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에서 보딩을 즐기는 초보입니다.

무주개장하고 주말을 이용해서 무주에서 그 많은 인파를 해집고 보딩을 하다가 돌아와서 느낀 것들에 대해서 적어 봅니다.

1. 반딩을 채우고 리프트에 타자

대기줄이 너무 길어서 도저히 스케이팅으로 대기줄에 서있지 못할 정도라면 예의상 안된다고 생각

을 합니다. 무조건 반딩을 채우고 스케이팅으로 리프트에 타자는 것이 아니라 어차피 스키어 들이

스키 길이나 보드 길이나 변반 차이 없습니다. 따라서 보더가 반딩을 차고 리프트 줄에 서 있다고

해서 스키어보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 하지 않는 다는 것이죠. 다만 스탠스가 다르기 때문에 더 많

이 차지한다고 느낄수 있겠지요. 작년 시즌에 리프트에서 낙하하는 보드를 여러개 보았습니다. 유령

보드도 제 보드 다쳐가면서 많이 막아 드렸고요. 그래서 올해는 리쉬코드까지 장만해서 무주를 찾았

습니다.

리프트 대기중 뒤에서 어떤 아주머니가 자꾸 보드를 스키로 계속 치시더군요. 한두번 하고 말겠지

했는데 이제는 보드 양 사이드로 사이드 탑시트를 갈면서 진입을 하시더군요... 보드는 자신의 스

키 사이에 들어가있고.. 제 보드 테일에 그 분의 상체가 위치해있었습니다. 상당히 기분이 나빠

서 '아주머니 보드는 제 개인 물품이고 돈들여서 산건데 그렇게 하시면 기분이 많이 안좋거든요 조

금 뒤로 가주시겠어요?' 하지 어이없다는 표정으로 더 갈더군요.. 그래서 다시 한번 고글 벗고 똑바

로 처다보니 슬금슬금 뒤로 가시더군요 역시 탑시트 갈면서 머리 위까지 화가 치솟고 있는데 5분정

도 있다가 이제 리프트 진입이 3줄 정도 남아있는데 또 갈면서 들어오셔서 하는 말이 '저기, 딴 사

람들 처럼 보드 들고 타면 안되요?' 라고 말을 하더군요. 또 갈린 탑시트에 자꾸 파고 들어오는 그

아주머니에 모습이 정말 싫었습니다. 조목 조목 설명해도 못 알아들으시던군요 왜 잘 들고 있는 보

드가 리프트에서 떨어지냐는 거죠.. 전 예전에 스키가 떨어지는 것도 본적이 있습니다..

문제는 리프트 대기 중에 대부분의 보더들이 스케이팅 보다는 보드를 벗고 리프트를 타는 것을 더

편하게 생각한다는 것이죠. 많은 사람들이 스케이팅을 한다면 이런 소리 들을 필요도 없겠죠.

스케이팅을 하는 것이 걷는 것보다 어렵다고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요즘 보드장에서 개인적

으로 가르치시는 분들을 보면 스케이팅도 못하면서 강습을 하고 계신 분들을 보면 좀 답답하기도

합니다. 스케이팅은 낙엽과 더불어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인식을 바꾸자는 의미에서 대기줄에서

자신의 위치를 꼭 확보했으면 좋겠습니다.

2. 제발 리프트 내리는 곳에 앉아서 반딩을 채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왜! 안그래도 리프트 내리느라 혼잡한 곳에서 앉아서 반딩을 채우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봐도 위험해 보입니다. 스케이팅하는 보더입장에서도 위험해 보이고 옆에서 차고 나가시는

스키어 입장에 봐서도 위험해 보입니다. 올해 사람 안몰릴때 짧게 타면서도 몇 번 봤습니다. 10m

만 걸어가면 충분한 공터가 있는데 왜 리프트 내리는 코너 부분에서 반딩을 채우고 계시는 것인

지 모르겠습니다. 초보 보더들 도와주시는 분들 상식중에 상식이라고 생각합니다. 꼭 인식시켜서

좋은 보딩 문화를 정착시키도록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서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엮인글 :

난.보.더.최

2006.12.12 21:27:24
*.128.191.20

전 처음부터 스케이팅을 배워가지고..스케이팅 안하면 불편하던데..ㅋㅋㅋ
하지만 사람 많은 날은 저도 어쩔수 없이 들고 탑니다!@#ㅁㄴㅇ

사이켄

2006.12.12 21:44:19
*.118.246.223

음....혼자 인식을 바꾸기에는 힘들어서 동참하자는 점은 이해가 갑니다...
하지만 현실상..(저같은 경우에도) 제 보드 기스날까봐 들고탄다는...암튼...스키장에서 아쉬운 점이긴 하죠..^^

댕구매니아

2006.12.12 23:00:36
*.118.56.146

저같은 경우도 스케이팅이 편합니다 들고타는것 보다...
하지만...보드건 스키건...대기줄에서 데크 툭툭 치이는게 너무 싫어서 들고탑니다...

