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재 - 알파인을 처음 시작하는 보더를 위하여

안녕하세요. 바카스입니다.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간략히 적어본 것입니다. 더 많은 얘기를 하고 싶지만 너무 많으면 기억하기 어려울 것 같아 딱 11 개만 적어 봤습니다. 처음 시작하시는 분이라면 보드 타기 전에 한 번 정도 읽어보고 가시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해봅니다. ^^


1. 사이드 슬리핑 - 펜듈럼 - 트레버스 - 갈란데 - 비기너 턴으로 이어지는 보드 초급 단계를 모두 훈련하세요.
- 특히 프리스타일로부터 전향하신 경우 바로 베이직 턴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되면 기본 자세를 몸에 익힐 수 있는 필수 단계를 건너 뛰어 버리는 것입니다.

2. 어떠한 경우라도 상체는 지켜내세요.
- 상체는 보드와 수평이 아니라 설면과 수평이 되어야 합니다. 상체가 기울어지면 가압을 위해 보드에 작용해야 할 힘이 체 보드에 도달하기 전에 상체에서 다 소비되어 버립니다. 상체나 어깨의 움직임이 턴의 계기가 되면 턴의 진행 조차도 상체의 움직임에 구속되어 쉽게 밸런스가 무너지고, 가압을 제대로 할 수도 없습니다. 특히 이런 버릇이 생기면 턴의 변경 때마다 몸이 휘청거려 몸은 힘들고 바쁜데 제대로 턴은 되지 않는 시계추 턴이 되어버립니다. 옆에 벽이 있다 생각하시고 팔을 수평으로 뻗어 벽을 짚는 이미지로 하시면 좀 더 쉽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프론트 사이드 턴과 백 사이드 턴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세요.
- 양 쪽의 리듬을 고려하며 턴을 하세요. 동일한 리듬이어야 하겠죠. 리듬은 좀 더 잘 되는 쪽을 기준으로 하면 됩니다.

4. 한 턴은 전경 - 중경 - 후경으로 무게 중심의 이동이 되어야 합니다.
- 턴의 초입은 앞 발의 가운데, 턴의 맴시멈에선 두 발의 중앙, 턴의 마무리에선 뒤 발의 가운데에 무게 중심이 위치하도록 하세요. 무게 중심의 이동은 특별히 신경쓰지 않으면 그 움직임을 느끼고 제어하기가 어렵습니다. 처음부터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5. 상체가 닫히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프리스타일 전향하신 분이라면 프론트에선 열리는데 백사이드에선 완전히 닫아버리는 자세가 나옵니다. 이 부분을 수정하는 것이 프리스타일에서 알파인으로 전향하신 분들의 가장 큰 고난입니다. 열림의 정도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팔의 위치가 뒷 무릎을 감싸는 정도로 라던지 앞발의 뒤에 위치하는 정도 라던지 하는 식으로 신체 부위의 상대적인 위치로 정하시기 됩니다.

6. 장비의 조정 방법에 대해 알아두세요.
- 부츠 전경각의 조정 방법, 바인딩 앵글과 칸트 그리고 리프트의 세팅 및 변경 방법 등 스스로 세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세요.

7. 장비의 세팅이 잘 못 되지 않았는지 확인하세요.
- 앵글이나 칸트 리프트의 세팅은 적당한지, 부츠의 센터링은 맞는지, 두 발 폭은 적당한지, 전경각 세팅이 올바른지 등등

8. 동영상 촬영을 해보세요.
- 개인적인 느낌으로 판단하지 마세요. 동영상 촬영을 해서 지적되는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 내가 생각하는 것과 실제 행하고 있는 것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세요.

9. 가능한 주변의 조언을 많이 구하세요.
- 가장 쉽게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강습을 받는 것이 최적이지만 장비 마련만으로도 벅찬 현실을 생각하면 강습에 선뜻 돈을 내놓기가 어렵지 않습니까? 이제 알파인도 저변화 되었고 대부분 조언을 구하면 흔쾌히 도움을 줄 것입니다. 과감하게 들이대세요.

