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비명 : 08/09 Salomon Official

2. 생산업체 : Salomon Snowboard ( http://www.salomonsnowboard.com/ )

3. 수입업체 : 살로몬 코리아 ( 02-508-8815 , http://www.salomonkorea.net/ )

4. 무료A/S기간 : 1년

5. 판매업체

살로몬 직영점 (  http://www.salomonkorea.net )
로닌 (  http://www.roninsnow.co.kr ) , 보드인 (  http://www.boardin.co.kr/ )
보드코리아 ( http://www.boardkorea.com ) ,  스포츠파크 ( www.esportspark.co.kr )
ZION ( http://www.zionsnowboard.com ) ,  Snow Bank ( http://www.snowbank.net/ )
쇼군( http://www.shogunshop.com ) ,  크레이지 스노보드 ( http:// www.crazysnowboard.com )
911 스노보드 ( http:// www.911style.com ) , A&A Sports ( http://www.anasports.co.kr )
베스트 ( http://bestsnowboard.co.kr )  , 레몬 ( http://www.lemonsnow.co.kr/ )
네오째즈 ( http://www.neojazz.com ) , 프라임 스노보드 ( http:// www.primesnowboard.co.kr )
그외 여러 판매업체






David Benedek 이 개발에 참여했고 08/09 시즌 선택을 한 데크라는 Official~!
이전까지 출시되던 DB ERA (BEBEDEK ERA) 는 없어지고 새롭게 선보이는 모델이 바로 Official 모델이다.

08/09 시즌 살로몬이 스노보드 데크에 적용된 새로운 기술로

POPSTER CORE PROFILE
ALIEN LIGHT CONSTRUCTION
G.I.F.T. ECO PROJECT

세가지가 있다.
그 중 두가지 POPSTER CORE PROFILE , ALIEN LIGHT CONSTRUCTION 기술이 적용된 데크가
Official 데크이다.

※ G.I.F.T. ECO PROJECT 에 대해선 다음에 살펴 볼 Sick Stick 모델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T O P -



- B A S E -


Official 데크의 탑과 베이스의 전체적인 모습이다.
탑은 전체적으로 심플한 느낌이고 반면 베이스는 화려한 그래픽으로 되어있었다.





TOP 의 얼짱 각도 사진이다~
사진상에서는 눈에 확! 들어올 정도는 아니지만
은은하면서 빛이 나는 진주의 느낌이라고 해야할까?
08/09 살로몬의 데크들은 참... 광이 나는듯했다;;;



데크 중간 부분의 그래픽의 모습이다.
희미하게 어떤 무늬가 들어가있으며 전체적으로는 깔끔한 느낌이다.



데크 중간 부분 한켠에 박혀있는 로고의 모습이다.
데크 안쪽의 구조 모습이 보이며 데크에 적용된 대표적인 기술과 재료가 기입되어있다.



노즈쪽 탑의 모습이다.
어떤 양복입은 아저씨가 치어리더 언니들에게 둘러쌓여져있는 그래픽이다;;;
(무슨 의미일까?...)
그 밑에는 IT`S OFFICIAL THE FUTURE IS 라고 데크의 모델명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적혀있다.



노즈쪽 인서트 홀 부근의 모습이다.
센터를 표시하는 눈금과 살로몬 로고 그리고 Factory Tune 을 했다는 표시가 있다.



인서트 홀의 모습이다.
4x2 인서트 홀(4홀)의 형태이며
각 홀 사이의 거리는 약 2cm 정도 된다.



테일쪽 인서트 홀 부근의 모습이다.
역시 여러가지 Official 데크에 적용 된 기술 및 재료 등이 인서트 홀 중간에 기입되어 있다.
이런 기술 및 재료에 대해서는 뒤에서 한번에 몰아서 살펴보겠다.



테일쪽 인서트 홀 아래에 적혀있는 데크의 모델명과 사이즈이다.
SALOMON OFFICIAL 152 라고 적혀있다.





사이드 월의 모습이다.
가운데 Official 로고가 금속 재질위에 새겨져 박혀있으며 흔히 말하는 샌드위치 방식으로 되어있다.



캠버의 모습이다.
참고만 하시길...



데크의 킥(kick)의 모습이다.