매콤한팥빙수

2006.12.12 23:57:12
*.198.162.129

어쩔 수 없죠..아직 인식 자체가 제대로 안박혀 있고

몇십만원에서 돈백 가까이 하는 소중한 데크가 이리저리 치이는 꼴은

차마 못보겠고...어쩔 수 없이 들고타죠

ㅇ ㅏ동이

2006.12.13 00:09:42
*.233.103.161

전...사람 적을땐 스케이팅, 많을땐 들고타요~ 그게 기냥 속편하거든요
정신건강에 좋아요...

도라에몽

2006.12.13 00:17:05
*.190.230.3

저도 스케이팅이 편하고 원칙적으로 바인딩 묶고 리쉬 코드 한상태에서 리프트 타는건데...
스케이팅으로 대기 하고 있으면 영 눈치들이 이상하더라구요 ㅡㅡ;
아예 리조트 측에서 바인딩 묶지 않으면 못타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허나...데크 치이는건 안습이죠 ㅜㅜ

andhe

2006.12.13 00:23:56
*.80.75.35

스케이팅으로 대기줄서면 눈치들이 이상하더군요..
사람이 많으면 어쩔 수 없겠지만
무엇보다 슬로프 를 거의 막고 계신분들... 제발 옆쪽에서 바인딩 묶으셨으면... 좋겠더라구요
초보분들은 그 틈으로 내려갈 엄두도 못내십니다
중앙에 떡하니 앉아서 담소 나누시는 분들... 자제해주세요,,, ㅜ ㅜ

모모드

2006.12.13 02:24:55
*.127.57.152

데크 사고 첫보딩날 탑시트 좌우로 좍좍나가고~
어쩔수 없이 들고 탑니다.
자기 장비소중한거 알면 남꺼 소중한것도 알텐데
대부분 대여하신분들 막 해먹죠...
정말 싫습니다... 스케이팅 편한데 불편하게 들고 타는 현실 안타깝습니다.

NewSchoolStudent

2006.12.13 02:29:02
*.237.221.106

스키어들은 가랑이사이로 스키를 들이 미는데... 보더들은 이런 문제가 있군요

Kick

2006.12.13 08:09:28
*.27.105.145

전 가르칠때 리프트를 탈 차례가 되면 수년전부터 헝글 캠페인 보고
"다른 사람의 장비들은 고가이니 접촉하면 큰 결례라 가르칩니다... 소형 중고차 연식 좀 된것도 살 정도의 장비도 있는데 만약 서로 자동차였다면 어떤 상황이었을까요?"
하고 말한답니다 ^^

호이보더^^

2006.12.13 09:46:46
*.227.89.15

나도 들고 타는데 제데크 이리저리 치이는 꼴 못보거든요 ^^

s바람돌이

2006.12.13 09:49:56
*.78.214.30

들고타면...장비는..안심이지만...
신발을...사정없이...툭툭..건들어준다는거...

pink

2006.12.13 11:11:18
*.7.164.29

저도 스케이팅으로 타고 싶어요.하지만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 때문에 들고 탈수 밖에 없습니다.그렇게 밀어 부친다고 더 빨리 타는것도 아닌데...너무 속상하고 싸우기 싫고(그런 사람 말 안통함) 그래서 스케이팅 포기....

근육과다

2006.12.13 12:24:10
*.117.221.100

사람 많아서 대기줄이 어수선할때 보드 들고 요리조리 찡겨들어서 나보다 늦게 왔는데 한참 일찍 맆트 타는 사람 미워요
그래서 저두 리쉬코드 풉니다!!

무주시로

2006.12.13 13:31:22
*.241.147.32

주말에 무주 갔다 왔습니다... 저도 만선에서 바인딩 체우고 줄서 있는데 스키어가 제 보드 위에 올라 타려고 하는겁니다... 미치는줄 알았습니다.. 새데크에 2만원짜리 스티커... 그래서 보드를 들어서 스키를 쳐 내고 보니 스티커 끝이 조금 잘려서 뜨는겁니다.. 왕 짜증...뒷사람도 아닌 앞사람이 꼼지락 그려서..