10. 많이 보고 많이 읽으세요.
- 많이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고칠 수 있고 그래야 발전도 합니다. 기본 지식 없이 몸으로만 타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정확한 포지션을 만들고 그것을 수정하는 것도 어렵게 됩니다. 어떤 이론 들이 있는지 남들은 어떻게 타는지 많이 보고 많이 연구하고 고민해야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11. 기본자세에 충실하세요.
- 가장 중요한 사항입니다. 기본자세는 모든 라이딩의 시작이자 끝입니다. 턴을 하면서 기본 자세만 유지할 수 있어도 알파인 보딩은 80% 는 끝이 나는 겁니다. 기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니 자꾸만 수정해야 할 자세가 나오는 겁니다.


08-09 시즌도 어느덧 마무리 되어 갑니다. 얼마 남지 않은 시즌 모두 안전하게 사고없이 마무리 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스노우보더 화이팅~!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6009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2) 보드를 ... [1]

  • RiderCrew~*
  • 2001-10-29
  • 추천 수 123
  • 조회 수 8344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9) 왕초보 ... [1]

  • RiderCrew
  • 2001-10-30
  • 추천 수 123
  • 조회 수 5456

장비 튜닝 육보드 헬멧도색 클리닉 [54]

  • 육보드
  • 2006-06-02
  • 추천 수 123
  • 조회 수 10526

일반 [v(o)z 홀맨] 연탄길 여덟번째 이야기.. [5]

  • 김태경
  • 2001-12-17
  • 추천 수 122
  • 조회 수 2392

기술(테크닉) 배워나가는 것. [59]

해외원정 [코미][위슬러 연재 #1] - 위슬러시즌 패스... [4]

  • 김종원
  • 2001-10-24
  • 추천 수 122
  • 조회 수 14241

기술(테크닉) 급사에서 카빙하기? [43]

헝그리 캠페인 헝그리보더 닷 컴의 신빙성...그리고 자격증... [38]

  • 헝그리
  • 2009-07-06
  • 추천 수 118
  • 조회 수 11663

초보를 위한 강좌 알파인 초급자를 위한 조언 - 두 번째. [14]

장비 튜닝 흰색 데크용 스티커 작업 file [7]

  • Fred
  • 2009-04-10
  • 추천 수 117
  • 조회 수 9906

기타 다른 헝글님이 벌써 올리긴 했는데.....혹시... [5]

  • 안섭
  • 2007-03-09
  • 추천 수 117
  • 조회 수 2856

기술(테크닉) 보드 용어들.. [21]

  • 달팽
  • 2009-03-02
  • 추천 수 117
  • 조회 수 9698

초보를 위한 강좌 헝그리사진첩에 사진을 여러장 잘~~~~ 올릴... [28]

일반 [그누맨]최고가 뽑은 최고의 라이더 10명...... [3]

  • 그누맨
  • 2001-10-25
  • 추천 수 115
  • 조회 수 4910

장비 관련 [알파인] 보드 구매가이드(번역글) [10]

  • 신민용
  • 2009-02-18
  • 추천 수 115
  • 조회 수 5853

기술(테크닉) 보드의 사이드컷과 회전반경과의 상관관계는... [10]

  • [...]
  • 2009-03-04
  • 추천 수 115
  • 조회 수 7783

일반 우수칼럼 지기 님께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 sky
  • 2001-11-18
  • 추천 수 114
  • 조회 수 2380

기타 보더를 넘어 슬로프의 아티스트가 되는 그날... [60]

  • JohnBird
  • 2009-03-03
  • 추천 수 113
  • 조회 수 9062

초보를 위한 강좌 중고장터 Gear ( 데크 + 바인딩 + 부츠 ) 구... [12]

초보를 위한 강좌 스키장에서 보더찍기 노하우^^ [10]

  • 껀이
  • 2009-02-26
  • 추천 수 113
  • 조회 수 9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