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생각하는 기본자세잡는법과 중요한점에 대해서 찍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엮인글 :

쿠니쿠니

2019.07.08 17:44:12
*.26.167.230

선추천.선댓글.

쿠니쿠니

2019.07.08 18:01:19
*.26.167.230

감상문 제출.

기본 개념은 중요하면서
어디나 다 쓰이는데

알고 있었는데

더 알고 보니 모르고 있었다.
유용하면서도 쓸모 없고
아는 만큼만 뽑아 먹는다.

알고 있었는데 왜 그랬을까.

열심히라는 열정의 방향은
본질의 이해에 있어야
유효한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 계속 이어가시길.

k0NG

2019.07.20 20:09:52
*.205.15.150

정말 감사합니다

야매스쿨

2019.08.14 13:10:34
*.134.77.125

구독해서 잘 보고 있습니다 !!

알꺼업서

2019.08.15 15:27:21
*.223.45.36

잘 봤습니다. 다만 한가지.. 감속을 하기때문에 몸이 앞으로 쏠린다는 말은 납득하기 힘드네요.. 노즈가 꽂히는 경우는 가속을 하다가 갑자기 감속을 하는 것이 아니잖아요.. 아무리 생각해도 노즈가 꽂히는 구간은 감속을 하는 구간이 아닌 것 같은데... 계속해서 턴을 하고 있다는 것은 곧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말인데 그렇다면 관성의 법칙에 의해 몸이 앞으로 나가는 것 같지 않아요. 계속해서 속도를 줄이기 위해 턴을 하고 있지만 결론적으로는 속도를 유지하고 있는거니까요.

ZeroOne

2019.08.19 12:41:31
*.126.171.163

내리막길에서 자전거를 타는데 시속 10킬로 출발합니다. 아무것도 안하고 가만히 있으면 점점 속도가 붙어서 30-40정도 올라가겠죠. 일정하게 10-15키로정도 유지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를 잡아줘야 하거든요. 이 자체가 감속을 하는행위입니다. 몸이 쏠리는것은 첫 브레이크를 잡았을때 쏠리는거고 쏠리몸을 다시 원위치 시키고 계속 브레이크를 잡으면서 하강하면 쏠리지 않죠. 왜냐하면 자전거와 내가 동일한 속도로 내려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시 10-15속도로 내려가다가 강하게 브레이크를 잡아서 5키로로 만든다면 몸이 안쏠릴까요?? 다시 쏠립니다. 보드에서도 몸이 쏠리는순간은 현재속도보다 더 낮은속도로 가기위해 제동을 걸었을때이고 그 제동은 턴의 초반 중반 후반 어디서든지 발생할수 있습니다. 더 깊은 카빙을 하기위해 엣지를 세우면 세울수록 말이죠.

리타조만종

2019.09.27 14:05:01
*.102.128.94

잘 봤습니다! 설명 쉽고 좋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66
373 초보를 위한 강좌 테크니컬 라이딩 기본 자세(토턴, 힐턴) [30] 통역좌 2019-12-28 21 4298
372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에 바인딩 세팅방법 [4] 통역좌 2019-11-18 7 3186
371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타는 데 힘이 필요할까? [5] 통역달인 2019-10-04 5 2984
370 초보를 위한 강좌 엣지세우기 연습 [25] 통역달인 2019-09-18 13 4772
369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자세, 기본포지션 체크 방법 [12] 통역달인 2019-09-11 13 2257
368 초보를 위한 강좌 스트레칭 운동과 힐턴의 관계 [5] 통역달인 2019-09-07 6 1550
36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에 필요한 운동법 [10] 통역달인 2019-09-02 6 1699
366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카빙을 위한 기울기와 엣지각 세우기 [7] ZeroOne 2019-07-22 22 3852
»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자세에서 중요한점 [7] ZeroOne 2019-07-08 22 2818
364 초보를 위한 강좌 동전을 안주우려고 할때 동전이 주워집니다 [7] 낙타뒷발 2019-03-16 13 3969
363 초보를 위한 강좌 엣지체인지 조건 [3] 134340 2019-02-16 7 2710
362 초보를 위한 강좌 용어 (전경/후경 ...) [11] 134340 2019-02-13 10 2905
361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가 어려운 이유 [25] 134340 2019-01-31 8 6252
360 초보를 위한 강좌 엉덩이 [5] 134340 2019-01-23 13 3447
359 초보를 위한 강좌 상체 오픈 [16] 134340 2019-01-23 10 4765
358 초보를 위한 강좌 시선 [10] 134340 2019-01-23 8 2680
357 초보를 위한 강좌 프레스 [4] 134340 2019-01-23 14 2777
356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에 바인딩/부츠 장착시 센터링 맞추는 법 file [14] 다크호스s 2019-01-09 15 3729
355 초보를 위한 강좌 오지랖 넓은 아재의 시작하는 분들을 위한 ... [59] 순규하앍~♡ 2018-09-30 77 6060
354 초보를 위한 강좌 입문자를 위한 장비, 의류 구매 가이드(스압有) [15] 반테오 2018-09-12 32 5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