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정도 탄 보더의 수준으로 볼때... 장비를 어떤것을 선택하는게 좋을까???

전.. 이제 4년차인 직딩 보더 입니다.

이제 회사에서 다들 보딩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작년에 조금씩 타던 넘들이 장비에 욕심을 많이 부리네요..

조금 더아는 선배로써.. 몇가지 조언을 해서 장비를 추천을 해주었지요...

이는 전적으로 제생각인데..

첨에 구입시 부담이 되는 보드 장비인지라.. 추천이 많이 쉽지는 않았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중상급 이상의 인지도 높은 데크와 상급정도의 부츠를 추천 합니다.

저는 장비를 살때 처음부터 좋은걸 타지는 않았습니다. 첫해는 렌탈로 두째해는 막데크.. 세째해부터 커스텀 ,데니..  제레미 이렇게 거쳐 왔습죠...

저의 경험으로 볼때 장비 교환의 이유가 디자인,,,,,성능 ,,,, 머 복합적으로 이루 어졌는데요.....

결국 맞는데크를 찾는데 까지 4개를 거쳐가며 중복투자를 해가며 낭비가 심했죠...

제가 타 레져 스포츠도 많이하는 이로서 다른 스포츠도 마찬가지이지만.. 모든 스포츠 장비가 실력에 +알파가 되는 것을 무시 못하죠..특히 보딩은 더한것 같아죠.. 돈도 많이 들고..

그래서 제가 내린 결론은 이왕 보딩을 몇년 이상 즐길 맘이 있다면....... 여유가 된다면(조금 무리를 해서라도) 처음부터 좋은 장비를 사는게 낮다고 생각하는데... 어떤가요....
어느정도의 이상급의 데크를 사면 일단 심적으로 상당히 기쁨니다.. ... 아껴서 타야지 내가 이것으로 무엇을 이루리라는 다짐과.. 열정.. 막올라 오죠.. ㅎㅎㅎ
초보는 소프트 한 데크 상급자는 하드 데크를 이것을 말하는것은 아닙니다. 요즘은 상급데크도 소프트한 것들이 많이 나오니깐....

제 와이프도 보딩을 입문시키면서 상급의 장비를 조합시켜 맞추어 주고 ,, 훈련을 시켜 씁죠... 낙옆을 시작할때 부터요..
운동신경이 죄금 둔한 편이지만... 장비가 좋은걸 본인도 아니  애착을 가지고 열심히도 하고 장비에 대한 자신감도 있으니 조금더 나은것 같기도 한데.. 몸에도 맞구요..

보딩을 시작하면서 헐렁한 랜탈부츠에 에지도 다죽어 있는 막데크보다는 어느 정도 인지도 있고 성능에 증명을 받은 개인 장비로 시작하는게 낮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아무것도 모르고 장비에 대한 특성이라든지.. 내가 타고자하는 스타일 등등을 모르고 그냥 과시욕에 상급으로 가는것은 저역시 반대 입니다....

다들 초보때는 막데크 타다가.. 나중에 좋은것 사라는 말씀을 많이 하시던데....

제생각은 조금 달라 저 같이 생각하시는 분들은 장비 선택에 한번더 신중을 가했으면 .. 그러면 중복투자가 없어지겠지하는 맘에서 적은 글입니다.
엮인글 :

냐옹이

2008.12.03 14:17:51
*.18.101.234

저도 동감은 합니다..

데크를 바꾸는 이유가.. 내 데크가 중저급 이라서 실력이 안나오는것은 아닐까..하드해서 트릭이 안되는건 아닐까..

소프트..해서 라이딩이 안되는건 아닐까..그래픽이 맘에 안든다 던가.. 참으로 복잡하죠..

그래서 저도 거의 최상급으로 처음 장비를 맞췄씁니다.,,

물론 출혈은 좀 있지만.. 경기가 안좋타보니. . 후회는 없습니다..

근대 다른 의견은 첨부터 좋은걸 타면.. 나중에 다른걸 못탄다고 하더라고요..

차를 처음 살때 중형차 사서 몰다가 소형차를 못몬다고..

차근 차근 상급장비로 가는 재미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결론은 없는거 같네요..

경재능력이나.. 여러모로 따져서 사는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

저도 동감

2008.12.03 16:47:34
*.145.251.38

저도 4년차 정도 되는데요.
처음에 조금 저렴한 중저가 데크 사서 열심히 탔는데.....
막상 이번에 장비를 바꾸려고 생각해보니 중복으로 돈을 쓰는듯한 느낌을 지울수가 없더군요.
어짜피 보드 1~2년 타고 버릴것 아니라면 조금 무리해서라도 상급 데크로 가는것이 오래동안 탈것같습니다.

난스

2008.12.03 20:16:37
*.86.11.113

무조건 상급으로 가는게 실력 상향에 많은 도움이 되죠....허접데크로는 몇년타도 탄성이란게 있는줄 모르닌까여 ^^

1234

2008.12.03 20:59:44
*.114.91.128

전 그럴줄 알고 버즈런 하급 샀습니다;;;;;;ㅋ
아놔... 트윈팁으로 가고싶어요~~~~~~~~~~~~~~~~~~~~~~~~
디렉이지만 트윈으로 타는 1인;;

다이나믹보더

2008.12.03 22:12:18
*.64.17.195

저만 그런가요?? 렌탈에서 탄성느껴집니다.. 중고로 구입한 00년식 커스텀을 세컨장비로 아직까지 갖고있는데 탄성 좋습니다.. 하지만 최상급데크만 찾네요;;ㅋ
투자한만큼 큰 차이는 아니지만 최상급데크를 찾는건 보드를 사랑하는 저의 욕심인거 같습니다~

부산백상어

2008.12.04 01:55:40
*.134.21.237

동감해요~~~

volcomsnow

2008.12.04 11:39:36
*.120.95.177

하급 장비가 안좋다는건 이젠 옛말인듯합니다.

