 더블 맥트위스트1260가 가장 어려운 트릭을 듯....

Gatsby

2010.10.28 16:47:54
*.45.1.73

직장인 트릭의 끝은............................그랩..............ㅜ.ㅜ

ESB

2010.11.02 02:49:12
*.213.246.239

그랩 멋지게 잡으면 사실 완전 간지 나죠

성게군~

2010.10.28 18:03:21
*.226.142.23

잠깐 짬이나서 쓰는 갠적으로 생각하는 트릭연습순서(ycthoth님 참고하세요~^^)
만약 학생이고 지대로 배워볼라면 추천! 버트 직장인이면 그냥 잼나게 타세요 시간이 많이 걸리는 거임~ㅎㅎ

1. 스윗치 라이딩 카빙입문까지
2. 노즈 180 양쪽 (이거는 스케일과 안정성이 완벽한 수준까지 와야됩니다 - 트릭의 가장 중요한 기본기임)
3. 노즈, 테일프레스(양쪽다)
4. 롤링(버터링?? 테일에 프레스 주면서 돌리는거) 양쪽

위 4개를 마스터 하면 이리저리 돌리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럼 이제 동영상을 보면서 이미지 트레이닝과 원포인트면 충분히 어지간한 트릭을 구사하게 됩니다.

주의사항 360은 어지간하면 나중에 연습하세요 180이 완성되기 전에 360을 돌려버리면 버릇이 들어서 360만 돌리게 됩니다.
알리 180은 금방 배우니 위 트릭을 먼저 마스터 하십시오 멋있지도 않고 별로 중요하지도 않습니다.
가장 결적적인 이유는 노즈180은 반박자가 빨라서 다음 트릭하기 좋지만 알리 180은 반박자가 느려서 연속으로 트릭하기 좋지가 않지요~!

참! 펌핑 및 트런트 백 180은 매우 중요하니 틈틈히 연습하시길 바랍니다~^^

건들면액션

2010.10.28 21:20:51
*.158.217.124

성게님 ycthoth <---입니다 ㅎㅎ 올해 3년차 시즌 맞이하구용...2시즌 상주 해서 열심히 탔어요 ㅎㅎ;;
부족하지만 카빙하고 제가 레귤러입니다. 레귤러 구피 스위치 할줄 알구요~작년에 프론트 알리 180 360 신나게 돌리다가 넘어진 기억밖에 ㅎㅎㅎ; 프레스 주는거는 노즈 테일 아직 부족해요~ 롤링도 못하지만.....아...학생이라 풀상주가 가능하답니다 크크;;;
올 시즌도 열심히 타보고 싶네요...여튼 트릭사부님에 가르침이 절실 합니다~ 많이 갈챠주세용~~

쁅쁅

2010.10.28 21:53:30
*.132.245.250

트릭 깨작깨작 대면서 슬롭 내려오는건.. 연습하느라 그런거니 이해해주시길..ㅠㅠㅠ

ZARU

2010.10.28 23:43:31
*.187.143.97

베어스타운오셔요~재미있고 멋진 그트 많아요^^물론 많은동호회나 헝글활동하시면서 가르쳐주실분들도 제가알기론 많습니다 그트 좋아하시다니 반가워서 글남깁니다~직장인들 화이팅!!!!ㅎㅎㅎ

성게군~

2010.10.29 08:17:57
*.105.29.15

ㅎㅎ 역시 헝글이네용~^^ 상주하신다니 부럽습니다 그트 많이 부족하지만 같이 타면서 즐길수 있다면 너무 좋지요~~ 나중에 연락처 보내드릴께용 짐 출장나와서~ 같이 그트 즐겨봅시다~

다솜

2010.10.29 17:13:02
*.121.61.55

보드 접한지 10년이 다되어가고 나이도 30대중반이라서 무리하게 타지는 못합니다..

자나깨나 안전보딩...괜히 다치기라도하면 직장생활 눈치보여서..피곤합니다..

카빙, 원에리 정도면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만...