08/09 Official 152 모델의 킥의 높이는 nose 약 5cm , tail 약 5.5cm 정도였다.

※ ENK Tips Shape 와 연관되어 측정된 높이이다.
ENK 에 대해서는 뒷부분에서 다시 설명하겠다.



사이드 컷의 모습이다.
Official 데크는 EQ Sidecut 시스템이 적용되어있다.



EQ Sidecut 시스템이 적용된 사이드 컷의 모습이다.
빨간색 선이 표시하는 것 처럼 사이드 컷에 각이 져있다.
이미 Acid 리뷰에서 그 EQ Sidecut 에 대해서 이야기 한바있는데...
이 글에서도 다시 한번 여러가지 사용된 재료와 적용된 기술을 다룰 때 또 한번 이야기 하도록 하겠다.



EQ Sidecut 시스템 이외에도
또 한가지 사이드 컷에서 특이점이 발견되는데 그것이 바로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는 사이드 월에 뭔가가
삽입되어져있는 그것이다.
그것이 바로 SWR Rubber 라고 한다.
SWR Rubber 에 대해서도 역시 글의 뒷부분에서 정리해서 이야기 해보록 하겠다~





EDGE의 모습이다.



테일쪽 엣지 마감 부분이다.
마감이 되어져있는 부분에는 뭔가로 깔끔하게 그 틈새가 채워져있다.
또한 엣지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끝 쪽 (노즈,테일) 의 엣지는 보다 확실하게 디튠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앞에서 살펴 본 데크들과 달리 Official 모델의 경우
엣지의 마감 부분이 한군데였는데...
이런 방식의 마감을 full warp edge 방식이라고 한다.
full warp edge 란?
하나의 edge 이음새로만 데크에 edge 를 만든것을 말한다.



유효엣지가 끝나는 사진상에서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에서 부터
노즈 , 테일의 엣지는 디튠이 되어져있다.
앞에서 노즈쪽 인서트홀을 살펴볼 때 탑에 새겨져있었던  Factory Tune 이라는 표시의 내용이 바로
이 디튠과 왁싱이다.

※ 모든 새데크들이 다 왁싱과 디튠이 되어있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의 얼짱각도 사진이다~
탑에 비해 상당히 화려한 그래픽이다.



노즈쪽 베이스의 모습이다.



베이스 중간 부분의 모습이다.



테일쪽 베이스의 모습이다.

노즈와 중간부분 그리고 테일로 이어지는 베이스의 그래픽이 말하고자 하는
그 의미는 무엇일까?....;;;;
아무리 들여다봐도 필자는 모르겠었다;; 그 의미를 ^-^;;;



이제까지 Official 데크의 탑에서 부터 사이드 월 , 엣지 , 베이스를 차근 차근 살펴보았다.
그럼...
08/09 Officla 데크에 적용된 기술과 사용된 재료들에 관한 이야기를 한번에 모아보겠다.


Official

The Freestyle Revolution
Perfect Twin

Core : Popster Core Profile / Alien Light Core
Base : P-Tex 4000 EG / Medium Stone Finish
Walls : SWR Rubber
Layers : BI Axial High Density
Shape : Twin / Equalizer / ENK Tips

Size : 148 / 152 / 155 / 158 / 161


CORE

Alien Light Core
Popster Core Profile

바로 이 부분이 08/09 시즌 살로몬 데크에 처음 도입된 코어이다.



무엇이 새로운 것일까?



Popster Core Profile

위의 설명에 따르면 보드의 pop 을 향상시키고 경량화 효과를 가져다주며
이상적인 데크를 향한 코어를 Popster Core Profile 라고 설명을하고 있다.
스노보드계의 스타를 의미하는것일까?
popster 라는 의미는 pop artist 를 말한다고 한다.
이런 자신감을 보여주는 이유에 대해서는.... 사실;;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가 없었다;;;;
어떤 특징이 있어서 이런 설명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좀 더 조사를 해보고 이글을 통해 보완하도록 하겠다~



Alien Light Core

선별된 가벼운 나무를 사용해 가벼움과 일관된 플렉스를 가져다주는 코어라고 한다.
역시...;;; 좀 더 조사를 해보고 이글을 통해 추후 보완토록 하겠다~

※ 자료들을 다 찾아서 정리한 후 리뷰를 올릴까 고민 끝에
필자의 건망증과 귀차니즘으로 늦어질까봐 우선 업로드 한 점 이해 부탁드립니다 ^-^;;

BASE

P-TEX 4000 GALLIUM

참고로 지난해 (07/08) 살로몬 데크 베이스의 종류는 순서대로

Zeolit
p-tex 4000 ELECTRA GALLIUM
p-tex 2000
p-tex 1900 ELECTRA
p-tex 900

5가지로 나뉘었었다.