백발노사

2006.12.13 13:44:24
*.229.137.1

전 발이 아퍼서 꼭 들고 탑니다..... 반딩 매고 타면 발이 무진장 아파요.~~

럭셜보더

2006.12.13 14:24:56
*.111.163.99

스케이팅도 할 줄 모르면서 다른사람 강습하는건 안된다 낙엽과 더불어 스케이팅도 기본이다라는건 비단 본인만의 생각은 아닌지 생각해 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스케이팅을 할 줄 모르고 혼잡한 대기줄이나 발이저려서 등등 일부러 스케이팅 안하시는분들 상당히 많습니다

위에 두가지 내용 어느정도 공감이 가긴하지만요

라이딩은 허접해도 트릭잘하시는분들 많습니다 그분들껜 뭐라고 하실껀가요..? 순차적으로 볼때 라이딩이 먼저이니 그후에 트릭을 해라! 라고 하실건가요?

wewe

2006.12.13 15:51:46
*.76.185.67

허걱난스케이팅이기본에티켓인줄알고있었는데..
처음배울때들고타지말라고배워서..

skylover

2006.12.13 17:09:45
*.99.212.133

스케이팅은 보드를 몸에 부착한 상태에서 이동을 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보통 스케이팅과 스트레이트 러닝(드래그 포함), 클라이밍을 한세트로 묶어서 가르치지요.
위에 분은 라이딩과 트릭을 예로 드셨는데요, 라이딩과 트릭은 어느정도 보드가 익숙해진 상태에서
본인의 기호에 따라 라이딩을 팔수도 트릭이나 하프에 뛰어들 수도 있는 선택에 해당하는 것이랍니다.
그에 비해 스케이팅은 선택이 아닌 보더가 익혀두어야 할 기본중에 기본이자 남에 대한 배려인 것이지요.
스케이팅을 배움으로 인해 부수적으로 따라오는 장점이 많습니다. 안전은 두말할 것도 없지요.
한발만 보드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드를 제어해야 하니 당연히 보드위에서의 밸런스가 자연스럽게 잡힙니다.
초보자들이 턴에 들어갈 무렵 흔히 보이는 후경의 문제도 전경을 요하는 스케이팅 훈련이 잘 되어 있으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보드를 몸에 부착하고 옆으로 이동도 못하는 이가 경사면인 슬롭에서 남을 가르치는거..
저희 동호회 회원들 중에도 그런 분이 계시긴 한데 말은 못해도 많이 안타깝죠.
그렇게 배운 신입들이 나중에 또 그렇게 가르치니 악순환이 반복되고
새로 시작한 보더들이 스케이팅을 기본이 아닌 선택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만들어진것 아니겠습니까.

kkalssam

2006.12.13 17:25:48
*.249.26.173

지산은 보드 들고 타지 못하게 되어있죠?
첨 배우는 사람들도 첨엔 리프트 내릴때 자빠링 하다가도
금방 배우게 되고 나중에는 훨씬 편하다고들 하더군요..

dongkey

2006.12.13 17:53:53
*.99.223.248

요즘 지산도 들고 타도 됩니다... 저는 항상 묶고 타지요 ... 어짜피 너덜너덜 해진 탑시트 어-무-니....

영자씨

2006.12.13 17:59:37
*.37.36.46

들고탄 보드에 누가 맞아서 사망하던지 해야 해결될문제인듯하네요.... 보드들고 리프트타는 모습에 다른나라 보더들이 기겁을한다죠...

승기옵바

2006.12.13 18:40:55
*.130.122.175

저도 하도 스키어들이 (특히 아줌마 아저씨들..) 보드 긁어서 리프트를 아예 잘 안타버립니다 ㅋㅋ
아싸리 곤도라만 애용한다는..

대구소년

2006.12.13 18:41:11
*.124.172.6

일단... 대기줄이 너무 혼잡해지면 벗습니다. 스키보다는 아무래도 공간 많이 차지합니다. 줄이 흐트러지더라구요... 뭐 탑시트 걱정하는것도 귀찮은 일이죠.
그리고 왼발만 계속 조여있으니 갑갑해서 벗습니다... 부츠도 약간 작게 신습니다;;(바보짓)

하지만 왠만하면 신고탑니다. 왠지 그게 '원래'의 방식일거 같아서요...