보드보단 가정이 먼저라서...그래도 겨울만되면 무쟈게 설레이는 마음이있어 다행입니다...ㅎㅎ

베어스로컬

2010.10.31 12:54:13
*.161.87.28

공감 많이 되네요!! 직장이 보더의 현실...

 

그트를 배우고 싶은 베어스 2년차 로컬이었습니다.

 

내 아이디 돌리도~

 

p.s 트릭 깰짝깰짝 하면서 내려오는건 연습이니 너그러이 봐주세요;;

치킨헤드

2010.10.31 15:12:49
*.254.18.60

저도 직딩입니다 04 05부터 막말로 빡세게탓는데

 

손목골절과 애기가태여나서 이번시즌엔 관광모드로 가야할듯합니다 ㅠㅠ

 

추구하시는 스타일이 비슷하시네여 우리같은 직딩은 시간과 스킬이 엄청필요한 파이프같은데 들어가기도어렵고

 

파크가 안맞을수도있고 꿩대신 닭이라고 트릭에 빠지는것 같습니다ㅣ

 

저도 잘타는건 아니지만 제가 할수있는건 알리 널리 알리360  백 프론원에리 360레이트 버터링  레이트360

 

비스무리하게 합니다;;

 

레이트 잘만하면 간지나죠 ;;  글로 쓰기는 어렵고 360레이트같은 경우엔 널리180으로 찍고 상체랑 하체를

 

비틀면서 다시 빠르게 풀면 되는데 참 글로쓰기가 어렵네요  쪽지주시면 시즌내 시간맞춰

 

미흡하지만 알려드리겠습니다  안전보딩하세용~~

 

 

225

2010.10.31 16:00:48
*.218.8.248

만일  1에서 10까지의 숙련도가 있다면

 

직딩들은(제 기준...ㅠㅠ)

 

시즌전 0 에서 시작해서 빌빌거리다... 시즌 막장쯤 한 4쯤 가다가...

 

또다시 다음 시즌초에는 조금 나아져  1에서 시작하다.... 다시 4.5 쯤가다 멈추고...ㅋㅋ 

 

잘타는 젊은이들 보면.... 나도 좀 젊을때 놀러다니고 왜 진작 안 배웠을까하는... 후회와 비애....ㅠㅠ

 

아..... 올해도 스키장 관광이나 해야 겠습니다... 

돼지껍데기

2010.10.31 16:54:53
*.49.93.240

360만돌려도 -_-상주하는사람들같아요 원에리도 그렇코 ..ㅠ.ㅠ

 

 

JuDe 

2010.11.01 03:29:25
*.139.116.71

단지 즐길뿐..그뿐...-_-ㅋ

쥬룹쥬룹~♪

2010.11.01 08:45:12
*.120.69.93

저도 그라운드에서 쓰리까지는 해보고싶은데....너무어려움 ㅠ

 

Sirocco

2010.11.01 14:26:32
*.162.55.32

좋은 정보가 많네요~

 

올해는 저도 열심히!!!

말하는나무

2010.11.01 17:11:01
*.50.21.20

음 직장인에 유부남이면 거의 스키장 가기도 쉽지가 않죠..그저 원에리라도 깔끔하고 하고 싶은 욕망이 있긴 합니다. 노즈 180을 먼저 해야 하는 군요.. 어떻게 하는지 찾아봐야 겠네요..

 

안다치고 살살하는 방법이라 무척 궁금해요

악플러™

2010.11.01 20:51:04
*.136.50.253

음 ..

제가 제일 잘하는 트릭은 ..

카페테리아에서 4시간 버티기  입니다 ..

 

간 혹 잠도 잠니다 ..

성게군~

2010.11.01 21:07:09
*.234.243.50

ㅋㅋ 혹시 성우 별다방!!! 이런거 하지 마세엿!ㅋㅋ

성게군~

2010.11.01 21:00:17
*.234.243.50

아고아고 리뉴얼인가요~? 모바일 환경도 좋지만 모바일 유저임에도 피씨버전을 즐기던 전 넘 않을내여 한 눈에 안들어와요!!!!

