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눈팅만 하다 밑에 프레스에 관한 글을 읽고

생각도 정리할겸 써봅니다.





왼쪽 그림은 보더가 이상적인 반원을 그리며 내려올때의 궤적입니다.

균등한 경사의 슬롭을 왼쪽의 궤적을 그리며 내려온다면 실제 오른쪽과 같은 경사를 내려오는 것과 같겠죠.

A, C 지점에선 평지에 가까울 것이고, B지점에서만 슬로프의 실제 경사각이 나오게 됩니다.

한 턴을 하는 중에 속도가 계속 변화하는 거죠. A-B구간은 가속구간이 될테고

B지점에서 가속도는 최고가 됩니다. B를 조금 지난 지점에서 보드의 속도는 최고가 될테고,

빗금친 구간즈음부터 급격한 감속이 이뤄지는 것입니다.


이 말은 바꿔 말하면, 하나의 턴을 만들기 위해 프레스 량을 변화시켜 줘야한다는 뜻이죠.

속도가 빠를 수록 원심력은 쎄질테고, 그걸 버티려면 더 큰 프레스를 줘야합니다.



그 결과, 보드는 아마도 오른쪽과 같은 궤적을 그리게 될것입니다.

점점 빨라지는 속도에 비례하여 프레스도 점점 커질테고

커진 프레스는 데크를 더 휘게 하고, 데크가 그리는 호의 반경은 점점 작이지겠죠.

사실 A-B 구간에서는 원심력을 잘 느끼지 못합니다. 폴라인을 향해 말아져 들어가고 있지만

다리에 큰 힘을 받는건 잘 못느끼죠.

B를 지나면서부터 훨씬 무거워진 내 체중을 느끼며 덜덜 떨리는 데크와 사투를 벌입니다.

급사로 갈수록, 더 작은 원을 그릴수록 그 속도와 프레스 차이는 더 크게 느낄수 있죠.


제가 하려는 얘기는 여기서 프레스에 대한 것입니다.

1. 다운은 프레스가 아니다.

- 턴 과정에서 다운 하는 이유는 무게 중심을 낮춰 안정성을 확보하고 에지 각을 더 세우기 위한 것.

- 다운 후 업하는 과정, 다시 말해 원심력에 반해 보드를 호 바깥쪽으로 밀고있는 자세가 보드에 프레스를 주는 동작이다.
   (사실 업 할 필요도 없다. 보드위에 버티고만 있어도 업과정이라고 볼수 있다. 평소 몸무게보다 큰 무게를 버티고 있기 때문에..)

2. 프레스를 주는 별다른 팁은 없다. 그저 내 무게 중심이 보드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게 잘 버티고 있으면 될뿐.

- 프레스란 원심력에 의해 밀려나는 내 몸무게가 보드를 누르는 것.
  (물론 그 와중에 가압을 통해 턴을 좀더 타이트하게 하거나 하는 조절이 가능하지만, 원론적인 얘기를 하는 것입니다.)

- 각 순간에 맞는 각도을 찾아 보드와 내 몸을 기울이고 보드 중심에 서있으면 되는것입니다.



미천한 실력의 주말 보더가 이제까지 느낀걸 정리해봤습니다.
처음 생각은 그림을 그려가며 알차게 써볼 생각이었지만....시간이 늦어지며 점점 짧아지는군요.ㅎㅎ

마지막으로

제가 느낀 카빙이란, 보드 중심에 타고, 무게 중심을 최대로 낮추고, 회전에 따른 상체 로테이션을 해주면 자연스럽게 되더라...입니다.

엮인글 :

백군

2008.01.04 01:15:24
*.72.245.79

1.다운은 프레스가 아니다.
저도 똑같이 느낍니다.. 근데 주변에서 다운하는 이유가 프레스를 눌러주기 위해서라고 자꾸 그러는분들이 많더라고요 ㅜㅜ

오히려 업하는 순간 (c 지점을 지나고 d지점까지 갈때) 원심력 방향으로 날을세워야하는데, 그쪽방향은 폴라인이 아니므로 엣지를 세우는건 순전히 원심력의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오히려 많은 압력이 필요하고, 이 압력을 업으로 얻는다고 생각해요~

꽃미남보도

2008.01.04 02:57:08
*.238.102.183

다운하면 보드에 가해지는 무게가 줄어들고 업하면 보드에 가해지는 무게가 늘어나죠...
너무나 원론적인 이야기인데 보통 업다운이란 말만 들으신분들이 대충 앉으면 무게를 주고 일어서면 무게를 뺀다고 잘못 알고 계시죠...
프레스는 ... 다리힘이 튼실해야 한다는 쿨럭...

