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E7%C1%F8_006_0%282624%29.jpg

 

 

 

http://www.hungryboarder.com/index.php?mid=Free&page=2&document_srl=20942025.

 

자게에 오늘 이슈된 사항에 대해 제 의견을 피력하고 싶습니다.

 

2008년 3월 1일 19시 20분즘.

 

대명에서 야간 파이프를 타다가 프론트 5를 시전 하는데.....다쳤습니다.

 

우측 상완골이 8조각이 났고, 4시간의 대수술을 하였습니다.

 

팔에는 아직 티타늄 판이 박혀 있구요.

 

현재, 오른팔의 근력은 85% 정도..........활용도도 그 정도 입니다.

 

강도도 매우 낮아졌구요.

 

제가 사고난 그 부분.........

 

레귤러 기준 프론트 사이드 드롭인 (왼쪽벽으로 드롭인 하여)

 

프론트 인디 뛰고,

 

백사이드 에어 뛰고,

 

세번째....프론트 540 돌릴때.....그 부분....에서 다친 건데..

 

그 부분...........3-4 시즌 전까지....항상 그 부분은.....뭔가 범프가 튀어나와 있었습니다.

 

2006년에도 그랬고,

 

2007년에도 그랬고,

 

2008년에도 그랬고,

 

2009년에도 그랬습니다.

 

2010년에 되니깐 그 범프가 사라지긴 했습니다.............

 

그 부분이 왜 생긴지 여타 보더들, 그리고 문희정 프로님과 토론을 한 결과......

 

파이프 초중급 분들이........드롭인을 하여...(대부분의 보더들은 레귤러이며, 프론트 드롭인을 더 선호하는 추세임)

 

똑같은 부분에서 월턴을 하다가......

 

두번째 턴이나 에어인...백사이드 월에서 속도를 받아서.........

(백사이드 월턴에서 대게 속도를 더 잘받는데 월턴 하면서 속도를 받는 것을 전문 용어로 Pop Tarts 라고 합니다.)

 

프론트 벽으로 진입하는데....그 속도에 겁을먹고...쭉 치고 가면서 립오버나 자연스러운 월턴을

 

하지 않고....버트 부분에서 급하게 엣지로 깊게 박으며 억지 월턴을 하여.....

 

립아래 부분에 범프가 생긴 거라는 결론을 가져 왔습니다.

 

그 부분때문에, 전 6개월간 재활을 하면서.....

 

신경손상으로 인해...진짜 장애자가 되는 줄 알았습니다.

 

팔목 아래로 아무런 느낌이나 신경도 없이 6개월을 살았으니까요.

 

제가 제 블로그나 칼럼에 기재한 [파이프의 道] 에 글에 언급한 것 처럼..

 

전 그렇게 벽을 만든.....파이프 초중급 분들을 원망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두가지 입니다.

 

첫째, 파이프를 타기전에 벽상태를 체키랍 했어야 했어야 했는데.....그것을 하지 않았고,

 

둘째, 제가 그 전날 술을 엄청 먹고 한끼도 안먹은 상태라 완전 상태 메롱인데..

 

        제 컨디션 하나 조절못한 제 실수 였지요. 반응성과 유연성이 떨어져서 일어난 부상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가지 더, 저녁에 갑자기 영하로 떨어졌습니다..ㅜ.ㅜ

 

 

최근.....웰팍이나 대명의 파이프 문화가 많이 발달되어......

 

동호회와 커뮤니티의 발달로....파이프 고수들이 중급들을 끌어올려주며,

 

중급들은 초보들에게 기초를 가르쳐 주며.......초보분들은 고수들을 우러러 보며 배우며.....

 

민폐를 안끼치기 위해......속도가 나지 않더라도 버트에서 턴을 자연스럽게 하는게 보입니다.

 

.....베리베리 굿~~~입니다. ^^

 

좀전에 자게에.....

 

KDW 의 원정 캠프에서 원정단원의 부상과 관련되어 글이 올라와 있는데...

 

스노보드는 혼자 타는 익스트림 스포츠 입니다.

 

익스트림 스포츠는 위험을 동반 합니다.