하여간 안다치고 트릭배우는거 질문이 있어서 퇴근 짬내서 올려봅니다(아이폰임! 그리고 분명 은둔고수는 피식할꺼임~ ㅎㅎ)

간단하게(술은 먹었으나 책임감있게~~) 말해서 여유를 가지세요
저도 그랬지만 이상하게 많은 사람들이 한방에 트릭을 배운다는 생각에 차있습니다 제가 아는 트릭은 구질구질한겁니다

제가 첨 180을 연습한다면 90도 먹고 들어와서 90도만 뛰는 연습을 할겁니다 어설프고 스케일 안나옵니다 그래도 여기서 키워나가는 겁니다 익숙해지면 100에 80비율로 130에 50비율 그리고 180짜리로(이미지 트레이닝은 기본입니다) 이쯤되면 이미180을 잘하는 사람입니다 이정도는 아무나 하는거 안다치게 배운거고 이제 자신감이 붙었으니 스케일을 키워야줘!! 다른 트릭도 같습니다~ 집에 거의왔음 문의는 언제나 환영입니다(은둔고수는 피식하겠지만~|) 아이폰으로 쓴거니 이해를~

Park.B

2010.11.01 22:12:43
*.149.56.65

옷은 거지같이 입어도 은둔고수가 되고싶은 1人..ㅠㅠ

저도 직장인이지만 간단한 트릭 한두개..(스케일 무진장 큰걸루ㅋㅋㅋㅋㅋ)

저도 그트를 워낙 좋아해서 ㅎㅎ

7.Fiber

2010.11.02 00:13:06
*.5.53.135

추천
1
비추천
0

오랫만에 그트에대한이야기들.. 저역시 그트를 굉장히 좋아하는사람으로서 위에 모든글들을 끝까지 읽게 해주시는군요

글쓰신분이 참 좋은 질문을 던져주셔서^^ 좋은내용도 많고 배워야 할내용도 많네요 ^^

전 베어스에서 6년째 보드를 타는 직장인입니다 ㅎㅎ  남들과 조금 다른 조건을 가진 직장인이긴 하지만 ㅎㅎ 스키장이 좀 가까워요 ㅎㅎㅎ  아무튼 저도 그라운드를 참 좋아해서 많이 넘어지고 다치고 해보아서 위에 글들이 너무 가슴에 와닿네요

그래서 저도 부족하지만 6년간 보드타면서  몸으로 배운 노하우몇가지 적어드려볼까합니다 ㅎㅎ

그리고 개인적인생각이지만 저는 남들이   "저사람 정말 재미있게타!" 이말들으면 참 좋더라구요 ㅎㅎ

 

일단 글쓴님에 질문에 답하자면  트릭에끝은  본인이 만족할때인거같습니다  모두가 그럴때지만 남에 실력에 자때를 대고

잘타니 못타니 하는말을 하는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그래서 남들이 인정해주는거보다  본인이 만족하고 인정하는순간이

가장 질문에 맞는 답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ㅎㅎ 이건 지극히~~~ 제 개인적인생각입니다 ㅎㅎ

 

그럼 노하우를 몇자 적자면... 이것역시 제 개인적인 생각이며 다른모든분들께 도움되라고 적기보다는 이글을 읽으시고

본인스타일과 맞는거 같다라 생각되시는 분들이 있으실까 적는거기때분에  악플같은거는 자제부탁드리겠습니다^^

마음이 여려서 상처받습니다 ㅎㅎㅎㅎ

 

노하우는 공유하라고 있는거기에 ㅎㅎ 끄적이겠습니다 ,,

 

1. 스키장개장주에 눈이 말랑거리는 틈을타서 도전해라!

    위내용에는 라이딩도 포함이지만 말랑거리는눈에서는 카빙이나 턴에 감잡기는 무리가 있으니 그트에 근육을 혹사시켜서

   빨리 근육을 보드에 적응시키라는뜻도 있습니다 ㅎㅎ  이때는 넘어져도 좀더 충격이 덜하고 몸에도 부담이 덜가기에 ㅎㅎ

   그리고 개장때는 항상사람들이 많으니까 여건이 되면 한쪽구석편에서 하이컵하면서 노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ㅎㅎ

   일단 근육들을 풀어주면 시즌중에 빨리 적응하는기분입니다 ㅎㅎ

 

2.남을 따라하는 트릭보다는  소신있는 본인의 트릭을 공략해라!

