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귤!!! 입니다.


무더운 여름이 지나가고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스노보더들은 자신의 겨울을 책임져줄

보드들 지르기 위해서 분주하게 움직이는 시즌이 오겠군요~


이번부터 여러분의 스노보드를 구매하는데 있어서 참고하면 좋을만한 사항에 대해서 스노보드 빌더(?)로서 고찰한 몇가지를 풀어내 보려고 합니다. 그중에서 이번에는 플렉스에 대해서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저의 고찰이 부족한 부분은 이해를 부탁드리며 많은 지도편달 부탁드립니다.

------------------------------------------------------------------------------------------

1. 플렉스 (Flex)???


 a. 플렉스라는것은 스노보드의 단단함과 부드러움의 정도를 말하는 척도로서 대개 1부터10 또는 1부터 5까지의 숫자로 표현이 됩니다. 모든 스노보드 브랜드의 카탈로그에 등장할 정도로 플렉스라는 스펙은 보드의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아마도 라이더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할 스펙이 아닌가 싶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플렉스는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하나는 절대적 플렉스 다른 하나는 상대적 플렉스라고 표현 할 수 있겠습니다.


절대적 플렉스는 말그대로 스노보드의 재료를 통한 고유의 플렉스라고 생각하시면 되겠고 상대적인 플렉스라는것은 이 스노보드 재료를두께를 (노즈,센터,테일의 두께)으로서 변형되는 플렉스의 패턴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b. 탄성은 외부의 에너지에 의해서 변형된 물체가 외부의 에너지를 제거 했을때 원래로 돌아가려는 성질로서 여러분이 스노보드를 고를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스펙중 하나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탄성은 스펙표에는 등장하지 않죠 하지만, 탄성은 스노보드의 플렉스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플렉스 스펙을 보면 어느정도 예측할 수 는 있습니다. 


플렉스를 약간 다르게 이야기를 하면 스노보드가 얼마나 많은 외부 에너지를 머금을 수 있냐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하드한 플렉스의 스노보드는 더 많은 에너지를 머금을 수 있으며 더 큰 탄성을 낼 수 있다 라고 예측하는 것이죠.


c. 플렉스가 하드할 수록 탄성이 좋아지는것은 사실이지만 스노보드를 선택 할 때 무조건 하드한 보드를 선택할 수는 없습니다. 이유는 라이더의 스펙이나 스타일에 따라서 선호하는 플렉스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가벼운 체중의 라이더나 지빙을 선호하는 라이더들은 하드 플렉스는 조금 어울리지 않습니다.(개인차가 있으니 이해바랍니다.) 체중이 가벼운 라이더들은 하드한 플렉스의 보드에 에너지 전달을 하기 힘들기 때문에 원하는 만큼의 탄성을 뽑아내기가 어렵고, 지빙 선호하는 라이더들은 프레스를 이용한 트릭을 할때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주입해야 하므로 하드한 플렉스의 보드는 컨트롤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카빙 스타일, 킥커, 하프파이프를 지향하는 라이더들에게 소프트 플렉스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파이프 라이딩이나 카빙을 할때 발생하는 원심력을 소프트 플렉스의 보드는 견뎐낼 수가 없어 엣지가 터진다던지, 고속의 어프로치에서 휙 말린다던지, 또한 원하는 만큼의 팝이 안나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노보드를 선택할때는 자신의 라이딩 스타일이나 스펙에 맞게 구입을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d. 절대적 플렉스는 코어 재료의 종류 및 보강재료의 종류에의해 정해지게 됩니다. 이미 많은 브랜드들이 새로운 코어를 위한 나무 또는 카본 각재 허니컴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스노보드의 소재의 발전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것으로 생각되어집니다. 이말은 스노보드를 제작하는 최적의 소재는 거의 결정되어 있다는것을 의미합니다.  


e. 따라서 상대적 플렉스는 절대적 플렉스 못지 않게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스노보드는 기본적으로 노즈테일이 얇고 센터는 두껍게 설계되어있습니다. 그 이유는 상대적 플렉스 패턴을 만들기 위함 입니다. 


상대적 플렉스에 대해서 예를들면, 나무젖가락 한개를 휘어보면(3등분한 양쪽 끝지점을 잡고) 중간부분이 휘어질것 입니다.하지만, 젓가락의 앞과 뒤쪽을 얇게 깍아내고(적당한것이 중요함) 휘어본다면 글쎄요, 허리쪽이 휘어질까요? 또는 같은 정도의 힘으로 굽힐 수 있을까요?


그래서 스노보드에서는 노즈/테일/센터의 두께를 정하는것이 (기본적인 상대적 플렉스를 만드는 방법)중요합니다.