글고 리프트에서 내리는 것도 참 생각을 해야하는건 맞습니다. 아무 생각없이 내렸다가 넘어져서 리프트 멈추게 하는 사람들이 정말 자주있더군요... 리프트 한번타는데 2번 멈춘적이 있어요...

ㅐㅐ

2006.12.13 18:50:42
*.232.71.9

제 생각에는 럭셜보더님 생각이 잘못된거 같은데요...
스노보드 강습 프로봐도... 바인딩 채우면 그다음으로 스케이팅이 젤먼저 나옵니다..
라이딩도 못하는 사람이 어떻게 트릭을 하죠..
라이딩 실력이 고급 수준이 아니더라도... 기본 라이딩은 다 할줄 아는 사람이니깐 트릭을 하는거겠죠..

차라리 비유를 하시려면.... 100m 달리기를 할것이냐 허들을 할것이냐 ...이런 비유가 적당하겠네요..
기본적으로 달리기 능력은 되야하고... 거기다가 달리는데 주력할 거냐.. 점프를 더할거냐...

스케이팅을 하던 말던 자유지만... 보드를 들고 리프트 타는게 잘못된거는 맞죠..
문제는 보드를 신고 리프틀 탈려면 필수적으로 스케이팅을 해야한다는 거죠..
발이 저리면..잠깐 쉬었다가 타는게 맞는거고
줄이 길어서 어쩔수 없이 보드를 들고 타야되는 일이 벌어지는 것은.. 편법이지... 맞는게 아니죠..

도로에서 차 밀린다고... 안전거리 유지 안하면... 합법인가요?
불법이지만..그냥 하는거죠..

햄톨이

2006.12.13 19:13:39
*.61.206.69

스케이팅으로 리프트 타는것은 기본중에 기본이죠
꼭 착용하고 타는것으로 의무화 해야할듯....
안전 불감증 너무 심각해요 우리나라 사람들은...ㅡㅡ;;
카드로나에서 발목이 너무 아파서 양쪽다 묶고 립트 타는대...
안전요원이 모라고 씨불이더군요...
그래서 갠찬타고 했는대...
립트 정지시켜 버리더군요..ㅡㅡ;;;
발 지지대가 있는 울나라에서는 의무화해도 그리 힘들지는 않을듯...
참고로 일본인인척 했어요...ㅡㅡㅋ

나두

2006.12.13 19:21:43
*.231.153.204

스케이팅이 편하나 한국 환경상 들고탐. 전부 스케이팅하면 휘팍 2~3개 승차장줄이 만남 ㅡ.ㅡ

아리잠

2006.12.14 10:54:37
*.247.145.5

스케이팅도 할 줄 모르면서 다른사람 강습하는건 안된다 낙엽과 더불어 스케이팅도 기본이다라는건 맞는말인것 같은데요.
현실상 환경상 안하더라도....

Monsi

2006.12.14 14:31:18
*.106.114.15

음... 발이 아프시다고 하시는 분들 바인딩 덜렁거리지 않을 정도로만 느슨하게 해두면 아무렇지도 않던데요...

크리스최

2006.12.14 18:36:24
*.3.88.179

럭셜보더님 . . .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 . . 개인의 권리와 자유도 때로는 자신을 포함한 타인의 안전을 위해서는 적절히 제한되어야 하며 글쓴이 처럼 염려하고 문제 제기를 하는분들이 있음으로 안전의식이 서로 더 발전된다고 생각됩니다.
그런 맥락에서 이해하시고 . . , 보드의 기술적 관점에서 "순차적인" 이라는 표현을 쓰셨는데 . . . 안전을 위한 스케이팅 습득은 보딩의 기술이 아니라 보딩의 기본입니다.

염장

2006.12.14 20:06:20
*.47.83.46

스케이팅 후 리프트 타고 발이 왼발(레귤러) 또는 오른발(구피)이 저리다고 하신 분들, 바인딩을 아주 살짝 풀고 타세요. 리쉬코드는 꼭 하시고. 바인딩 살짝 푼다고 해서 바인딩에서 부츠가 빠지지고 않고, 발도 안 저립니다... 저는 항상 그렇게 합니다.

튀김만두

2006.12.14 21:49:39
*.19.47.175

음 럭셜 보더님 제 말뜻을 잘 못이해하셨네요..