   그트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분명 남들을 많이 따라 해보셨을 것이고 영상도 많이 따라 해보셨을겁니다 저역시 ㅡ,.ㅡ;; ㅋ

  그러다 보니 얻어지는 답이 있었습니다 ㅎ  저는 프론트계열에 강하고 백에 약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렇듯이 본인한테 맞는 트릭이 있다고 봅니다 남들다한다고 본인한테 맞지않는 트릭연습하다 다치시는것보다는

   다소 중복되는 경향이 있어도 자신이 잘하는것에 매진하는것이 직딩으로 시간낭비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ㅎ

  그러다보면 본인이 모르는사이에 얻어지는것들이 분명있습니다  소신을가지십시요 ㅎ

 

 

일단두가지만 정리를 해보았는데 시간이 좀 없어서 오늘은 이만줄이겠습니다

하지만 트릭을 못한다고 고수가 되지말라는법은 없으니 용기를 가지시고

꼭 트릭을 해야 고수라는 고정관념도 버리면 우리모두가 고수가 되지않겠습니까?ㅎㅎㅎ

 

ps. 글을 급하게 남기느라 오타도 있고 띄어쓰기도 엉망인 글 읽어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다들 시즌시작인데 안전보딩하세요 ㅎ 

성게군~

2010.11.02 16:37:46
*.226.142.23

ㅎㅎ 동지가 있었군요~ㅎㅎ 눈이 말랑말랑한 날은 특히나 트릭을 연습하기 좋지요~ㅎㅎ

갠적으로도 많이 좋아하는 날이구요~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799
1182 급사(중상급, 상급)에서의 숏턴시 턴의 방법??? [12] ZEROF 2010-01-05   7586
1181 상체로테이션 [26] 꼬마여우 2018-11-21 1 7584
1180 [비발디파크] 재즈를 초보가 타면 예비살인마?? file [35] 규타맨 2018-03-16 2 7555
1179 여러분들은 스텐스 길이를 어떻게 하십니까? [6] 시저스 2008-01-24 128 7537
1178 스위치 라이딩 완벽하게 가능한가요?? [15] 노인보더 2015-12-11 1 7532
1177 슬로프 음주단속 [50] 장어구이 2014-12-20 3 7500
1176 중고가격이 터무니 없다는 생각이들때..? [45] 썸보더 2016-05-21   7465
1175 박순백 칼럼에 올라온 보더에 관한 문제입니다. [65] 쿨러닝! 2012-01-10   7462
1174 무주가 좋은 이유 101가지... [19] 黑雪™ 2007-11-15 97 7460
1173 한국에서 가장 재미있는 슬로프는 ? [54] 쿨러닝! 2011-12-15 1 7443
1172 셔틀버스에서음식... [50] 나는야폭꾼 2015-12-22 4 7438
1171 디렉 데크를 트윈데크 처럼 스텐스를 조정하는것,,, [14] 장터링~~ 2007-11-26 117 7434
» 직장인 트릭의 끝은 어디일까? [56] 성게군~ 2010-10-26 1 7427
1169 말아타기 [36] RX 2018-11-03 3 7426
1168 다음 중 자신이 생각하는 최고의 라이더는??^^ [62] 이재호_973460 2012-03-15   7422
1167 양보를 했어야지 VS 뭔소리야 그래도 그건 아니지 [34] 떡종이 2015-12-24 2 7410
1166 정말로 황당한 보더네요~ 보더들도 기본 예의는 지켜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12] georgee 2011-03-09   7402
1165 데크 제조 기술? [56] 카릴 2016-10-22 16 7379
1164 올림픽 유치, 과연 득인가 실인가 [31] pepepo 2015-03-16 6 7377
1163 유령데크 새로운 대처법 추가~^^ [106] 히구리 2011-11-19 2 7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