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스타일 스노보드 라이딩 < 알파인 스노보드 라이딩 < 스키 라이딩

 

아마도 기술의 깊이는 위 부등호대로 일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프리스타일 스노보드로 라이딩을 즐기는 이유는

 

1. 나이가 먹어가니까 라이딩 위주의 보딩을 즐기는 거야 하는 변명이 가능하고

2. 소프트 부츠와 바이딩으로 비교적 편한 라이딩을 즐길 수 있으며

3. 알파인에 비해 가격이 저렴합니다

 

이외도 많은 것들이 있겠지만 주제가 아니기에 그냥 넘어가 봅니다.

 

프리스타일 스노보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은 아마도 스키의 물리적 법칙에서 크게는 벗어나지 않을 것 입니다.

개인적으로 비교적 비슷한 도구를 이용한 낙하운동이고 슬로프에 반원을 어떻게 그리느냐의 싸움이기 때문 아닐까요?

또한 기본적인 물리적인 법칙은 변하지 않지만 기술은 사람, 장비의 변화, 환경 등에 따라서 충분히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기술이 무조건 갑(甲)이다 라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입니다. 

 

자! 그럼 제가 생각하는 최신 트렌드의 라이딩에 대해서 두서 없이 나열해 보겠습니다.

 

1. 떨어지는 낙하력을 최대한 이용한 스노보딩 - 턴은 산쪽이 아닌 계곡쪽으로 진행할 것 

2. 이때 신체의 낙차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고 다이나믹한 턴을 만드는 스노보딩

3. 라이딩시 몸의 위치는 전중후로 토션을 이용하고, 신체무게중심(COM)이 턴호의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향하는 스노보딩

4. 스노보드 라인을 크게 그려(스키에서 투라인) 급사에서도 안전감있고 다이나믹한 스노보딩 

5. BBP를 상급자 라이딩에 맞게 변화 - 상체를 열어 신체를 자연스럽게 떨어뜨릴 수 있으며 빠르고 간결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BBP에 변화를 주는 스노보딩

6. 프레스의 강, 약과 시기를 잘 아는 스노보딩 - 턴이 꺽어지는 지점에서 집중하고 테크가 회전하면 바로 프레스를 줄여 자연스럽게 데크의 휨이나 토션을 이용한 라이딩 만들기

7. 턴을 할 때 전 시기의 턴의 작용으로 인한 반작용을 이용하여 턴을 자연스럽고 빠르게 다음턴으로 이동하는 라이딩

8. 이외에도 쉽게 고수를 판단하는 방법은

-테크의 움직임 특히 노즈의 빠른 움직임과 노즈가 지나간 길을 테일이 얼마나 빠르게 잘 따라오게 만드는가?

-상체를 하체에 그리고 스노보드에 얼마나 잘 전달하는 가?

-센터피봇을 이용한 라이딩을 얼마나 잘하는가(급사에서 상체를 잘 쓰지 못하면 헤비프론트 풋 이후 데드스팟이 바로 발견됩니다)?

-보드의 라인이 어떤가?

 

저도 나이를 먹고 주말보더가 되니 옛날처럼 크로스 언더에 기반한 무식한(?) 라이딩을 지속하기 힘들더군요!!

그래도 아직 죽지 않았다고 주변에서 말들을 하지만 편안하고 안정된 라이딩으로 변할 수 밖에 없는게 사실이고 그게 제가 스노보드를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오랫동안 스노보드 타셔야죠!!

젊었을 때는 패기있게 나이 먹을수록 요령으로 아름답게들 타셔야죠!!

좋은 세상 길게 길게..

 

조만간에 요령있는 모습 영상으로 찾아뵐 것을 기약하면서 이만 마칩니다.

 

 

       

 

엮인글 :

trust

2014.02.03 20:17:53
*.209.144.220

문박사님의 깊이있는 칼럼 항상 감사드립니다. ^^

문박사

2014.02.04 17:34:57
*.70.44.220

갈수록 기본에 충실함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FirstSnow

2014.02.03 21:22:13
*.203.113.49

좋은 글 감사합니다.

 

추천 드립니다.