CENTERED STANCE&SET BACK&STANCE MAX

CENTERED STANCE
550 MM / 25.1 IN 라고 써있었다.
즉 , 노즈와 테일 인서트홀 중앙에 바인딩을 위치시켰을 경우 그 길이가 550 MM / 25.1 IN 라는 표시이다.
데크 인서트홀 부근을 살펴보면 그 중앙을 표시하는 선이 새겨져있다.
그 선에 맞춰 바인딩을 시키면 그 Stance 폭이 550 MM / 25.1 IN 라는 의미이다.

STANCE MAX
인서트홀의 끝에서 끝으로 바인딩을 세팅했을 경우 646 MM / 25.4 IN 의 길이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한가지 셋백의 표시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Perfect Twin 인데? 셋백이 10 MM / 0.4 IN ???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다.
현재 살로몬 코리아 측에 문의를 한 상태이며 본사에 확인을 해보시고 다시 연락을 주신다고 하니
연락을 받는대로 수정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데크의 모델명과 사이즈가 표시되어져있다.

그외...


Equalizer Sidecut

EQ Sidecut 시스템에 대한 설명은 Acid 데크의 설명을 다시 한번 인용하도록 하겠다.



NEVER SLIP - ALWAYS GRIP 이라는 문구로 Equalizer Sidecut 에 대해서 살로몬은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How can a kinkly sidecut ride better?
Our proven Equalizer sidecut is making straight edges turn by distributing the
pressure more evenly along the edge, and giving more power to your feet.
This constantly extended edge contact generates smooth and reliable traction,
even on concretehard runs with the softest board.
You`ll never feel beaten by your board again.

이 몇줄의 문구로 Equalizer Sidecut 에 대해 있어뵈게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 있어뵈게 이야기하는 이야기가 뭔가 좀 더 친숙한 한국말로 최대한 알기 쉽게 이야기 해보겠다.



Equalizer Sidecut 에 대해서는 지난 07/08 Acid 데크의 리뷰 때 사용했던 설명을 다시 한번 인용하겠다~

Equalizer Sidecut 을 채택한 보드의 압력 범위를 보여주는 그림을 보면
Equalizer Sidecut 의 압력 분포는 상당히 고르게 되어있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이 Equalizer Sidecut 의 장점인 것이다.

라이딩을 하면서 턴을 만드는 행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보더가 데크를 통해 눈까지 전하는 힘을 얼마나 효과적이고 고르게 전달하느냐 하는 것이다.
사실상 라이딩시 엣지를 눈에 박는 행위에 있어서 곡선과 면의 형태에 따른 힘의 전달 차이는
하늘과 땅 만큼 차이가 나지는 않겠지만... 딱 상식적으로 생각해봤을때
면의 형태인 사이트 컷이 곡선 형태 보다 골고루 힘을 전달 시킬 것 같다.
데이터 상의 자료들이고 직접 보드를 느껴보지는 못 했지만
새로운 발상의 전환이 아닌가 싶다.
곡선의 사이드 컷에 비해 아무래도 각이 진 사이드 컷이라하면
그 부드러움과 매끄러움이 좀 부족하지 않을까 하는 ... 생각도 들지만
사실상 생각해보면 반지름이 몇미터가 되는 원에서 그 작은 곡률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같기도 하다.

이미 여러 브랜드들에서 새로운 사이드 컷에 대한 시도들이 이루어졌고
현재에도 역시 계속 새로운 형태의 사이드 컷이 고려되고 개발되고 있다.
새로운 시도 그것이 바로 ... 스노보드의 매력과 겹쳐지는 부분이 아닌것인가..!

자...
정리해보겠다.

Equalizer Sidecut 이란?