요즘 나오는 장비들 중급 이하 장비들도 예전 중급 이상 성능이 되는듯하네요 특히 바인딩이나 부츠같은건요..

데크야 자기 스타일에 따라서 바꾸게 되기도 하는것이니 데크는 접어두고서라두요..

뽕파이프

2008.12.04 14:01:27
*.183.233.207

상급장비를 샀는데 길이면이라든지 자신의 스타일과 안맞는다해서 바꾸게 되는경우...

큰돈두번들이지 말고 입문용은 저렴한걸로 시작하라고 하는건데...

저도 대신 부츠와 바인딩은 좋은걸로 사라고 하긴하는데...데크는 처음부터 좋은거는 아닌듯...

또한 막데크로 시작하는것은 보드를 배운다기 보다는 체험한다는 의미가 크지않을까여?

한번도 타본적없는 분이 장비 풀셋으로 사셨다가 한번타보고 흥미를 잃어서 안타게 되면...

그보다더한 낭비가...

글쓴분도 서로 좋자는 의미로 올리신거 같은데...

초보분들에게 다양한 선택을 할수 있도록 의견 몇자적어봅니다.

사람마다 생각하는게 틀리니까요~

선택은 보더분들이~

○[〓|

2008.12.05 00:48:19
*.4.223.149

여건이 되는한 부츠 & 바인딩은 최상급으로 가시고...
데크는 소모성이 강하므로, 그냥 이월로 중간정도 가격에서
사는것이 좋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경험적으로 볼때, 부츠&바인딩 4년이상 사용가능, 데크 2년정도)

초보보더

2008.12.06 01:55:12
*.27.10.210

제데크는 btm이라고 일본데큰데 이게좋은건지 모르겟어요 아시는분 답변좀..

help me

2008.12.07 20:03:38
*.244.221.1

BTM(Back To The Morrow) 좋은덱 입니다.

투영

2008.12.10 02:58:35
*.9.84.91

인피니티 데크, 써리투 부츠, 플럭스 바인딩(슈퍼타이탄)
데크 좀 하드한데 3시즌 타고있는데 아직도 좀 버벅거린다는 느낌이 있어요. 다루기가 좀 힘들다는 느낌. 부츠는 가볍고 방수 좋았는데 3시쯘되니까 방수가 좀 떨어지네요. 플럭스 바인딩은 스트립 한번 갈았구요.그거빼고는 이름처럼 튼튼합니다. 너무 막타서인지 담 시즌에는 부츠 바꿔야 할듯...
처음부터 무리할 필요는 없는듯하네요..돈있으면 상관없지만요. 자신의 능력에 맞게 한시즌에 몇번 타지도 않는데 비싼걸로 투자해봐야 돈 아깝잖아요.
상급장비가 오래타기는 합니다.. 장프로라는 말 듯기 싫어서 더 열심히 타기는 했습니다..
장비가 보더의 실력을 나타내는 척도는 아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77
231 장비 관련 플럭스 바인딩 A/S ... [11] 에어뽀드 2008-12-04 49 5456
» 장비 관련 장비 선택.....??????????????????? [12] 9382 2008-12-03 48 4129
229 장비 관련 무릎보호대에 대한 고찰 및 사용기(?) [22] Bashu 2008-12-01 55 7695
228 장비 관련 오늘 살로몬 오피셜 155 구입기... [39] 주교주 2008-11-26 61 7478
227 장비 관련 플로우 바인딩도 하이백 조절이 가능하단걸 ... [6] 어따똥싸 2008-11-24 68 6336
226 장비 관련 초심자들을 위한 간단히 할 수 있는 보드복... [4] 스펜서 2008-11-10 74 7038
225 장비 관련 초보자 장비구입 방법 [10] 2008-11-08 67 6540
224 장비 관련 알파인라이더님에 의해 게시글이 삭제되었습... [10] 알파인스노... 2008-10-23 58 6662
223 장비 관련 2009 Transworld Snowboarding Good Wood [5] 별책부록 2008-10-08 61 4925
222 장비 관련 저렴하게 스페이스월 만들어봤습니다~ [25] ^^& 2008-10-06 52 5644
221 장비 관련 캐픽스 헬멧 변색 방지팁 [26] 方郞 2008-09-28 51 6055
220 장비 관련 그라운드 트릭에 대한 장비 선택방법~~~! [28] volcomsnow 2008-09-17 47 10492
219 장비 관련 스노보드 적정 사이즈 선택(한계체중 별 데... file [47] 까앙 2008-09-08 63 41073
218 장비 관련 셋방살이의 스페이스월 설치기 [10] 삽자루떼 2008-09-08 36 6766
217 장비 관련 초간단 초저렴 스페이스 월 설치기 [34] 냉면개시 2008-09-01 42 6949
216 장비 관련 디렉셔널 트윈 보드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 [13] 스펜서 2008-07-07 78 11501
215 장비 관련 헝그리보더의 진수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 [63] 자게졸치사빤스 2008-06-28 93 11681
214 장비 관련 영국에서 실시하는 K2 리콜 서비스 [8] leeho730 2008-05-04 -16 5345
213 장비 관련 보더크로스 선수들은 어떤 데크를 탈까?? [21] 케슬러ㅋ 2008-04-25 89 8247
212 장비 관련 K2바인딩 사이즈와 타브랜드와의 비교~~~시... [2] ROCKJA 2008-04-20 110 5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