이것이 왜 중요하냐면 라이딩이나 에어 트릭에서 팝이던 리바운딩이던 에너지를 응축할 수 있는 지점 (그러니까 탄성을 받는 지점)과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받아 낼 수 있는지를 정하는 기본적인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즈테일이 다른 보드들 보다 약간 두꺼우면 허리가 부드럽게 되고(대부분의 지빙용) 노즈테일이 다른보드 보다 얇다면 허리가 단단하게됩니다.(프리라이드용),,,(어디까지나 "예"이므로 오해마시길),


f. 이외에 상대적 플렉스를 조절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예를들면 카본을 이용한다던지 더 많은 양의 유리섬유를 사용한다던지 더 많은 축의 유리섬유를 사용한다던지,,,등의 방법들이 있지요..


하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것은 잘 깍여진 우드코어라는 것을 카본, 여러축의 유리섬유, 허니컴 코어, 카본 파이프등을 테스트 해보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g. 많은 하이엔드의 기술들이 스노보드에 적용되고 있지만 제 생각에 스노보드의 재료적인 부분에서의 발전은 거의 끝에 다가왔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주어진 재료를 얼마나 목적에 맞게 다듬어 사용하는지가 앞으로의 스노보드의 발전에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입니다.

------------------------------------------------------------------------------------------


다음에는 엣지그립력을 결정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생각해보겠습니다…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다면 

http://www.facebook.com/ngravity에 

방문하셔서 좋아요 한번 눌러주세요,,,재미있는 영상이나 사진도 많아요,,,ㅎㅎ

엮인글 :

비발디~@

2013.06.28 20:28:19
*.161.26.162

감사합니다. ㅎ

귤!!!

2013.08.09 01:22:09
*.36.146.203

ㅎㅎ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A.S.K.Y.

2013.07.01 23:19:34
*.35.210.85

좋은글입네다^^

귤!!!

2013.08.09 01:23:13
*.36.146.203

생각을 글로 풀어내기가 참 어렵네요,,,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61
331 장비 관련 데크 길이 선택 하기 secret [32] GATSBY 2014-12-07 31 8730
330 장비 관련 세 줄 칼럼 #5 "이상적인 바인딩 각도와 너비" [5] grindays 2014-10-31 16 9656
329 장비 관련 장비선택에 대해 고민하는 보더들을 위한 팁... [1] NADAE 2014-05-23 8 5454
328 장비 관련 네버써머 VARIO GRIP / 캐피타 Death Grip /... file [7] Reborn14 2014-03-25 1 2920
327 장비 관련 스노우보드 부츠인솔(깔창)의 효과 file [51] 삼촌1호 2013-12-31 27 12878
326 장비 관련 절대로 안 느슨해지는 말라뮤트 만들기!!! file [7] JimmyKOO 2013-12-27 1 5021
325 장비 관련 알파인에 쉽게 접근하는 방법... file [14] leeho730 2013-12-27 8 7043
324 장비 관련 우리의 고민 거리 : 보드 길이! 그 종결자!!? guycool 2013-12-24   2334
323 장비 관련 GLOVE or MITTEN [8] 엘케이 2013-12-20 6 1834
322 장비 관련 헬멧 블루투스 튜닝.?? file [2] 수술보더 2013-12-18   3455
321 장비 관련 헤머형 데크 3시즌 사용기..... [24] 제발때리지마요 2013-12-14 13 6022
320 장비 관련 이용안내 위반으로 비공개처리합니다. secret [5] 핼프보드 2013-11-02   14
319 장비 관련 지극히 주관적인 스노우보드 장비 구매에 대... [6] A.J.Kuhn 2013-10-17 8 5822
318 장비 관련 Evolve 실제 사용자 스펙 file [2] 세르게이♡ 2013-09-20   1895
317 장비 관련 인업고 & 스트랩 바인딩 사용 ㅋ [15] Lycos 2013-09-03 2 3749
316 장비 관련 엣지 그립력~ [6] 귤!!! 2013-08-09 9 3441
» 장비 관련 스노보드 플렉스에 관련된 내용~ [4] 귤!!! 2013-06-27 5 3026
314 장비 관련 슬로프를 통해 본 보더들의 불편한 진실 (2) file [45] leeho730 2013-03-15 10 5571
313 장비 관련 베이스의 마모에 관한 작은 글... (2) file [2] leeho730 2013-02-15 1 1573
312 장비 관련 프리스타일 데크의 사이드 컷 (킥커 vs 파이프) [2] Gatsby 2013-02-15 2 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