2008.01.04 07:03:29
*.144.224.60

압력의 작용에 대해 잘설명해 주셨네요~
첨언 하자면
카빙의 종류에따라 설질,경사도에 따라 압력 운용은 다양해집니다.
1882글에서 처럼 덱에 작용하는 압력이 12345678910 이면
보더의 능동적인 가압형태는 10987654321 이론적으로 이상형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근사치로 가압하는 방법이 다운 언 웨이티드 이고...
더불프레싱을 도 한 방법이고...

벤딩턴을 할때 B와 C구간에서 발생하는 리바운스로 다리를 접으며(감압) 엣지 체인징을하고
A점을 지나며 익스텐션으로 최대 압력을주게 되니 작은 아크를 그리며 라이딩이 가능해지지요.

더블프레싱에서 B 에서 C구간에서의 감압은 마일리지가 필요합니다.
자신의 덱과 일체감이 있어야 합니다.
저도 에라로 4년째 타고있지만 다리힘이 풀리게되면 내가 의도하지 않는데서 리바운스로 나를 튕겨
버려 아찔해집니다. 그럴땐 바로 집으로 ..ㅎㅎ
암튼 조금 도움이 될까 적어봤습니다.



조금 더 능동적이고 공격적인


삼전

2008.01.04 10:26:36
*.94.41.89

다운이 왜 프레스를 주기 위한게 아니라고 하는지 모르겠군요.
경사가 완만한곳에서는 에지 각만으로는 충분하지만
경사가 좀 있다면 에지 각만으로는 힘들잖아요. 프레스라는건 어떻게 보면 데크에 실리는 체중을 순간적으로 늘려주는거고
그러기 위해서는 다운이라는 프레스를 주는게 당연히 필요한듯 한데요.

.....

2008.01.04 10:35:29
*.49.29.2

다운을 프레스라고 생각하고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무게 중심을 내려준다는 생각으로 상체를 내리기 때문에 엉덩이가 빠지면서 다운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적절하지 않죠. 턴도 터져나가기 쉽고 슬립나기도 쉽고...

이상적인 다운을 통한 프레스를 하려면 상체를 누르면서 하체가 구부려져서 프레스가 들어가면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무릎 이하가 토쪽으로 굽혀지면서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프레스가 들어가는 것이 정상입니다.

토턴이나 힐턴이나 상관없이 무릎과 정강이를 앞으로 밀어주게되면 자연히 굽혀지면서 무릎 위쪽이 다운이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무게 중심은 데크 중앙에 가까운 부근에서 다운이 되면서 프레스가 되는 것이 정석이죠. 이게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토턴에선 엣지를 박은 상태에서 상체를 눌러주면서 엣지를 더 세워서 프레스를 하게 되고 힐턴에선 엉덩이가 빠지면서 엣지를 더 세워서 박게되는 자세를 보입니다.

당연히 이 경우 노면이 좀 평탄하지 않거나 경사가 있으면 불안한 자세가 되고 일반적인 경사에서도 턴이 터져나갈 확률이 더 높죠....

Wired

2008.01.04 17:56:47
*.10.167.51

좋은 글이네요.

순전히 개인적인 의견을 첨부해 봅니다.

- 업(익스텐션)/다운 (플렉션)
- 프레셔/릴리이즈

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라고 봅니다. 프레셔를 하는 방법은 업/다운 어느 것으로도 가능한 것이거든요. 다만 보드를 처음 배울 때 다운=프레셔라고 배우시는 분들이 매우 많기도 하고, 이런 고정관념이 경험을 통하지 않는 한 깨지기 쉽지 않다는 건 맞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초보를 강습한다고 하면 저도 처음엔 업/다운을 가르칩니다. 글에서도 언급 되었듯이 무릎을 굽힘으로써 엣지를 세워 턴을 가능하게 하고 무게중심을 낮춰 넘어지더라도 덜 아프고 부상도 덜한 방법으로 말입니다.

이런 과정이 좀 익숙해지면 업다운은 잊으라 강요(?)하고, 프레셔/릴리이즈를 가르칩니다. 프레셔란 체중을 엣지에 집중하는 법, 릴리이즈는 이것을 푸는 개념으로 말이죠. 사실 이건 다운과 비슷해 보여도 별 상관이 없없습니다. 체중을 엣지에 싣는 효율적인 몸의 자세(앵귤레이션)과 릴리이즈시의 BBP 자세가 핵심이지요.

프레셔가 익숙해질 수록 그립력이 강해지게 됩니다. 이 그립력을 바탕으로 턴을 통해 원심력을 일으킬수 있고, 카빙에 접근하게 되는 과정이 기본적인 라이딩의 과정이 아닌가 싶습니다.