사이드 컷이 기존의 사이드 컷과 다른 곡선의 모양이 아닌 꺾여지는 모양으로 되어있어
라이딩을 하면서 턴을 할 때
데크를 통해 눈에 힘을 전달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해주는 사이드 컷을 말하는 것이다.



Walls

SWR Rubber

살로몬 데크의 사이드 월에 고무가 삽입되어져있는 일명 Rubber 시스템은
Royal Rubber , SWS Rubber , SWR Rubeer 세가지가 있다.

Royal Rubber 는 앞에서 다룬 Acid 모델
SWS Rubber 는 Sanchez 모델
그리고 SWR Rubber 시스템을 적용한 Official 모델

크게 분류를 하자면
Rubber 의 두께에 따라 Royal 과 SWS , SWR 두가지로 구분이 가능하며

SWS 와 SWR 의 구분은 Rubber 가 삽입된 위치로 구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SWS 는 바인딩의 아랫 부분에 Rubber 가 삽입되어져 있고
SWR 은 유효 엣지 부분에 걸쳐 Rubber 가 십입되어져있다.

자~ 말보다 보시는 게 이해가 빠르실 듯 해 비교 사진을 첨부해본다.



SWR



SWS



Royal Rubber


SWS 와 SWR 그리고 Royal Rubber 의 기능적인 측면은
충격 흡수와 힘의 전달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위함이라는 점에서는 모두 동일하다.

이해를 돕기위해 지난번에 사용했던 설명을 다시 한번 인용해 보겠다.





'YOUR GAME CLEAN'... 자신있어 뵌다~!
살로몬에서는 이 기술을 자동차의 타이어에 비유하고 있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Vibration intensity 가 일반 사이드 월 방식일때보다
rubber 를 삽입함으로 크게 줄어든다고 보여주고 있다.
라이딩을 하면서 끊임없이 보드를 통해 우리에게 전해지는 그 진동들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자랑할만한 부분이 아닌가 싶다.


TIPS SHAPE

ENK

ENK 란 ?
' the ENK (Elliptic Nose Kick) tips for powder landings '
노즈의 끝 부분의 킥이 각도가 낮고 길어진 모습으로
Backcountry freestyle 에 매우 효율적이라고 한다.
또한 랜딩과 Pop up 시 보다 편하게 보드를 조작 할 수 있다고 한다.




데크의 무게이다.
다른 브랜드들의 데크와 비교해보시길~

08/09 SALOMON SPECIAL ERA 163 3206g
08/09 SALOMON IVY ERA 149 2664g
08/09 SALOMON ACID 151 2734g
08/09 SALOMON SANCHEZ 154 2776g
07/08 SALOMON ACID 151 2900g
07/08 FORECASTSNOWBOARDS SKETCH 148 2906g
07/08 FORECASTSNOWBOARDS COLOR 148 2864g
07/08 FORECASTSNOWBOARDS WEATHERMAN 148 2914g
07/08 FORECASTSNOWBOARDS ROUGH DRAFT 152 3096g
07/08 SALOMON SANCHEZ 154 2816g
07/08 ATOMIC ALIBI 156 2952g
06/07 SABRINA NIJI 144 2344g
06/07 SABRINA POP 142 2268g
06/07 SAPIENT LOTUS 153 2698g
06/07 BATALEON ENEMY 153 2950g
05/06 BURTON UNINC 156 2832g
06/07 SAPIENT EVOLUTION 151 2842g
05/06 BTM TRUST SPOON 157 3294g
05/06 GNU DANNY KASS 158 3120g
05/06 NITRO NATURAL 158 2916g
05/06 F2 REVO AIR-BASE 155 2935g
05/06 F2 RANDOM 154 2700g
05/06 F2 SPIN AIR 154 2890g
05/06 SAPIENT PNB1 153 2738g




이상!
간략하게나마 Official 데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살로몬 이라는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이제까지 '전통' 이라는 단어로 연상되곤했었다.
하지만...
그 살로몬이 변화하고 있다.
전통이 축적시켜준 기술력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계속 시도하고 개발하고 실현하는 그런 변화를 매년 이루어내고 있다.
모든 하드굿 장비 데크 , 바인딩 , 부츠에서 매년 새로운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고
그 기술들은 계속 보완이 되어가고 있는 모습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브랜드 중 하나가 바로 살로몬이라 생각되어진다.
08/09 새롭게 선보여진 기술과 재료들이 어떤 평가를 받게 되고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지 다시 한번 기대해본다.