 

그것을 감수 하는 것은 개인의 책임 이라고 생각합니다.

 

보드는 함께 타지만 보드위에는 둘이 아닌 혼자 스스로가 올라가 있으니까요.

 

출반전 보험 특약을 비싸게 들던가,

 

컨디션이 안좋으면 쉬던가 건너뛰던가,

 

다만, 캠프 코치나 관리자 분들도...

 

팀원들의 컨디션을 미리미리 파악하고,

 

건강을 파악하고,

 

수준에 맞는 기물을 권유하고,

 

위험한 프리라이딩을 방지하고, (스위스 체르마트는 크레바스 (엄청 긴 구멍)이 엄청 많이 있습니다.)

 

캠프생들의 앞에서 뒤에서 숙소에서.....항상 점검하고

 

실력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컨디션과 건강은 자신이 가장 잘 아는 것이므로

 

캠프 기간내 컨디션 유지에 최선을 다해야 하겠죠.

 

캠프는 혼자 가는것이 아니라,

 

20명 이상 다함께 모여 최상의 조건에서

 

자신이 선택한 최상의 강사들과 코치들과 함께

 

실력증진을 위해 얻어오는 것입니다.

 

No pain, No Gain 이라는 박성준 프로의 말씀이 있지만.....

 

제가 강조 하고 싶은 것은,

 

Bad Condition, More Pain.

 

 Good Condition, Less Pain.

 

인것을 강조 하고 싶습니다.

 

스노보드의 전설, 테리예 학슨도 그렇게 실력증진도 했었고,

 

현 캐피타 사장인 버튼 프로 출신인 Jason Brown 도 그렇게 하였습니다.

 

컨디션 나쁜날에 보드를 타면 실력을 잡아먹을 뿐이다.

 

"If you snowboard on good days, it will add up. But, if you snowboard on bad days, it will add against you.

I think that's what Terje does, too"

- Jason Brown, From [Gettin' some. 1993] FLF Film    

 

보드를 타기 시작했는데, 뭔가 이상하면 그냥 집에서 쉬라고 강조를 하였습니다.

 

 

끝으로,

 

여러분.....캠프의 관리자와 코치진들은 여러분의 실력증진을 위해 애도 쓰지만,

 

가장 큰 스트레스가 여러분의 부상걱정이라는 것을 헤아려 주셨으면 합니다.

 

 


The One 0.5

2013.03.08 20:21:54
*.200.180.212

님이쓰신 다른글들은 19년탔다는 말이 꼭들어가 있어서 뭔가 좀 그랬는데
이번글은 진짜 잘쓰셨네요
마음 깊이 와닿고 공감합니다!!

상대성이론

2013.03.08 21:42:08
*.160.37.105

개츠비님 덕택에 대명에서 파이프에서 윌턴만 하고 있는 보더입니다.

좋은 말씀이네요.

전 컨디션이 안 좋으면 상단에서 다른 사람들 쳐다보며 놀고 있습니다.

대명에서 파이프 T바만 보면 컨디션이 안 좋아집니다. @_@;;;

CABCA

2013.03.09 01:26:15
*.145.86.246

올라온 글의 의도가 좀 와전되긴 한거 같은데, 실제 시작은 KDW 사고가 아니라 LUKA 스노우의 사기(?)에 가까운 대응 및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접 관련된 수장이 계속 눈밥을 먹고 있다는 거죠...

 

고비용을 들여 해외 캠프 참여를 했는데 수장이나 코치는 강습도 제대로 안해주고, 게다가 보드 타다가 다친 것도 아니고 주변 여행지 운전해서 가다가 다쳤는데 나 몰라라..

 

사실이라면 쓰레기들임...ㅉㅉㅉ

 

옛날에 누군가가...'실력도 없는 프로라고 이름만 내건 프로들이 자기들 해외 전지 훈련 비용 충당키 위해 일반 캠프생을 모집하는 거다' 라는 글도 올라와 논란이 되기도 했었죠...

 

강습여부도 중요하지만, 사후처리도 중요합니다. 특히 '자기 이름'을 걸고 '고비용'을 받아 진행하는 캠프라면요..그것도 언어 문제가 있는 '해외'에서...