문박사

2014.02.04 17:35:41
*.70.44.220

추천까지나^^ 감사합니다

키스씰

2014.02.03 22:12:51
*.233.135.53

문박사님은 숲을 얘기하시는거 같다가도 나무를 


나무를 얘기하시는거 같다가도 숲을 ㅎㅎ 언제나 그위 구름에서 내려다 보시는거 같습니다 


보드를 통해 인생을 얘기 하시는거 같은 칼럼도 본 기억이 나네요 ㅎㅎㅎ


실력이 미천하여 다 알아듣지는 못하지만 언제나 뒤돌아보고 생각할 여유를 만들어주시는 칼럼 또 한번 


잘보고 갑니다 


부디 보드 오래타시고 칼럼도 오래 써주시길 바래봅니다

문박사

2014.02.04 17:36:55
*.70.44.220

이제는 몸이 안따라주네요 슬슬 뒷방 늙은이로 가야죠 ㅋㅋ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두더지햏

2014.02.04 00:32:26
*.253.43.60

추천
1
비추천
0

너무 깊이 있어서 저같은 허접은 못따라가요 ㅠ  뭐.. 몇년후엔 알아듣기를 바랄뿐..

문박사

2014.02.04 17:37:42
*.70.44.220

알고보면 쉽습니다 무주에서 뵈요^^

타_코

2014.02.04 06:16:37
*.33.164.175

공감가는 내용들이 정말 스키랑 비슷하네요

민첩하면서도 깔끔하고 간결한 라이딩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문박사

2014.02.04 17:38:46
*.70.44.220

옛날보다 힘은 떨어져도 요령은 늘어서 그럭저럭 볼만을 할겁니다^^

moderator

2014.02.04 13:22:28
*.254.193.40

데크의 토션을 이용한다는게 어떤건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 

문박사

2014.02.04 17:41:12
*.70.44.220

데크의 비틀림을 말합니다 스노보드가 진행시 노즈의 사이드컷이 걸리고 점차 풀리기 시작할쯤 테일에 사이드컷이 걸리는데 이 때 생기는 자연스러운 비틀림인데 다이나믹한 라이딩일수록 많이 사용됩니다

moderator

2014.02.05 09:13:24
*.254.193.40

그렇군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몽키D루퓌

2014.02.04 14:18:21
*.62.173.165

확실히 토션을 이용한 라이딩 연습을 하니까 급사에서도 슬립이 많이 줄어들고 깔끔한 라이딩이 된다는걸 몸으로 느끼고 있습니다
항상 좋은글 좋은 영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대명 한번 놀러 오셔서 타코님이랑 같이 라이딩 하면서 많은 가르침 부탁 드립니다 ^^

문박사

2014.02.04 17:42:52
*.70.44.220

저와 비슷하게 라이딩하는 분을 영상에서 뵈니 기분이 좋더군요 꼭 뵙고 싶습니다 시간을 만들어 보겠습니다^^남자라면 숏턴 ㅋㅋ

Kudare

2014.02.04 17:39:56
*.94.41.89

좋은 글 & 영상 언제나 감사합니다.

올 영상도 역시나 기대하고 있습니다~!! ^^


베이스가 달라 직접 뵙지 못하는게 아쉬워요~ ㅠㅠ

추천 꾸욱~

문박사

2014.02.04 17:43:58
*.70.44.220

감사합니다. 남은 기간 원하시는 라이딩 득템 하세요

clous

2014.02.04 18:26:09
*.36.153.93

알찬 내용 감사합니다. 저도 아름답게 타고 싶어요. 

아들 가르칠때 써먹어야겠습니다. ㅎ

문박사

2014.02.05 18:11:02
*.218.33.27

오! 아드님이 몇살이나 되셨나요?

저는 이제 3살 같은 4살입니다. 언제 보드를 태울지ㅡㅡ

아동 전문이니 궁금하신거 있으면 쪽지 주세요 ㅋㅋ

칠리

2014.02.04 23:18:42
*.43.162.30

음~~전 아직 실력이 미천하여 알지못하는 부분들이 많지만
좋은 말씀인건 분명한듯 합니다
더 노력하여 말씀하신 부분들을 다 알아가도록 해야겠네요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아울러 무주에서 이 하수의 눈에도 좀 비춰주세용ㅠ

문박사

2014.02.05 18:45:34
*.249.138.30

주말에 항상 있는데 쪽지주세요^^

Rang9

2014.02.05 09:56:40
*.12.49.10

좋은칼럼 감사드려요~ ㅊㅊ 꾸욱!