초기의 앵귤레이션은 엣지와 무게중심을 낮출수 있다는 이유로 무릎을 굽히는 부분이 크지만 갈수록 오히려 무릅은 펴고(익스텐션) 주로 상체에 의한 앵귤레이션을 통해 엣지각은 더 커지고, 무게중심은 더 낮아지면서 강해지는 원심력에 더 버티게 됩니다. 보통 이 때 부터 비로서 다운과 프레셔를 별개의 개념으로 인식하게 되지요.

말씀하신 "프레스란 원심력에 의해 밀려나는 내 몸무게가 보드를 누르는 것" 이라는데는 좀 의견을 달리하는데, 전 오히려 원심력이란 프레셔에 발생한 그립력을 기반으로 발생되는 부차적인 힘이라고 봅니다. 물론 실제 라이딩에선 이 원심력이 체중을 증가시키는 효과로 인해 프레스를 더 강하게 해주고, 강해진 프레스는 더 큰 원심력을 내게 해주는 상보적인 관계로 명확한 구분이 힘들긴 합니다만, 선후를 굳이 따지자면 그렇다는 겁니다.

또한 B지점에서 순간 가속도가 최고라고 하셨지만 제 생각엔 B지점에서 원심력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속도는 그만큼 손실되어 순간 가속도는 최저가 되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제 경험상, 원심력을 주로 이용하는 카빙에서는 감는 과정에서 속도는 감소하더군요.

주제 넘게 의견을 적어 보았습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낙엽머쉰

2008.01.04 21:28:19
*.104.95.38

좋은 의견들 감사합니다. ^^

wired님 제가 장황하게 하려던 얘기를 멋지게 한줄로 요약해 주셨군요.

'업/다운 과 프레셔/릴리스 는 다른 개념이다' 이것이 제가 궁극적으로 하려던 말이죠.ㅎㅎ

실례로, 다리를 피고 프레스를 주다가 무릎을 접으며 프레스를 풀며 턴을 할 수도 있죠.

이것을 무슨 턴이라고 하던데 그것까진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B지점에서 가속도가 최고라고 한 이유는 B지점에서의 경사가 제일 크기 때문입니다.

...

2008.01.04 21:52:58
*.104.95.38

그나저나...왜 그림이 두번 뜨는 거죠?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08.01.04 22:00:11
*.144.224.60

감압과 가압의 물리적 형태는 업다운으로 나타나며
조금더 기교를 가미하면 스티어링과 로테이션입니다.
결국 보더가 덱위에서 프레싱을 위한 무브먼트를 갖는것은 윗동작들로 한정됩니다.
보다더 효율적인 프레싱을 위해서는 인클러네이션과 애귤레이션을 임계치로 만들어 놓구서 프레싱을 종결해야하지만 장황하니 절삭하고 얘기합니다.
다운하면서 프레싱이 가능하다면 복싱을 할때 상대얼굴에 주먹을 뻗어놓구 걷어들이며 충격을 줄수있다는 얘기입니다.
아직 그경지를모르겠네요 ^^
아크에의한 덱의 압력(원심력) 과 라이더의 가감압은 다릅니다

평지에서 서있을때와 기마자세로 고정했을때
허벅지의 힘들은정도가 다름니다. 기마자세가 힘이 많이 들지요.
그렇다고 기마자세로 유지하는게 땅에 더 압력을 가하고 있나요???
다운하면서 가압할수 있는 비결이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이것을 이해하지못하면 상급 라이딩을 할수없기에 조금 강하게 얘기해봅니다.

공보더

2008.01.05 00:15:34
*.81.141.156

제생각은 조금 다른데요...

먼저 본문에 나온 글중에서

1 다운은 프레스가 아니다

-> 물론 모든 다운이 프레스가 아니라는데는 동의합니다만 직접 보드에 프레스를 주는 다운을 해야할때도 있습니다.
다운이 무게 중심을 낮추고 엣지를 세우기 위한것 뿐만 아니라 턴의 초입부에 (원심력의 작용하지 않는 시점) 데크를 휘게 만드는 일시적인 힘을
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때 데크에 작용하고있는 폴라인의 수직방향인 운동에너지를 강제적으로 원심력의 형태로 바꿔주는데 사용되는 거죠
그 짧은 순간이 지나면 체중계에 올라서 순간 힘을 줬을때 올라갔던 바늘이 금방 돌아오듯 프레스는 해방이 되겠지만 폴라인 방향으로의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이 그자리를 매꿔주게 됩니다. 그때부터는 자세를 유지하는게 엣징의 유지와 무게중심을 낮추고 리바운드를 억누르는 기능
을 하게되겠죠.

2. 프레스란 원심력에 밀려나는 내 몸무게가 보드를 누르는것

-> 저도 wired 님과 같은 생각을 했었는데 프레스 자제는 원심력이 있어야 발생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슬립이 생기지 않을 충분한 엣지각
이 있어야 하지만 엣지각 역시 프레스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이 있어야 더 줄수가 있는 서로 먼저라 할수 없는 관계라 생각해 봅니다.

