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카빙시 토셔널은 언제 그리고 어떻게

주어야할까요??

뭔가 로케트같이 튀어나가는 엣지체인지 하는방법이

토셔널을 이용한다 카더라... 라는 소리를 어디서

주서들어서...

방법을 아시면 답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엮인글 :

엄마찾아원에리

2019.01.24 19:05:08
*.238.142.121

데크를 비틀어 테일쪽 압력을 높인후
미끄덩 ! 하는 타이밍에 맞추면 되는걸로 알고있어요.

초보때 겁나서 슈퍼후경주다가 데크 앞으로 삐져나가면서
넘어지는거 겪거나 보신적 있으면
그거 생각하시면 됩니다.

개걸스럽게타고싶다

2019.01.24 19:34:38
*.62.175.6

고관절을 띠용

134340

2019.01.24 19:46:43
*.156.72.87

데크가 비틀어져 있으면

노즈쪽과 테일쪽에서 한쪽은 엣지가 많이 세워져 있고 다른쪽은 엣지가 덜 세워져 있겠지요.

엣지가 덜 세워진 쪽에서는 그립력(엣지곡선 바깥쪽으로의 미끄러짐에 대한 저항)이 더 작습니다.


비기너턴 나비스턴에서는 보드가 슬리핑하면서 진행하는데

슬리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엣지가 덜 세워진 쪽에서 더 많이 슬리핑하게 되지요.

엣지체인지 전에 외향로테이션(턴호의 바깥쪽으로 상체를 회전)을 하면

노즈쪽 엣지각이 작아져서 노즈쪽이 더 미끄러지는 노즈드랍이 만들어지고

그렇게 엣지가 전환되면, 엣지체인지 전의 외향로테이션은 이제 내향자세가 되므로

테일쪽 엣지각이 작아서 테일이 더 미끄러지고

그대로 있으면 노즈가 금세 산쪽을 향하게 되므로 로테이션을 풀어서 토션을 풀고

사활강을 더 이어가려면 작은 외향로테이션으로 노즈쪽 엣지각을 줄여서 노즈쪽을 더 슬리핑시켜야 하지요.


슬라이딩턴에서는 내향으로 테일쪽 엣지각을 작게 만들어서 슬라이딩을 만들구요.


스윙턴(뒷발차기나 스윙앤글라이드에서의 스윙이나 스키딩턴 등)에서는

엣지체인지 전에 외향로테이션을 선행하고

엣지체인지 직후에 바로 로테이션을 풀거나 다시 외향자세를 취합니다.

테일이 더 미끄러지는 회전(스핀)을 멈추기 위함이지요.


뒷무릎이 더 구부려지는 스탠스는 뒷발이 앞꿈치를 눌러서, 뒷발이 토엣지를 눌러서

힐턴에서 테일쪽 엣지각이 작은 토션을 만들고 있는데

카빙턴에서는 이렇게 테일쪽 엣지각이 작도록 데크가 비틀어져 있으면

테일슬립이나 슬라이딩이 만들어집니다.

테일쪽 엣지각이 작은 비틀림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해야 하지요.

반대로 테일쪽 엣지각이 큰 비틀림은 카빙을 더욱 견고하게 만듭니다.

(대신에 엣지각이 작은 노즈쪽에서 데크가 덜 휘므로 턴반경이 커집니다.)

토턴에서의 외향자세(상체 오픈)가 바로 그것이지요.

하지만 힐턴에서의 외향자세(상체 클로즈)는 시야가 좁아집니다.


엣지체인지 하는 방법..이 무게중심과 데크의 크로스를 말씀하시는 건지

아니면 턴을 마무리할 때 기울기를 세우는 린아웃과 함께 행하는 로테이션을 말씀하시는 건지 ...

로케트처럼 튀어나가는 엣지체인지 방법..이면 토션이용이 아니라 크로스쓰루를 말씀하시는 건가 보네요.


크로스쓰루는 기울기가 세워지고 넘어갈 때 무게중심이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플렉션으로.

진행속도가 빠른 턴에서는

다음 턴에서 기울기(인클리네이션)가 충분히 확보되기도 전에, 다운을 하기도 전에

원심력이 기울기가 더 기울지지 못하도록 붙잡아버리므로

기울기를 빠르게 세워 넘겨야 하는데

기울기가 세워지는 동안에 무게중심이 높아지면 리바운딩이 생겨나고

기울기가 세워지는 동안에 무게중심이 높아지면 기울기가 느리게 세워지고 넘어가기 때문이지요.

미친스키

2019.01.24 23:54:42
*.197.178.206

제 질문에도 답 좀 부탁드립니다.

134340

2019.01.25 01:41:09
*.156.72.87

" 저는 여기까지만..

-> 네, 저도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

잼있고힘드러

2019.01.24 22:42:25
*.33.180.132

"비밀글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4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