스케이팅도 못하면 가르치지 말라고 하는거죠. 스케이팅을 못한다는것은 기본적인 낙엽도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둘다 기본이거든요.

라이딩하고 트릭으로 구분하면 안되죠.. 윗분이 말씀하신 것 처럼 그건 개인취향이라고 생각합니다.

☜kick☞

2006.12.15 01:01:37
*.212.240.109

ㅈ ㅔ발....................................

ㄹ ㅣ프트앞에 앉아 있지좀 ㅁ ㅏㅅ ㅔㅇ ㅕ~

ㅡㅡ++++++++++++++++++++++++++++++

ㅋㅋ 무서워요

부채도사

2006.12.18 11:52:04
*.40.172.130

탑시트 이미 포기..

하지만, 새로한 엣찡은?? OTL

!!불꽃!!

2006.12.20 00:48:30
*.92.137.176

푸하하~ 부채도사님 대박입니다. ^___^

흠...

2006.12.20 01:03:44
*.148.29.85

보드도 타고 스키도 타는 사람으로서 느끼는 건데...
보드 탈 땐 스키어들이 스키 탈 땐 보더들이 마구 긁어 대더군요...
저도 장비에 목숨거는 터라 무섭게 쏘아주면 대충 해결은 되지만 말씀하시는 것처럼 얼굴 두꺼운 아줌마들이나..
친구들에 둘러싸인 무서운 학생들일 때는 어쩔 도리가 없더군요...
...올해 새로 산 장비 하루만에 난도질 당했습니다ㅜㅜ....
보더들~ 다른 사람 장비에 발 올리지 맙시다..
스키어들과 싸움납니다...
스키어들~ 옆면으로 올라타지 말았으면 ㅜㅜ제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69
120 헝그리 캠페인 보더들의 지침서 [18] 까앙 2007-01-31 30 4399
119 헝그리 캠페인 모를땐 물어보고 잘 설명해주자구용..ㅎㅎ [20] 미르 2007-01-31 38 2725
118 헝그리 캠페인 나는 보더인가 양아치인가 [113] 게쉬타포 2007-01-29 11 12331
117 헝그리 캠페인 야간라이딩시 야간용렌즈를 착용합시다! [29] mrflow 2007-01-24 47 6211
116 헝그리 캠페인 보드장의 슬롭이용 구분에 대한 제멋대로 생각 [8] 지나가던 강... 2007-01-22 18 2836
115 헝그리 캠페인 정말 보드를 잘 타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27] 엉망보더 2007-01-20 36 6352
114 헝그리 캠페인 초보보더분들의 상급슬로프 이용에 대해.. [29] FU로그너 2007-01-17 23 4925
113 헝그리 캠페인 오늘 성우 갔다와서 느낀점.. [16] 레몬 라임 2007-01-14 24 4755
112 헝그리 캠페인 말그대로 헝그리보더 특히나 장터를 이용하... [12] 나츠키 2007-01-12 35 3197
111 헝그리 캠페인 [헬멧착용] 나와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입... [38] purple™ 2007-01-12 30 4279
110 헝그리 캠페인 아직 나이가 어려서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54] 영파친소 2007-01-12 19 5763
109 헝그리 캠페인 ↓아래 글과 비슷한 리프트바 빨리 내리지 맙... [23] 메추리XX 2007-01-08 22 3330
108 헝그리 캠페인 스키장에서 충돌사고와 그 이후.. [31] [귀빈] 2007-01-04 25 4439
107 헝그리 캠페인 슬롭에서 데크만 달리게 하지 맙시다! [26] 그냥보더 2006-12-29 29 3692
106 헝그리 캠페인 바인딩을 채우셨습니까? [29] 제파 2006-12-29 37 6303
105 헝그리 캠페인 에티켓 총정리 해봤습니다. 데크 청소 제외 ... [19] 우야여요 2006-12-13 10 3723
104 헝그리 캠페인 보드 교습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에티켓도 ... [13] 우야여요 2006-12-13 -68 3607
» 헝그리 캠페인 리프트 대기 및 이탈 후 자신의 위치를 꼭 ... [36] 튀김만두 2006-12-12 18 3608
102 헝그리 캠페인 초보를 가르치는 분이나 배우는분들.... [750] 101마리고양이 2006-12-12 31 10604
101 헝그리 캠페인 슬로프에서 부득이 강습할 경우 계단식으로 ... [6] [블랙쏜] 2006-12-12 36 2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