적고 나니 위에서 이야기 됬던걸 또 얘기한거 같아 그렇군요..

단지 저는 다운의 초반에 원심력이 아닌 체중의 순간적인 집중으로 생기는 프레스도 발생할수 있다는 걸 얘기하고 싶었습니다.

ps 바로 위에 글을 쓰신 '장' 님의 글에 대답이 됬는지 모르겠군요..


Wired

2008.01.07 12:38:47
*.10.167.51

다운에 의해 일시적인 프레셔가 가능하다라고도 볼 수 있긴 하겠네요. 또한 반대로 업을 통해 일시적인 프레셔를 가해질수 있다는 것도 간과하지 말아야 합니다.

다운이나 업에 의한 프레셔는 그걸 행하는 동작 중에 있지, 완료된 다음엔 프레셔로서의 의미는 전혀 없다고 봐도 무방할 듯 싶고, 이후엔 원심력을 버티며 다리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으로써 본격적인 프레셔를 대체한다는 걸로 볼 수 있겠는데 아마 곰보더님의 의견도 비슷한 견해라고 보여집니다만...

저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방법에 의한 약간은 급격한 프레셔 도입 보다는 가능한 부드럽게 턴에 진입해, 앵귤레이션과 인클리네이션, 로테이션으로 점차 엣지가 눈을 파내게 만들면서 그립을 우선 확보하고 (엣지전환 직후 본격적인 턴 직전) 원심력을 이용한 본격적인 프레셔에 들어가는게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숏턴인 경우엔 이런 점진적인 프레셔가 신속하게 일어나야 하고 롱턴인 경우엔 좀 더 느리게 일어나겠지요.

직접 보드에 프레스를 주는 다운을 해야할때라는게 숏턴류를 말씀하시는 거라면 거의 비슷한 말이 되겠네요.

므너

2008.01.10 19:11:50
*.113.189.24

우리가 보기에는 다운이 맞지만

실직적인 힘의 이동은 카빙 반경을 밀어 주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겠네요.

외부에서 보면 다운되는것 같이 보이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63
169 기술(테크닉) 시선처리의 중요성 [19] 펀보더 2008-01-07 54 8240
168 기술(테크닉) 어드밴스트 슬라이딩 턴에 대한 나머지 뒷 ... [24] 펀보더 2008-01-04 38 6959
» 기술(테크닉) 프레스에 대하여 [12] 낙엽머쉰 2008-01-04 41 4473
166 기술(테크닉) 서서 바인딩 채우는 노하우 [31] 포엑스 2008-01-03 37 8909
165 기술(테크닉) 어드밴스트 슬라이딩 턴 [24] 펀보더 2008-01-01 19 10398
164 기술(테크닉) 가압(엣징)을 잘하기 위한 두가지 팁 [37] 한자아이디 ... 2007-12-26 23 9135
163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의 스포츠의학적분석 [12] 최강베르캄프 2007-12-21 46 4765
162 기술(테크닉) 토우턴시 배 내밀기가 정석인가? [22] 오늘 2007-12-21 50 8774
161 기술(테크닉) 지빙시 프론사이드, 백사이드에 관해... [17] 지빙콜 2007-12-12 74 4128
160 기술(테크닉) 하프를 잘 타고 싶나? [70] Dr.kimcarving 2007-11-12 38 10435
159 기술(테크닉) 스케일을 위한 그라운드 트릭의 기초 팁 [87] 가고일~* 2007-10-23 74 16396
158 기술(테크닉) 스티커작업 초간단 팁 [14] 불가리스 2007-10-02 39 8588
157 기술(테크닉) 에어(플립.로데오.회전등) 연습. 간단한 팁.... [40] 【곤】™ 2007-09-20 70 8560
156 기술(테크닉) 파이프 기술 연습 테크트리 라고나 할까요.. [37] 해탘 2007-09-10 57 6127
155 기술(테크닉) 파이프 라이딩 이해하기. [19] Gatsby 2007-09-03 79 6101
154 기술(테크닉) 초보자들을 위한 그라운드 트릭 마스터 순서 [62] C.J 2007-08-23 50 21472
153 기술(테크닉) 올 시즌에는 지빙을 마스터 하자~~ [28] 2007-08-05 65 7199
152 기술(테크닉) [간단 칼럼]BBP자세와 골반의 상관관계 [21] 론리보더 ~ ♪ 2007-07-18 54 7261
151 기술(테크닉) 지빙에 대한 고찰~~~ 지빙시 몸의 중심(보드... [27] volcomsnow 2007-07-10 149 7482
150 기술(테크닉) 작용과 반작용의 응용( 파크 ) [11] volcomsnow 2007-07-04 83 4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