' IT FEELS A LOT MORE REFINED THAN A REGULAR BOARD ' - BENEDEK
엮인글 :

완행열차

2008.02.15 01:27:47
*.236.225.182

오호~~~ 내년 시즌 데크를 결정하게 해주는군요 ^^ EQ 시스템...정말 기대되고.... 고무 삽입한것도... 기대가 큽니다~~~

☆알콜☆

2008.02.15 02:51:02
*.30.128.28

덱이 상당히 가볍네요~~~ 음!!!
참아야지...벌써부터!!!

론리보더 ~ ♪

2008.02.15 11:16:39
*.127.218.162

살로몬이 다이어트를 했네요 152사이즈가 2.6키로라~~ 환영할만한 이야기군요

카푸치노밀크

2008.02.15 12:53:19
*.178.181.221

Intro.는 Introduction의 약자고...
What is Outro????????????????????

고달픈주보

2008.02.15 14:00:39
*.245.138.164

다음엔 로프트 2 분석은 안하세요? Catalog를 보니까 로프트 2에 이상한 비이커 모양 마크 붙어있는데 뭔지 궁금하네요...

◆◇◇◆

2008.02.16 01:28:06
*.44.124.201

카푸치노밀크 님...
out·ro〔〕 n. 《미·방송속어》 아우트로 《intro에 대하여, 방송, 영화 등의 마지막 수분(數分)[수초(數秒)];음악이 끝난 뒤 디스크자키의 말》

고양아멍멍해

2008.02.17 21:46:08
*.233.201.107

가벼워졌어도 살로몬 강력한 특징인 내구성엔 문제가 없겠죠?

이유호

2008.03.06 00:34:08
*.119.50.170

대단한 리뷰네요.감상 잘 했습니다

R V D

2011.07.03 00:01:51
*.136.109.10

무게가 궁금했는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기타 [스노우보드 브랜드 A/S관련 또는 용품구매] 2019-12-31 16 5557
공지 기타 장비리뷰 게시판 이용안내 2018-04-23 2 13188
151 데크 [07/08] DeathLabel - MEN file [14] 2007-08-25 38 6970
150 데크 [07/08] DeathLabel - GIRL file [9] 2007-08-25 31 5963
149 데크 [07/08] Atomic Alibi file [16] 2007-10-19 56 12403
148 데크 [07/08] Salomon Sanchez Deck file [16] 2007-11-01 45 12442
147 데크 [07/08] Ride Kink n DH 3종 모델 <사용후기> file [9] 2007-11-15 53 13832
146 데크 [07/08] RIDE SOCIETY & AGENDA file [6] 2007-11-17 35 7381
145 데크 [07/08] Salomon Acid Deck file [11] 2007-11-19 59 20483
144 데크 [07/08] Forecastsnowboards Deck file [4] 2007-12-12 67 6566
143 데크 [07/08] 버즈런 west side story, sonic, scare crow [6] 2007-12-18 52 12545
142 데크 [07/08] Palmer Honycomb [7] 2007-12-28 39 7662
141 데크 [07/08] ALLIAN VOICE , FREEDOM DECK file [6] 2008-01-21 43 6491
140 데크 [07/08] TECHNINE TEAM RASTA & ICON file [3] 2008-01-22 70 11808
139 데크 [08/09] SALOMON SANCHEZ DECK [9] 2008-02-05 75 13590
138 데크 [08/09] SALOMON ACID DECK <사용기 추가> [13] 2008-02-08 96 21255
137 데크 [08/09] SALOMON IVY ERA & SPECIAL ERA DECK [9] 2008-02-11 82 15067
» 데크 [08/09] SALOMON OFFICIAL DECK [9] 2008-02-14 61 16198
135 데크 [08/09] SALOMON SICK STICK DECK [7] 2008-02-18 86 11844
134 데크 [08/09] Salomon Riot Deck file [7] 2008-09-02 26 11594
133 데크 [08/09] Salomon Arnie 5000 Deck [12] 2008-10-20 60 10472
132 데크 [08/09] Salomon Lily Deck [8] 2008-10-22 87 1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