B7

2013.03.11 10:42:04
*.113.22.57

파크타려면 최소한 본인의 위험은 스스로 감수해야되지 않나 싶습니다.

웅플 에어매트 사건도 그렇고 진상들 참 많네요.

KDW해외 원정 사고의 경우엔 KDW관계자분이 해명해주셨고..

해외 원정은 대부분이 일생에 한번 벼르고 별러서 가시는 분입니다.

(2달에 1000만원정도 드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직장 그만두고 가는분도 계시고요.)

한명이 다친건 정말 안타까운 일이지만 나머지 캠프원생에게는 나머지 일정을 진행하도록 하는게 맞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런면에서 KDW가 최선의 선택을 했다고 생각됩니다.

ㅁ.ㅁ 이분은 그냥 어떻게 한번 까보고 싶어서 싸질러 놓고 아님 말고 식이네요.

정말 역겨워요.

곽진호

2013.03.14 21:42:13
*.223.17.8

그나저나....
유두천사시군요...

두번머겅

2013.03.22 13:30:42
*.232.85.84

ㅎㄷ ㅋㅋㅋㅋㅋ

용평보더40

2013.03.24 12:47:21
*.95.240.244

그나저나 계속 다치시는데 조심 좀 하세요 캐스비님

초보보드인생

2013.04.12 01:49:34
*.159.62.64

그래도 님 심장과 간은 튼튼 한가봅니다

저는 무서워서 시도도 못하겠네요

시오사와

2013.10.28 19:16:29
*.230.199.9

앗!! 뜬금없지만 오랜만에 보는 윈디팤 님의 명언 방갑네요 데크에 붙여야 겠어요 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799
1082 어떤 라이딩 스타일을 선호하시는지요? [14] cbr953 2006-01-24 37 2392
1081 보드장(스키장)의 매너정립. [18] 굶고타자 2005-10-31 24 2393
1080 Factory Sale Manager의 답변은 누구나 칼럼에 있습니다 룡이 2003-11-06 49 2399
1079 버튼 비코어 정품이라는 거와 병행의 차이 [3] 타락한영혼 2003-12-10 35 2403
1078 프리스타일의 슬라럼 대회 [18] 욱이 2006-01-07 45 2405
1077 보드 파손에 대한 A/S 처리는 어디까지? [9] 하운드 2006-03-06 53 2405
1076 후드티 교환&환불에 대해 [40] 고무신껌[춘천] 2004-01-03 44 2409
1075 묻고 답하기에 보드복 코디 질문에 대해서 [12] 론리보더 ~ ♪ 2005-12-06 42 2410
» KDW 캠프 사고 관련하여......[보드는 혼자 타는 익스트림 스포츠 입니다.] file [9] Gatsby 2013-03-08 14 2412
1073 왜 우리가 그걸...걱정해야 할까요? [26] 재롱돌풍 2003-11-19 28 2414
1072 B180 스케일에 대해서 속도 vs 높이 ? [19] 유이 2006-01-03 34 2416
1071 어느 단체에서 각종 스노우보드 대회를 주관해야 할까요? [8] 에지없는보드 2004-01-12 48 2421
1070 홀로 질주하는 데크를 방지할 방법은? [18] Derek 2004-01-04 56 2424
1069 헝글 중고장터..... [29] 싼타쟁이 -ㅁ- 2004-05-02 45 2427
1068 용평의 파크와 하프파이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7] 지커™ 2006-01-23 46 2433
1067 여러분~ 여러분은 보딩을 즐기실때 담력.... 어떻게 키우십니까?? 토론해봅시다~~ [18] 맹짱!! 2006-02-03 54 2436
1066 성우 하프파이프의 개선점 [11] Gatsby 2012-10-30   2436
1065 HUNGRY BOARDER ... 사이트 업데이트... [7] 모스크바보더 2007-09-08 71 2437
1064 초보강습시 장비착용을 해야할까요? [22] 카드라 2005-12-19 31 2444
1063 [떡진] 05/06 보드장에 대해서 알고 싶은점들.. [14] 정덕진 2005-09-28 30 2455