문박사

2014.02.05 18:11:29
*.218.33.27

쪽지 보냈습니다 늦었습니다ㅡㅡ

청정79

2014.02.05 13:05:37
*.107.169.34

칼럼을 올리셧엇군요~^^

형님들 앞에서 참 민망하지만 저도요즘 슬렁슬렁 즐기며 스트레스 안받고 타고 싶어지네요,,ㅋㅋ

보드에대한 열정보다 욕심만 앞서가는 제자신을 되돌아보며....

내년부턴 관광보더가 되야하나 ~

요즘 그런 고민 하고 삽니다,,ㅋㅋ

 

 

 

 

문박사

2014.02.05 18:12:11
*.218.33.27

혹 79년이시면 아직 남아있습니다.

불태우세요 ㅋㅋㅋ

SA_Tazo

2014.02.05 15:42:54
*.154.129.120

벌써부터 요령만 늘고 현실에 타협할려는 제 자신이 부끄럽네요...더욱 정진 해야겠어요...원포인트는 언제쯤?ㅎㅎ

문박사

2014.02.05 18:13:32
*.218.33.27

각오하시기 바랍니다 ㅋㅋㅋ

요새 티칭이 정말 올라온듯 합니다.

라이딩은 요령만 늘어서 영

러블리실

2014.02.08 20:45:38
*.111.12.44

좋은칼럼감사합니다ㅎ
이전에 간단히 원포받았던 초보남입니다 ㅋㅋ
그때 그말씀 깊이간직하고 계속구르고있습니다ㅋㅋ
다음 영상올릴때도 간단한 조언부탁드립니다

수영소년

2014.02.11 10:03:38
*.226.207.79

좋은영상도 많이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85
293 초보를 위한 강좌 그라운드트릭 입문. #2 [19] 소리조각 2014-11-20 20 10525
292 초보를 위한 강좌 그라운드트릭 입문. #1 [14] 소리조각 2014-11-20 29 19394
291 초보를 위한 강좌 로테이션이 데크를 회전 시키는 원리 file [4] JimmyKOO 2014-03-13 5 5817
290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프레스)의 변화에 따른 카빙턴의 크... file [26] 드래곤라이더1 2014-03-05 6 10290
289 초보를 위한 강좌 뒷발축이 후경일까요?? file [39] 카빙하는올라프 2014-03-01 17 10519
288 초보를 위한 강좌 카빙숏턴에서 눈발이 날리는 이유 [7] 알리알리짱 2014-02-28 5 6622
287 초보를 위한 강좌 비기너 턴은 비기너만 하는 턴이다? file [18] JimmyKOO 2014-02-18 4 5637
286 초보를 위한 강좌 [그림추가] 상체를 굽힌자세와 세운자세의 ... file [5] 드래곤라이더1 2014-02-17 2 7329
285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에게 개인장비가 꼭 필요한 이유 file [12] JimmyKOO 2014-02-16 8 6261
284 초보를 위한 강좌 상황에 맞는 BBP(basic/balanced body posit... [34] 문박사 2014-02-13 11 5331
283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에게는 초보자용 데크가 필요한 이유 [10] JimmyKOO 2014-02-11 7 5143
282 초보를 위한 강좌 센터업 전진업 [20] 야수파 2014-02-10 10 5310
» 초보를 위한 강좌 고수의 라이딩은 어떠할까요? [29] 문박사 2014-02-03 22 5937
280 초보를 위한 강좌 슬라이딩턴 어렵게 연습하지 말자~ [11] 재퐈니 2014-02-01 8 10320
279 초보를 위한 강좌 크로스오버 언더 쓰루 [21] 야수파 2014-01-15 10 7602
278 초보를 위한 강좌 2일차 자세교정 [2] 드래곤라이더1 2014-01-10 1 2971
277 초보를 위한 강좌 강습3. 1/4턴부터 시작해서 턴을 완성하자... [4] 드래곤라이더1 2014-01-10 2 2730
276 초보를 위한 강좌 강습2. 사이드 스텝 - 부제 : 적극적으로 넘... [1] 드래곤라이더1 2014-01-10   2727
275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강습의 첫단계!! 넘어지기를 충실히 ... [8] 드래곤라이더1 2014-01-03 2 3375
274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를 탄다는것... ^^; [7] aindark 2013-12-24 6 2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